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또는 약이 되는 우리 먹거리. 1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서양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또는 약이 되는 우리 먹거리. 1

땅끝
2025-05-09 07:09 82 0

본문




서양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9788994079707.jpg


도서명 : 서양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저자/출판사 : 노명환 , 박지배 , 김정하 , 이혜민 , 박재영 ,, 푸른역사
쪽수 : 454쪽
출판일 : 2012-11-15
ISBN : 9788994079707
정가 : 20000

책을 내며_박지배ㆍ노명환

고대 그리스의 생활문화_박지배
고대 로마의 생활문화_김정하
중세 유럽의 생활문화_이혜민
근세 서유럽의 생활문화_박재영ㆍ김진호
도시 형성의 여러 모습과 생활상_노명환
미국의 생활문화_김형인
러시아의 생활문화_고가영
스페인ㆍ이베로아메리카의 생활문화_이은해
헝가리의 생활문화_김지영

참고문헌
찾아보기




약이 되는 우리 먹거리. 1
9788956811079.jpg


도서명 : 약이 되는 우리 먹거리. 1
저자/출판사 : 김종덕, 아카데미북
쪽수 : 416쪽
출판일 : 2010-04-15
ISBN : 9788956811079
정가 : 23000


1. 감에 대한 일반적 인식
2. 감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
3. 감의 한의학적 효능
4. 곶감의 효능
5. 시체[감꼭지]의 효능
6. 쓰임새가 다양한 감나무
7. 고욤

고사리
1. 친숙한 나물, 고사리
2. 고사리의 한의학적 효능
3. 백이숙제는 왜 고사리를 먹었을까?
4. 우리나라에서의 고사리에 대한 인식
5. 고비는 고사리 사촌
6. 고사리의 표기 변천

고추
1. 고추의 도입 과정과 품종 분화
2. 고추의 명칭에 대한 의미
3. 고쵸에 대한 논쟁
4. 고추의 한문 표기는 고초(苦草)가 아닌 고초(苦椒)
5. 고추의 특징과 효능

냉이
1. 냉이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2. 냉이의 명칭
3. 냉이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
4. 한의학의 시각에서 바라본 냉이

담배
1. 담배의 전래
2. 흡연의 해
3. 한의학에서 바라본 담배의 성질
4. 담배의 한의학적 효능
5. 담배와 독충은 상극

대나무
1. 대나무의 종류와 특징
2. 대나무에 대한 인식
3. 대나무의 상징
4. 한의학에서 바라본 대나무의 효능
요약정리


1. 무의 역사
2. 한의학에서 바라본 무
3. 사상의학에서 바라본 무의 효능
4. 무씨의 효능
요약정리

무화과
1. 무화과는 어떤 과일인가
2. 무화과의 한의학적 효능
3. 무화과 재배법

미꾸라지
1. 미꾸라지에 대한 인식
2. 한의학에서 바라본 미꾸라지
3. 약으로 쓴 추어탕
4. 일상생활에서 미꾸라지 활용하는 법

미나리
1. 동양의 특산물 미나리
2. 미나리의 어원
3. 한의학에서 바라본 미나리
4. 미나리의 활용


1. 매우 컸던 우리나라 밤
2. 밤의 유래와 특징
3. 밤에 대한 선조들의 인식
4. 버릴 것 없는 밤나무
5. 밤에 대한 사상의학적 고찰

배추
1. 배추에 대한 인식
2. 배추의 표기 변화
3. 백채는 배추일까 머위일까?
4. 배추의 기원과 도입
5. 배추의 효능과 활용
6. 배추에 대한 사상의학적 고찰
요약정리

뱀장어
1. 뱀장어와 가물치는 이웃사촌?
2. 한의학에서 바라본 뱀장어
3. 뱀장어의 다양한 이용

살구
1. 살구의 유래와 특징
2. 살구의 어원
3. 살구의 효능과 쓰임
4. 사상의학에서의 행인에 대한 인식
5. 행인과 도인의 차이
요약정리

오얏[李, 자두]
1. 보배 같은 오얏
2. 오얏에 얽힌 이야기
3. 오얏나무 시집보내기
4. 오얏의 한의학적 효능
5. 오얏나무의 활용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