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모든 역사: 한국사 또는 통섭의 기술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3월의 모든 역사: 한국사 또는 통섭의 기술

땅끝
2025-05-09 07:09 83 0

본문




3월의 모든 역사: 한국사
9788992449847.jpg


도서명 : 3월의 모든 역사: 한국사
저자/출판사 : 이종하, 디오네
쪽수 : 276쪽
출판일 : 2012-03-05
ISBN : 9788992449847
정가 : 12000

머리말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다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출생 | 영국 함대, 거문도 불법 점령 | 최현배의 문법 책, 『우리말본』 간행 | 순수 아동 잡지 『어린이』 창간

3월 2일
조선의 실학자 유형원이 태어나다 |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경성 도착 | 안중근, 단지 동맹 결성 | 조선 총독부, 돈의문 강제 철거 | 독립운동가 이상설 사망 | 김용 박사, 아시아인 최초다트머스 대학 총장 임명

3월 3일
가야국이 건국되다 | 고종 황제의 국장 거행 | 전두환, 제12대 대통령 취임

b3월 4일
일제, 불법으로 경의선 철도 부설에 착수하다 | 항일 진주 의병장 노응규 옥사 | 호적법의 효시 민적법 공포 | 소설가 이광수 출생 | 대한의학협회, ‘뇌사에 관한 선언’ 발표 | 우도에 무장 간첩 침투

3월 5일
조선의 척화 삼학사 홍익한이 피살당하다 | 조선 제21대 왕 영조 승하 | 「조선일보」 창간 | 가정의례준칙 선포 | 시인 모윤숙 출생

3월 6일
민치록의 딸을 왕비로 간택하다 | 조선, 의정부 청사 중수 착공 | 「동아일보」, 2차 무기 정간 조치

3월 7일
경주 박물관, 금관을 도난당하다 | 조선, 개성으로 도읍 이전 | 조선의 문종, 화차 창안 |한국 최초의 안과 의사 공병우 박사 별세

3월 8일
천주교 탄압령으로 프랑스 신부 베르뇌가 순교하다 | 상원사 동종 완성 | 최영, 팔도도통사 임명 | 남북 오누이 한필성·한필화 극적 상봉

3월 9일
김대중 대통령, ‘베를린 선언’을 발표하다 |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설립 | 걸레 스님 중광 타계 | 카터 대통령, 주한미군 철수 언명 | 정부, 해외 이주법 공포

3월 10일
정조가 즉위하다 | 도산 안창호 사망 |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처형되다 | 동학 교도, 대규모 집회 개최 | 신라, 누각전에 천문박사 배치 | 풍수지리설의 대가 도선 사망 | 청록파 시인 박두진 출생

3월 11일
법정 스님, 길상사에서 입적하다 | 3·1 민주구국선언 관련자 구속 | 정비석 소설 『자유부인』 퇴폐 논란에 휩싸이다 | 유한양행 설립자, 유일한 박사 사망 | 환향녀 이혼 문제 대두

3월 12일
얼굴 없는 시인 박노해 구속되다 | 도원수 강홍립, 누르하치에 항복하다 | 북한, 핵확산금지조약 탈퇴 선언

3월 13일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다 | 북간도, 용정 등지에서 독립 만세 운동 발발 | 민권 운동가 함석헌 출생 | 독립운동가 이동녕 사망 | 여성 독립운동가 김마리아 사망

3월 14일
소설가 염상섭이 사망하다 | 국군, 서울 재탈환에 성공하다 | 친일 단체 황군위문작가단 발족 | 시인 변영로 사망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발생 | 창덕궁 박물관 개관

3월 15일
3·15 부정 선거가 일어나다 | 독립운동가 유관순 출생 | 경주 오층석탑에서 금동사리함 발견 | 자유실천문인협의회, 165인 선언 발표

3월 16일
세종이 집현전을 설치하다 | 기해예송에서 남인들이 3년상을 주장하다

3월 17일
조선 춘추관, 『태종실록』을 완성하다 | 독립운동가 이회영 출생 | 대한국민의회, 독립 선언 발표 | 상하이 육삼정 의거 발생 | 철학자 박종홍 사망

3월 18일
부산 미국 문화원 방화 사건이 발생하다 | 박은식,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에 피선 | 문학 평론가 백철 출생 | 세계기상기구에 가입

3월 19일
경남 창원에서 성산패총을 발굴하다 | 나혜석, 여자 화가 최초 개인전 개최 | 광무신문지법 폐지안 국회 통과 | 제2의 땅굴, 휴전선 부근에서 발견 | 정부,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를 북한으로 송환하다 | 고리 원자력 발전소 1호기 착공

3월 20일
흥선 대원군, 전국의 서원을 철폐하다 |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시인 박인환 사망 | 한성과 인천 간 전화 통신 개시

