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3천년의 인간학 지도자의 격 또는 여인 시대를 품다
땅끝
2025-05-09 07:09
8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23회 연결
본문
중국 3천년의 인간학 지도자의 격

도서명 : 중국 3천년의 인간학 지도자의 격
저자/출판사 : 모리아 히로시, 청년정신
쪽수 : 530쪽
출판일 : 2012-02-10
ISBN : 9788958611295
정가 : 21000
머리말-역사의 격렬함을 견디고 살아남은 ‘인간학의 보고’
들어가는 말-중국 3천 년 역사가 만들어 낸 24권의 책
철저하게 인간불신의 관점에서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 《한비자 韓非子》 15
인간불신의 지도철학ㆍ묵묵히 위엄을 지켜라ㆍ‘술’로 부하를 통솔하라 ㆍ지도자가 자멸하는 원인ㆍ남에게 의지하지 마라ㆍ윗사람의 노여움을 사지 말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라
단순한 자료집을 뛰어넘은 뛰어난 역사문학서 《사기 史記》 43
지도자의 필독서, 역사서를 읽어라ㆍ배짱 두둑한 초나라의 장왕ㆍ오기의 부하 통솔법ㆍ강유의 조직관리ㆍ협객의 인심수람술ㆍ범려의 명철보신
조직을 이끌어 가는 지도자의 마음가짐 《삼사충고 三事忠告》 65
절의를 지킨 장양호ㆍ자신에게 엄격하라ㆍ위기에 대처하는 방법ㆍ인재를 등용하라ㆍ공생하는 방법을 찾아라ㆍ물러날 때를 알라
책사와 모사들의 언론과 행동을 대표하는 ‘응대사령의 학문’ 《전국책 戰國策》 89
응대사령의 보고ㆍ상대의 의표를 찌르는 설득법ㆍ뛰어난 술책ㆍ인간관계의 오묘한 이치ㆍ부하의 의욕을 높이는 방법ㆍ먼저 외부터 시작하라
자기를 수양하고 남을 다스리는 인간학적인 귀중한 잠언 《전습록 傳習錄》 113
양명학과 《전습록》ㆍ‘지행합일’의 학문ㆍ인격형성의 네 가지 지침ㆍ성찰극치로 인욕을 극복하라ㆍ일을 하면서도 꾸준히 수양을 쌓아라ㆍ왕양명의 인물됨과 그의 명언
상식에 구애받지 않는 견해와 세속적인 가치관을 초월한 생활방식 《장자 莊子》 135
발상을 전환하라ㆍ기량을 키워라ㆍ무용지용ㆍ망각의 효용ㆍ이상적인 지도자가 되려면 목계를 닮아라ㆍ명예와 이익에 얽매이지 않는 생활태도
냉혹한 현실을 헤쳐 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지혜 《노자 老子》 159
강인한 처세술ㆍ재능을 과시하지 마라ㆍ만족함을 알라ㆍ얻고자 한다면 먼저 주라ㆍ노자식 조직관리의 요점ㆍ지도자의 네 단계
인간을 깊이 통찰하고 이를 토대로 한 승부에 관한 행동법칙 《손자 孫子》 181
승산 없는 싸움은 하지 말라ㆍ싸우지 않고 이겨라ㆍ무릇, 전쟁의 형태는 물과 같아야 한다ㆍ곡선사고를 해라ㆍ‘지’, ‘용’, ‘신’ㆍ‘엄’과 ‘인’의 절충
시대를 초월하여 어느 시대에나 걸맞는 중국의 가훈을 담은 책 《안씨가훈 顔氏家訓》 203
난세를 극복한 지혜ㆍ가정교육의 중요성ㆍ꾸준히 배워라ㆍ정도를 지켜라ㆍ사회인의 마음가짐ㆍ건강에 힘써라
불교, 유교, 도교의 가르침을 융합한 실천적인 인생의 지침서 《채근담 菜根譚》 223
《채근담》은 인생의 책ㆍ원만한 인간관계를 맺는 지혜ㆍ관용을 베풀어라ㆍ균형감각을 길러라ㆍ역경을 견뎌 내라ㆍ항상 꾸준히 수양하라
현실에서 이상을 잃지 않고 살아간 인간에 대한 생생한 기록 《논어 論語》 243
주은래의 일침ㆍ인생의 고행자였던 공자ㆍ적극적이고 당당한 생활태도ㆍ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요소ㆍ이상적인 인간상ㆍ군자의 조건
싸움의 전략전술과 위정자가 갖춰야 할 실전적인 가르침 《오자 吳子》 265
뛰어난 병법가 오기ㆍ조직의 기강을 잡아라ㆍ조직관리의 핵심ㆍ신상필벌주의와 온정주의ㆍ유연한 전략전술ㆍ자고로 장수는 이래야 한다
용병의 핵심이 고스란히 담긴 중국을 대표하는 병법서 《육도삼략 六韜三略》 287
태공망과 관련이 깊은 병법서ㆍ치의 핵심은 무엇일까?
