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날의 시작 또는 중국문학이론의 모색과 소통
땅끝
2025-05-09 07:09
6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03회 연결
본문
살아 있는 날의 시작

도서명 : 살아 있는 날의 시작
저자/출판사 : 박완서, 세계사
쪽수 : 504쪽
출판일 : 2012-01-22
ISBN : 9788933801819
정가 : 17000
기획의 글
작가의 말
1 집 밖의 잠
2 대부
3 콩쥐
4 복습
5 꽃이 아니어도 좋아라
해설
작가 연보
중국문학이론의 모색과 소통

도서명 : 중국문학이론의 모색과 소통
저자/출판사 : 한국중국문학이론학회, 한국학술정보
쪽수 : 398쪽
출판일 : 2012-09-21
ISBN : 9788926837719
정가 : 24000
머리말
Ⅰ. 포스트모더니즘의 원조, 노자(老子)의 사상 _ 김형효
1. 화광동진(和光同塵)의 성인(聖人)
2. 인류사는 남성적 권력의지
3. 습명(襲明)의 애매모호성
4. 자가성(自家性)이 없는 기호의 세계
5. 본능적으로 도(道)의 화신인 암컷
Ⅱ. 중국문학과 자연 _ 이병한
1. 머리말
2. 고대중국인의 자연관
3. 시가에 투영된 자연
4. 시인의 자연과의 교감
5. 맺는 말
Ⅲ. 은유와 유동의 기호학-주역 _ 오태석
1. 머리말
2. 음양의 기호적 속성과 텍스트
3. 주역 표상체계의 기호학적 고찰
4. 은유와 유동의 기호학
5. 맺음말
Ⅳ. 전사사(前四史)의 용례로 본 한대 문학관념 _ 이규일
1. 들어가는 말
2. 한대 역사서의 문학, 문장, 문인
3. 전사사 서술에 나타난 한대 문학관념
4. 나오는 말
Ⅴ. 문예창작 원천으로서 ‘흥회(興會)’의 개념과 역사성 _ 조성천
1. 들어가는 말
2. ‘흥회’의 개념과 출현배경
3. ‘육의(六義)’의 ‘흥’과 ‘흥회’
4. 창작 감흥으로서 ‘흥’
5. ‘감(感)’, ‘감응(感應)’, ‘정(情)’, ‘정흥(情興)’으로서 ‘흥회’
6. 문예 창작의 원천 - ‘흥회’
7. 나오는 말
Ⅵ. 중국시학에 대한 후대의 해석과 수용의 두 가지 양상 _ 최일의
1. 도연명의 시에 대한 중국 역대의 해석과 수용의 양상
2.청대 원매의 시학에 대한 한국 조선시단의 해석과 수용의 양상
Ⅶ. 건설적 모방론의 탐색을 위한 시론 _ 홍광훈
1. 서언
2. 모방의 문제에 관한 기본 논의
3. 건설적 모방론의 수립을 위하여
5. 결어
Ⅷ. 당시(唐詩)의 비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_ 김준연
1. 서론
2. 개념적 혼성 이론에 의한 당시 비유 분석
3. 결론
Ⅸ. 부재를 통한 존재의 심화 _ 서성
1. 머리말
2. 심방불우시의 기본 구조
3. 심방불우시의 미학적 의의
4. 마무리 말
Ⅹ. 이시영, Ezra Pound, 흥(興) _ 김의정
1. 이시영의 시가 짧아졌다
2. 흥, 그 우연한 발견
3. 풍경에 다가서기, Ezra Pound
4. 한 줄 행간에서 무한대로의 비상을 꿈꾸다
5. 글을 맺으며
XI.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과 18ㆍ19세기 조선의 사대부 문예 _ 안대회
1. 머리말
2. 16세기: 윤춘년(尹春年)의 이십사시품 간행
3. 18세기: 정선ㆍ이광사(李匡師)의 합벽첩(合璧帖)
4. 19세기: 신위(申緯)ㆍ김정희(金正喜) 유파의 이십사시품 열기
5. 맺음말
XII. 일본의 중국고전문학이론 연구 개황 _ 고인덕
1. 들어가며
2. 일본의 중국문학 연구의 역사
3. 일본의 중국고전시문론 연구 개황
4. 일본의 중국고전시문론 연구의 특징
5. 맺음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