3월 21일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이 별세하다 | 일본에서 고구려계 고분 벽화가 발견되다 | 대한국민의회, 정부 수립 선언

3월 22일
윤보선 대통령, 하야 성명을 발표하다 |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 이수근 위장 귀순 사건 | 이괄, 부하 장수 기익헌·이수백에게 피살 | 김제 벽골제 수문지 발굴

3월 23일
조선의 악성 박연이 사망하다 | 장인환·전명운, 스티븐스 저격 | 한글학자 최현배가 사망하다 | 신라, 우경법을 시행하다 |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당선 | 북한, 서해 5도 통항 질서 공포 | 봉정사 대웅전 후불벽화, 현존 최고 확인

3월 24일
청록파 시인 박목월이 눈을 감다 | 맥아더 장군, 38선 이북 진격 명령 | 대동강 철교 준공

3월 25일
장면 초대 주미 대사, 신임장을 제정하다 | 한말 의병장 이소응이 사망하다 | 창경원 동물원 준공 | 광복 이후 첫 경평전 개막 | 한국 최초 장기 이식 성공 | 연좌제 폐지, 전과 말소 지침 발표

3월 26일
도평의사사를 설립하다 | 한국, 미사일기술통제체제 가입 | 고려 공민왕, 개경 나성 개축 | 안중근,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다 | 초대 대통령 이승만 출생 | 소설가 황순원 출생 |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 발생 | 삼국 시대 임당 고분군 본격 발굴

3월 27일
보조 국사 지눌이 입적하다 | 이순신, 거북선을 진수하다 | 대한항공기 폭파범 김현희, 사형 확정 선고 | 문익환 목사, 김일성 주석과 회담 | 경인고속도로 착공 | 한국 프로야구 출범

3월 28일
남조선노동당 총책 김삼룡이 검거되다 | 일제, 미곡 통제법 공포 |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 임명

3월 29일
녹두 장군 전봉준 사형 선고를 받다 | 만동묘 철폐를 명하다 | 월남 이상재 사망하다 | 인천국제공항 개항 |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 철도 착공 | 조선은행법, 일본 국회에서 가결

3월 30일
신라의 승려 원효가 입적하다 | 조선의 문인 김시습 사망 | 소설가 나도향 출생 | 프랑스인 신부 안토니오 다블뤼 순교 | 경부고속철도 개통 | 어버이날 제정

3월 31일
최승희, 창작 무용 발표회를 개최하다 | 최남선, 「시대일보」 창간 | 대한자강회가 조직되다 | 총독부, 국민학교 학제 공포




통섭의 기술
9788990699817.jpg


도서명 : 통섭의 기술
저자/출판사 : 최민자, 모시는사람들
쪽수 : 498쪽
출판일 : 2010-02-12
ISBN : 9788990699817
정가 : 25000

제1부┃ 통섭의 이해
01 통섭이란 무엇인가 23

통섭의 본질과 메커니즘 23
통섭의 기술 34
왜 지금 통섭인가? 44

02 상대계의 비밀 57
물성과 영성의 역동적 통일성 57
통섭의 기술 진화와 의식의 진화 66
의식과 제도의 변증법 75

03 삶과 죽음의 통섭 85
날숨과 들숨 사이의 바르도(Bardo) 85
에너지 시스템인 생명계 95
순수 현존(pure presence) 105

제2부┃ 동양과 서양의 통섭적 세계관
04 마고麻姑의 삼신사상 117

마고성의 추억 117
마고의 삼신사상 130
인류구원의 여성성 140

05 동양의 통섭적 세계관 155
천부사상의 통섭적 세계관 155
유·불·도와 힌두사상의 통섭적 세계관 164
‘한’과 동학과 생명 200

06 서양의 통섭적 세계관 211
통섭적 사유와 변증법 211
통섭적 사유와 생태적 사유 223
현대 과학의 통섭적 세계관 235

제3부┃‘통합 학문’의 시대와 ‘퓨전(fusion)’ 코드
07 과학과 종교의 통섭 249

과학과 종교의 만남 249
자기조직화 원리와 창조주 264
양자역학과 마음 274

08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섭 283
인문사회과학의 위기와 대안적 논의 283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섭 294
통합 학문과 퓨전 코드 303

09 예술과 과학의 통섭 315
예술과 인생 315
예술과 과학의 통섭 325
예술과 생명 그리고 진화 336

제4부┃ 통섭으로의 길
10 마음의 과학 349

마음은 모든 것 349
마음의 과학 358
온전한 앎, 온전한 삶 371

11 지식시대에서 지성시대로 383
지식시대에서 지성시대로 383
정치실천적 과제 396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 405

주석 414
참고문헌 440
찾아보기 44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