인재를 등용하는 높은 안목ㆍ중국 병법의 비법ㆍ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ㆍ장수의 조건
중국 병법가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병법의 결정체 《삼십육계 三十六計》 311
심리적 계략 비법ㆍ제1부 <승전계> ㆍ제2부 <적전계> ㆍ제3부 <공전계> ㆍ제4부 <혼전계> ㆍ제5부 <병전계> ㆍ제6부 <패전계>
설득술의 묘미를 즐길 수 있는 철저한 왕도정치의 사상가 《맹자 孟子》 339
전투적인 이상주의자ㆍ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ㆍ이를 대장부라 한다ㆍ부동심의 경지ㆍ유연한 처세술ㆍ상대를 사로잡는 설득력
유가의 틀을 벗어난 현대 지향적인 사상가 《순자 荀子》 363
순자와 성악설ㆍ자신을 단련하라ㆍ균형 잡힌 조직관리ㆍ조직 속의 인간학ㆍ군주의 병법ㆍ착오 없이 판단을 내려라
명철보신의 기술, 주자학을 배우는 최고의 입문서 《근사록 近思錄》 387
인간형성의 지침서ㆍ배우지 않으면 빨리 늙고 쇠약해진다ㆍ주변의 사소한 일에서부터 수양을 쌓아라ㆍ윗사람의 올바른 마음가짐ㆍ나약함을 자각하라ㆍ뜻을 잃었을 때도 태연한 자세로 대처하라.
'정관의 치’라는 평온한 시기를 이룬 정치의 요체 《정관정요 貞觀政要》 411
성시대의 제왕학ㆍ부하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라 ㆍ자신을 먼저 다스려라ㆍ초심을 유지하라ㆍ자신을 철저하게 관리하라ㆍ겸허하게 행동하고 신중하게 말하라.
정치, 외교, 전술 등 구체적인 생생한 사례들 《좌전 左傳》 433
《좌전》의 묘미ㆍ진나라 문공의 조직강화법ㆍ서융의 패자, 진나라 목공ㆍ제 무덤을 판 ‘송양지인’ㆍ오나라와 월나라의 싸움이 주는 교훈ㆍ안영의 외교교섭
강한 설득력과 유연한 논리를 내세운 병법론, 정치론, 외교론 《관자 管子》 457
관포지교ㆍ확고한 이상ㆍ위정자의 마음가짐ㆍ천하를 얻고자 하는 자는 먼저 사람을 얻어라ㆍ신의를 중시한 외교ㆍ관중의 병법론
송대를 대표하는 정치가 97명의 마음가짐 《송명신언행록 宋名臣言行錄》 481
송대의 사풍ㆍ자신보다 세상을 먼저 생각하는 선비의 마음가짐ㆍ능력과 인격을 두루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라ㆍ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마음가짐ㆍ너그러움과 엄격함을 조화시켜라ㆍ너그러움과 엄격함 사이에 균형을 잡아라
천하통일에 이르는 방대한 역사를 기록한 책 《삼국지 三國志》 503
《삼국지》의 묘미ㆍ난세의 간웅, 조조ㆍ덕망 높은 유비ㆍ끝까지 살아남은 손권ㆍ신중한 계략가 제갈공명ㆍ앞장서서 모범을 보인 명재상ㆍ제갈공명의 적수 사마중달
역사에 발자취를 남긴 많은 이들의 삶을 통해 얻은 지혜 《십팔사략 十八史略》 523
뛰어난 보좌역의 올바른 정치자세ㆍ항우와 유방의 대결ㆍ한신과 소하의 활약ㆍ명장군 장량ㆍ재상은 사소한 일에는 개의치 않는다ㆍ지도자가 자멸하는 구도
예리하게 인간을 통찰하고 분석한 전형적인 ‘인간학’ 《제갈량집 諸葛亮集》 547
《삼국지》의 주역ㆍ제갈공명의 통솔력ㆍ제갈공명의 지도자론ㆍ조직을 활성화시키는 지혜ㆍ부하를 지도하는 방법과 인재를 감정하는 방법ㆍ평범함으로 일관된 비범. 패전계> 병전계> 혼전계> 공전계> 적전계> 승전계>
