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 1 또는 중도실용을 말하다
땅끝
2025-05-09 07:09
8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7회 연결
본문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 1

도서명 : 그들은 어떻게 최고의 정치학자가 되었나. 1
저자/출판사 : 헤라르도 뭉크 , 리처드 스나이더, 후마니타스
쪽수 : 464쪽
출판일 : 2012-03-05
ISBN : 9788964371503
정가 : 23000
서문
1장_비교연구의 인간적 차원_리처드 스나이더
2장_비교정치학의 어제와 오늘_헤라르도 뭉크
인터뷰 01_게이브리얼 알몬드_____구조기능주의의 이론화와 비서구 사회의 정치발전 연구
인터뷰 02_배링턴 무어 2세_____비판 정신과 비교 역사 분석
인터뷰 03_로버트 달_____규범적 이론, 경험적 연구, 그리고 민주주의
인터뷰 04_후안 린츠_____권위주의 체제론과 민주주의 공고화론
인터뷰 05_새뮤얼 헌팅턴_____전 지구적 관점에서 본 질서와 갈등
중도실용을 말하다

도서명 : 중도실용을 말하다
저자/출판사 : 정정길 , 함재봉 , 송호근 , 박효종 , 강원택, 랜덤하우스
쪽수 : 204쪽
출판일 : 2010-09-17
ISBN : 9788925540313
정가 : 10000
머리말
01 중도실용주의의 이해 _ 정정길
중도실용론의 등장 배경
이 책의 글들에 대한 개략적 소개
중도실용에서 중도의 위치
02 중도실용주의와 자유민주주의의 이론적 토대 _ 함재봉
정치적 중도실용의 역사
실용주의 철학과 자유민주주의
전체주의와 투쟁
보수ㆍ진보의 대립과 중도실용주의
한국의 중도실용주의
03 중도실용주의의 사회적ㆍ정치적 디자인 _ 송호근
이념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 디자인
정치 디자인 : 실용정치의 쟁점과 과제
04 국정철학으로서의 중도실용 _ 박효종
문제 제기
'중도'에서 기대할 만한 '실용성'
'중도실용'이 당당한 국정 비전인가?
'등가의 오류'에 빠질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
국정의 기본철학으로는 '중도'보다는 '헌법적 가치'가 바람직하다
중도는 '독자적 개념'이라기보다는 '파생적 개념'이다
중도가 '지속가능한 노선'이 될 수 있을 것인가?
05 보수ㆍ진보의 갈등을 넘어서는 중도실용 _ 강원택
중도실용의 정치는 무엇일까?
무엇을 해야 하나?
중도실용 정치의 성공을 위하여
06 친서민정책과 중도실용 _ 강성진
들어가며
친서민정책 현황과 평가
친서민정책과 중도실용
지속가능 발전 : 중도실용의 정책 지향성
중도실용으로 발전 패러다임의 전환
맺음말
07 중도실용과 통합형 자유주의-공정한 사회를 위한 이론적 모색 _ 이재열
중도실용 = 통합형 자유주의 + 창조적 실용주의
통합형 자유주의란?
통합형 자유주의의 구성요소와 정부 역할
사회통합과 공정성, 그리고 정부 역할
헌법정신에 비추어 본 중도실용
실천원리로서의 '창조적 실용주의'
이명박 정부 중도실용론의 비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