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살아야 내 몸이 산다 또는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욕망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뇌가 살아야 내 몸이 산다 또는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욕망

땅끝
2025-05-09 07:09 89 0

본문




뇌가 살아야 내 몸이 산다
9788994478173.jpg


도서명 : 뇌가 살아야 내 몸이 산다
저자/출판사 : 개리 스몰, 이상미디어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1-11-30
ISBN : 9788994478173
정가 : 14000

1장. 기억력,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
너무 이르거나 늦은 때는 없다
뇌도 결국 늙는다
기억력을 좌우하는 요소들은 무엇일까?
기억력은 나이에 따라 변한다
IQ와 학력, 알츠하이머병의 관계
알츠하이머병은 20대부터 시작된다?
노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라 질병이다
기억력 훈련이 뇌의 노화를 막는다
살아 있는 뇌를 들여다볼 수는 없을까?
알츠하이머병은 타고나는 질병인가?
되돌릴 수 없다면 예방이 최고의 약이다
많이 배운 사람들의 뇌는 더 안전한가?
기억력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술
PET 스캔과 유전자 검사, 언제 해야 하는가?

2장. 나의 기억력은 어느 정도일까?

기억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믿습니까?
주관적인 기억 능력 평가
객관적인 기억 능력 평가

3장. 기억력을 높이는 3단계 훈련법

보기 : 대상을 적극적으로 관찰하라
찰칵 : 마음속으로 사진을 찍어라
결합 : 찰칵 영상들을 연결하라
객관적 기억력 재검사

4장.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라

무엇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가?
스트레스에 우리 몸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스트레스는 기억력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감정을 다스리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스트레스를 줄이는 생활 수칙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우울증이 된다

5장. 머리가 좋아지는 두뇌 에어로빅

모차르트 효과는 있다? 없다?
머리를 쓸수록 기억력은 좋아진다
뇌를 혹사하지 말고 훈련시켜라
창조적 사고를 통한 두뇌 훈련 : 퍼즐
두뇌 에어로빅 시작하기
두뇌 에어로빅 프로그램 만들기

6장. 뇌를 활성화하는 기억의 기술

산만한 생활을 조직화하라
연속 숫자를 기억하는 못 박기 방법
이름과 얼굴을 기억하는 방법
로마 방 기억술

7장. 뇌 건강에 좋은 음식

칼로리도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요요 현상 : 칼로리 섭취를 끊임없이 감시하라
좋은 지방과 나쁜 지방 구분하기
좋은 지방 식품과 저지방 식품
유해 산소를 조심하라
뇌에 좋은 항산화 식품
노란색 겨자를 즐겨라
뇌를 젊게 만드는 비타민과 미네랄
카페인의 좋은 점과 나쁜 점
당뇨병과 뇌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스트레스로 인한 과식
뇌 건강에 좋은 식단을 짜라

8장. 뇌를 보호하는 생활 습관

운동은 뇌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머리 부상은 뇌의 인지 능력을 저하시킨다
무조건 담배를 끊어라
알코올,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밖으로 나가 즐겁게 지내라
섹스와 기억력
만성적 수면 부족을 피하라
기분 전환을 위한 약물
뇌에 농축된 알루미늄
그 밖의 함정들
뇌를 젊게 만드는 생활 방식을 선택하라

9장. 약에 대해 제대로 알아라

의사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법
고혈압, 조용한 살인자
콜레스테롤과 두뇌 건강
기타 질병과 두뇌 건강
플라시보 효과, 어떻게 볼 것인가?
자연 식품이라고 모두 안전한 것은 아니다
기억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성호르몬 요법

부록.
배운 것을 잊지 말자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욕망
9788926825105.jpg


도서명 : 자기실현의 동력으로서의 욕망
저자/출판사 : 고려대 철학연구소, 한국학술정보
쪽수 : 263쪽
출판일 : 2011-08-19
ISBN : 9788926825105
정가 : 20000

머리말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 _ 김형찬
1. 머리말
2. 理一分殊의 인간과 神形妙合의 인간
3.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
4. 타고난 본성과 만들어진 본성
5. 인간 마음의 삼중 구조와 욕망의 조절
6. 맺음말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_ 김철운
1. 들어가는 말
2. 평등한 인간 권리의 실현 - '인(仁)'
3.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의 확장 - '욕(欲)'
4. 인간의 욕망이 실현되는 세계
5. 나가는 말

仁과 恕: 욕망의 호혜적 공감능력 _ 전병욱
1. 들어가는 말
2. 본성으로서 욕망, 욕망으로서 본성
3. 各得其所 : 욕망의 호혜적 실현
4. 공감능력을 배양하는 길
5. 나가는 말

평상심(平常心)과 도(道) _ 조준호
1. 들어가는 말
2. 욕망에 대한 기본입장
3.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욕망의 질적 전환
4. 수처작주(隨處作主): 욕망의 주인으로서 삶의 대긍정
5. 마치는 말

戴震中의 和論: 未發의 해체와 욕망 소통론의 수립 _ 홍성민
1. 들어가는 말
2. 선험적 보편성과 환원적 공부론:주자의 중화론
3. 주자 중화론 비판과 욕망의 도덕론
4. 미발론의 해체와 소통의 중화론: 대진의 중화론
5. 나가는 말

프로이트와 니체, 욕망의 '억압'과 '긍정' _ 허경
1. 들어가면서 - 욕망과 문화 사이의 관계 설정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근친상간의 타부
3. 『문명속의 불만』- 욕망의 억압, 문명의 필연
4. 니체, 힘에의 의지
5. '도덕 비판' - 삶의 긍정, 욕망의 긍정
6. 운명에 대한 사랑(Amor fati) - "네가 할 수 밖에 없는 것을 해라!"
7. 나가면서 - 욕망과 문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인륜성의 실현으로서 욕망의 변증법 _ 소병일
1. 들어가며
2. 인륜성의 토대 - 욕망, 노동, 소유
3. 욕망의 부정적 사태와 인륜성
4. 맺으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