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팔천 또는 부산요와 일본 다완
땅끝
2025-05-09 07:09
8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5회 연결
본문
조선팔천

도서명 : 조선팔천
저자/출판사 : 이상각, 서해문집
쪽수 : 352쪽
출판일 : 2011-03-05
ISBN : 9788974834609
정가 : 13700
머리말 - 자유를 꿈꾸는 사람들
프롤로그 - 인간의 조건
노비도 백성이다 / 팔천의 빛과 그림자
나도 사람이 되고 싶다 - 노비
불운한 천재 송익필의 인간만사 / 미암 유희춘의 얼녀 면천기 / 천민의 최상위 계층, 공노비 / 짐승보다 못한 운명, 사노비 / 노비들의 꿈, 면천 / 도망친 노비를 잡아들여라 / 노비들의 형벌과 저항 / 노비가 많아야 양반
선녀인가 매화인가 - 기생
역사의 희생양으로 남은 장녹수 / 청사靑史에 이름을 새긴 황진이 / 원화인가 수척인가 / 일패에서 유녀까지 / 고달픈 성 노예들의 영광과 좌절 / 말을 알아듣는 꽃, 해어화 / 차라리 흥청망청 / 밤의 여인들 / 기생들의 기둥서방, 왈짜패
언저리도 안 되는 것들 - 백정
박성춘과 박서양의 해방일기 / 한반도에 갇혀버린 유목민족의 후예들 / 조선의 1급 요시찰 대상 / 이색적인 한양의 백정, 반촌 사람들 / 극단적인 백정 차별 / 백정들의 피눈물을 씻어다오
신나게 한번 놀아보세 - 광대
왕의 남자 공길 / 노는 물이 달라 / 유랑연예인의 시조 사당패 / 그래도 우리는 논다
자유를 대가로 차별을 얻다 - 공장
조선 최고의 장인, 장영실 / 조선의 기술 공무원, 공장 / 관장에서 사장으로 / 백자의 신기원을 연 분원 사기장 / 기술 분업의 집대성, 조총장 / 위정자들이여, 장인에게 배워라
병든 영혼을 해방시켜라 - 무당
토속신앙 무속의 사제들 / 영광에서 나락으로 / 음사의 주인공으로 낙인찍히다 / 신과 인간의 메신저 / 신명나게 놀아보자 / 만신, 신과 소통하는 강신무 / 단골, 굿을 예술로 승화시킨 세습무
조선은 유교의 나라다 - 승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조선의 아침, 불교의 황혼 / 조선에 불교는 필요 없다 / 누가 나의 외로움을 달래 주리오 / 내 죄를 씻는 길은 불교뿐 / 《경국대전》의 덫 / 선의 뿌리를 지켜라 / 호국불교의 전통을 세우다 / 승군에겐 밥도 주지 말라 / 미륵불이여 부디 현신하소서 / 문예부흥이 승려 잡는다 / 19세기 종교 탄압의 와중에서
망각의 강으로 인도하라 - 상여꾼
청산 가네 청산 가네 / 상여와 영여 / 이 집이 뉘 집 경사인고 / 상여꾼의 본적, 향도계 / 지배층의 꼼수, 향약 / 우리나라 상례 변천사
우리도 노예였다 - 신량역천 · 궁녀
세계의 천민 - 인도의 달리트 · 일본의 부라쿠민 · 유럽의 집시
참고문헌
부산요와 일본 다완

도서명 : 부산요와 일본 다완
저자/출판사 : 아사가와 노리타카, 어드북스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2-04-30
ISBN : 9788958450900
정가 : 13000
序文
옮긴이의 글
제1장 도기의 연구 및 본 연구에 대해
1. 도기의 양부(良否) 판단
2. 도기 제조상의 상식
3. 옛날 가마터의 연구
4. 역사적 문화 흔적과 도자기 파편의 연구
5. 역사적 문헌의 조사
6. 옛날부터 전해오는 확실한 것을 볼 것
제2장 조선 다완의 특징
제3장 대마도와 조선의 관계
제4장 부산의 왜관
제5장 부산요에 대하여
1. 부산요의 경로와 경과
2. 부산 번조소(燔造所)
3. 번조소(燔造所)의 위치
4. 부산요의 도공
5. 부산요에서 사용한 태토
6. 왜관 관련 다완
7. 소우케(宗家)의 소장품에 대하여
제6장 도공 모산(茂山)의 이야기
제7장 대주요(對州窯)에 대하여
1. 대주요(對州窯)
2. 대마도의 가마 흔적과 도공
1) 코우라 사라야마(小浦皿山) 가마
2) 쿠다(久田) 가마
3) 시카야키(志賀燒) 가마
4) 타테가메(立龜) 가마
5) 아수(阿須) 가마
6) 코우라(小浦) 가마
3. 대주요(對州窯)의 특징
4. 요시다 마다이치(吉田又市) 및 자손
-삽화 목차
1. 조선 다완(朝鮮茶碗) 織部好?遠州好 옵셋
2. 조선 전도(朝鮮全道)의 고지도
3. 조선 고지도 사국접해도(四國接海圖)
4. 조선 고지도
5. 조선 고지도 삼도(三島) 부근
6. 통신사 편선의 그림
右上 접시꽃(葵) 문양의 고자부네(御座船)
左上 마쓰다이라 아키(松平安藝) 수호(守護)의 고자부네(御座船)
右下 오사카에 있는 대마도 번소(番所)
左下 조선의 사선(使船)
7. 통신사 행렬 일부
8. 마상재
9. 대마도 명소
10. 조선통신사 행렬도
11. 왜관(倭館) 가마 판화
12. 왜관(倭館) 가마 목판
13. 오늘날 부산 왜관 위치
14. 부산 왜관의 도면
15. 나가사키 데지마 네덜란드 상관
16. 양산 부근에서 발견한 파편
17. 부산 왜관의 평면 약도
18. 통사가 읽은 조선 소설
19.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다완 번조(燔造)의 건
20.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 요시자네(宗義眞) 구청서
21. 22.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 요시미치(宗義方) 구청서
23.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케(宗家) 가신의 구청서
24. 25. 26. 야헤이타(彌平太)가 왜관에서 관수와 동래부의 논란
27. 첩해신어(捷解新語)
28. 부산요에서 사용한 태토 채취 장소
29. 소우케(宗家) 소장의 작자 기억도
30. 판사(判事) 다완
31. 고키(吳器) 다완
32. 린사이(林齋) 작품 시로데(白手) 다완
33. 부산요 초기의 청자 다완
34. 에고혼(繪御本)
35. 스나데고혼(砂手御本)
36. 모산(茂山)의 소메쓰케 무코즈케(染附向附)
37. 고혼운카쿠(御本雲鶴) 다완
38. 고혼(御本) 다완
39. 에가라쓰(繪唐津靴形) 구두 모양 다완
40. 야헤이타 묘석(彌平太墓石)
41. 대마도의 가마 흔적
42. 대마도 시카(志賀) 가마의 파편
43. 44. 대마도 타테가메(立龜) 가마 소메쓰케(染附) 미즈사시(水差)
45. 46. 쿠다(久田) 가마 케이사쿠(惠作)의 미즈사시(水差)
47. 코우라(小浦) 가마 고혼(御本) 복제 다완
48. 코우라(小浦) 가마 모산(茂山) 복제 다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