여인 시대를 품다

도서명 : 여인 시대를 품다
저자/출판사 : 이은식, 타오름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0-08-07
ISBN : 9788994125053
정가 : 13000
작가의 말
예술로 시대의 한계를 넘어선 여인들
조선 후기 여류 문학의 꽃, 박죽서
- 원주가 낳은 인물들
삼호정 시단을 이끈 김금원
* 역사 인식은 부족했던 계몽 시대의 사학자 이능화
강물에 몸을 던진 비운의 시인 허난설헌
- 국경을 넘어 조선을 빛낸 천재 시인
* 양천 허씨 허엽을 중심으로 한 가계도
- 허난설헌의 가정환경
- 행복했던 소녀 시절
* 중국 소설의 보고 『태평광기太平廣記』
- 외로운 부인, 불행한 어머니
- 활화산 같은 시혼의 소유자 허난설헌
- 규원과 고독의 상처를 빼어난 시로 승화시키다
- 허난설헌의 위상과 문학
-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 『난설헌집』
- 다섯 문장가의 시 문학
ㆍ강직하나 포용력은 부족했던 허엽
ㆍ파국으로 치달은 기인 허균
ㆍ작품에 민중의 마음을 담은 허균
ㆍ허균 문학의 의의
* 야사 총서 『패림稗林』
자아실현을 꿈꾼 여성 신사임당
- 사임당의 뿌리
* 뜻은 좋았으나 외골수가 되어 기묘사화를 당하다
- 사임당과 율곡, 오죽헌에서 태어나고 자라다
- 사임당이라 부르는 이유
-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가로서의 면모
- 재능을 꽃피게 해 준 사임당의 가족
ㆍ효성 지극한 자식으로서의 사임당
ㆍ인내심 많고 현명한 부인
* 외척 득세의 길을 연 을사사화
ㆍ4남 3녀의 어진 어머니 사임당
- 주막집에서 태어날 뻔한 율곡
- 석학 이이의 뒤에는 큰 나무 사임당이 있었다
- 후세 사람들이 말하는 겨레의 어머니
*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한 가계도
- 한국 여성의 영원한 표상 사임당
* 자운서원 영내 묘군 분포도
정치를 문학 작품에 녹여 낸 여인
여자의 눈으로 정치를 기록한 혜경궁 홍씨
- 당쟁에 희생된 비운의 왕 사도 세자
- 세자의 죽음으로 영화를 누린 이들
- 가문의 복권을 위한 정치적 입장을 밝히다
* 혜경궁 홍씨를 중심으로 한 가계도
* 조선예학자계보朝鮮禮學子系譜
학문의 정도를 걸은 여인들
대학자와 어깨를 나란히 한 윤지당
- 탁월한 식견으로 주위를 놀라게 하다
- 평생 성리학에 정진한 그녀의 유고집
남편과 학문을 나눈 정일당
- 시어머니와 시로써 정을 주고받다
- 정일당의 저서 『정일당 유고』
내조의 능력을 발휘한 여인들
동정월, 이기축을 출세시키다
- 후일 만들어진 이기축에 대한 역사 기록
* 이기축 가계도
- 인조반정에 함께 참여한 종형제 이서
난봉꾼을 정승으로 만든 일타홍의 사랑
- 등과의 기쁨도 잠시
- 늙은 정승의 눈물
- 빗속의 꽃상여는 구슬프게 떠나가고
- 심희수의 선조, 조선 개국공신 심덕부
- 후손에게 재물과 식록이 끊이지 않는 심덕부의 묏자리
- 상신에 오른 심덕부와 그의 일곱 아들
* 심희수를 중심으로 한 가계도
- 청송 심씨 인맥에 중흥을 일으킨 이들
- 왕가의 힘을 얻고 중흥을 맞이한 부끄러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