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으로 인생 물들이기 또는 이오덕 아이들을 살려야 한다
땅끝
2025-05-09 07:09
9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1회 연결
본문
긍정으로 인생 물들이기

도서명 : 긍정으로 인생 물들이기
저자/출판사 : 백종순, 이담북스
쪽수 : 235쪽
출판일 : 2012-05-30
ISBN : 9788926833650
정가 : 15000
서문
제1부 다양성 인정하기
긍정적 변화의 시작은 나부터 출발해야 부작용이 최소화된다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생산적인 사람이 돼라
긍정의 파동을 사용하라
타인의 성격을 이해하는 긍정의 지혜
남녀차이를 이해하는 긍정의 지혜
대인관계를 잘하려면 미인대칭하고 윤리(Ethics)를 지켜라
성숙한 사람들의 특징
긍정적으로 타인과 세상을 보려면 편견과 선입견에서 벗어나자
긍정적인 의식 1-사랑에 대하여
I am OK, You are OK
제2부 삶 속에서 낙관성 택하기
시간관리를 잘하는 사람이 마지막에 웃을 수 있다
낙담케 하는 자를 멀리하라
긍정적인 사람은 셔터문이 아니라 회전문을 소유한다
긍정여행에 필요한 네 가지-두레박, 사다리, 망원경, 만화경
긍정적인 사람은 궁극적으로 선과 지혜를 추구한다
초긍정의 아버지
인간에 대한 연민의 정서는 배려를 낳는다
정체성 세우기
마음의 얼을 나타내는 얼굴
비극 속에서의 낙관
긍정적인 사람은 삶을 조망한다
긍정을 인식만 하는 하수, 실천하는 고수
불평불만은 인생을 갉아먹는 생쥐
마음속 두 늑대 간의 싸움
학습된 무력감에서 벗어나 시도하라
온전한 오늘을 살아라
제3부 긍정으로 인생 물들이기
솔개의 장수비법에 대한 음미
목표와 꿈의 성장
긍정적인 사람은 자신을 절대평가한다
긍정적인 여자는 배움의 열정이 있다
박수의 힘을 내 생활에 적용한다
긍정을 만드는 입버릇 기술
자기 마음 모니터링하기
크게 웃어라
울적한 감정일 때 경쾌한 음악을 듣는다
비관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낙관적인 생각을 한다
긍정적인 사람들은 배움에도 열려 있다
제4부 긍정 멘토들
시어도어 루즈벨트
열등의식과 보상
마돈나의 신체적 자존감을 높여준 선생님의 말 한마디
아름다운 만남-정약용과 황상
아름다운 실연
고난의 긍정적인 해석-불행한 사건이 주는 교훈
크리스토퍼 리브를 다시 살게 한 힘
긍정적인 선생님의 영향
절대 포기하지 않은 위대한 동화 작가 안데르센
이사도라 던컨의 긍정의 말
긍정적인 사람은 소산능력이 있다
긍정적인 사람은 차이가 아닌 다름을 본다
제5부 나의 긍정 체험들
딸에게 해주는 긍정의 보약
상처 입은 변환자(치유자)가 돼라
열등감을 창조성의 원천으로 사용하자
부부간의 긍정적인 의사소통기술
우리 딸은 에너지가 넘쳐난다
남성과 여성의 콤플렉스를 벗어나 긍정으로 행진하라
만족감을 유지하기 위해
‘고난 앞의 오뚝이’ 우리 어머니
아버지의 위대한 유산은 성실함과 타인에 대한 긍정
절망하는 자와 일어나는 자
꿈꾸는 자들은 움직인다
짜증나는 상황에서도 감사한 일을 찾는다
시어머니의 더 아픈 손가락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지혜와 접속하다
조해리의 창에 대한 새로운 해석
오르막길
빛나는 엄마, 향기 나는 엄마
그녀의 정권지르기
강촌 조합장님은 나무를 심는 사람
에필로그
이오덕 아이들을 살려야 한다

도서명 : 이오덕 아이들을 살려야 한다
저자/출판사 : 이주영, 보리
쪽수 : 244쪽
출판일 : 2011-12-01
ISBN : 9788984287266
정가 : 13000
머리말
1부 삶
1. 참교사 이오덕
2. 이오덕이 걸어온 길
이오덕이 새로 쓴 말
2부 교육
1. 교육 사상
민주 교육
민족 교육
인간 교육
일과 놀이 교육
생명 교육
2. 국어 교육 바꾸기
듣기, 말하기 교육―마주이야기
읽기 교육―마음을 살찌우는 글 읽기
쓰기 교육―삶을 가꾸는 글쓰기
문학 교육―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우리 말 교육―겨레를 살리는 말과 글
3부 어린이문학
1. 동시란 무엇인가
이오덕과 박목월 동시관 견주기 (1)
이오덕과 박목월 동시관 견주기 (2)
이오덕과 박목월 동시관 견주기 (3)
2. 어린이문학의 독창성
1970년대 어린이문학계의 분열
‘표절 동시론’ 고소 사건
모작, 표절 논쟁이 남긴 것
3. 어린이문학의 현실성
1980년대 이념론과 색깔 공격
‘사회주의’ ‘현실주의’를 넘어서
4. 어린이문학의 진정성
이오덕 계열 내부 분열과 ‘일하는 아이들’ 논쟁
‘시정신’과 ‘유희정신’의 왜곡
어린이 삶에 책임을 지는 문학
5. 참된 문학 교육을 위하여
어린이문학과 교육의 관계
동심이란 무엇인가
초등학교 문학 교육 현실
동심을 지키고 가꾸는 쓰기 교육
어린이 삶에 이로운 읽기 교육
쉽고 아름다운 우리 글
맺음말
추천하는 글―서정오
이오덕 해적이
이오덕이 남긴 책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