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와 대화하라 또는 청일 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땅끝
2025-04-24 13:26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미디어와 대화하라

도서명 : 미디어와 대화하라
저자/출판사 : 임상훈, 지식공감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6-01-04
ISBN : 9791156221395
정가 : 15000
프롤로그 미디어‘와’ 대화하는 시대가 오다
1장 인터넷은 미디어다
삶을 움직이는 소리 없는 지휘자, 인터넷
이제는 인터넷 ‘유저User’ 수준이어서는 안 된다
미디어로서 인터넷에 주목하자
2장 세상을 좌지우지 하는 미디어의 능력
미디어는 ‘능력자’다
미디어를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었다면 프랑켄슈타인의 비극은 없었다
새로운 미디어 앞에서 잘난 척 하지 마라
미디어, 네 녀석이 죄인이다
연애편지는 연필로 써야 하는 이유
3장 미디어가 말하는 방법
미디어는 인간을 한 쪽만 바라보게 한다
미디어가 연주하는 편향의 3중주를 듣다
인터넷이 지휘봉을 들다
4장 인간과 미디어 사이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역사가 곧 최선의 단서다
눈짓에 더해진 손짓발짓의 시대
너와 나를 바꿔놓은 말(言)의 시대
모든 것을 바꿔놓은 글(文)의 시대
5장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를 뒤집는 인터넷의 힘
인터넷의 소통 방법은 획기적이다
이메일이 손편지의 종말을 고하다
블로그ㆍ카페가 모임의 방법을 바꾸다
미니홈피로 친구 사이에 파도를 타다
마이크로블로그SNS는 말하는 대로 쓴다
사물인터넷IoT은 말하지 않아도 안다
인터넷이 만드는 커뮤니케이션의 데칼코마니
6장 인터넷 때문에 생긴 커뮤니케이션의 위기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미디어 세상을 열다
권위는 무너지고, 신뢰성은 증발되다
7장 커뮤니케이션의 위기를 돌파하는 오기(傲氣)의 대화법
오기(傲氣)는 오기(五技)로 부려라
일기(一技): 건강한 시각으로 보기
이기(二技): 탁월하게 말하기
삼기(三技): 이미지로 통하기
사기(四技): 이야기로 만들기
오기(五技): 선하게 선별하기
에필로그 인터넷의 약자 ‘i’가 소문자에서 대문자로 바뀌다
청일 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도서명 : 청일 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저자/출판사 : 하라 아키라, 살림
쪽수 : 290쪽
출판일 : 2015-12-02
ISBN : 9788952233073
정가 : 17000
한국어판 저자 서문 청일·러일전쟁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이 필요한 때
서장序章 근대일본의 전쟁에 대해
‘전쟁’과 ‘평화’|긴 ‘전후’의 의미|근대일본과 전쟁|‘전전戰前’이라는 시대|청일·러일전쟁=‘조선전쟁’|시바 료타로의 『언덕 위의 구름』|‘밝은 메이지’와 ‘어두운 쇼와’|근대일본의 전쟁경험을 되돌아보다
제1장 청일전쟁: ‘제1차 조선전쟁’
1 메이지 유신의 종료
‘덴포 노인’과 ‘메이지 청년’|두 개의 정부|조선·청국과의 국교|사이고와 오쿠보의 죽음
2 청일전쟁의 각 국면
갑신정변과 톈진 조약|갑오농민전쟁|조선왕궁점령: ‘7월 23일 전쟁’|비장한 염원, 조약개정|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
선전포고의 타이밍|뤼순 학살사건|청일강화조약|열강에 대한 ‘경제적 뇌물’|3국간섭|메이지 천황의 본심은?|타이완 정복전쟁
3 청일전쟁 후 동아시아와 일본
청일전쟁 후 청국분할|청일전쟁 후 경제·사회|민비학살|중국관: ‘존경’에서 ‘경멸’로|청일전쟁이 낳은 ‘국민’의식
제2장 러일전쟁: ‘제2차 조선전쟁’
1 의화단전쟁
의화단운동이란 무엇인가|연합군의 승리와 약탈|일본군의 활약과 영일동맹
2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한일의정서」|전쟁 개시 경위|전쟁 비용 조달과 다카하시 고레키요|러시아 퇴각전과 뤼순 공략|
펑톈 전투에서 동해해전으로|‘상처투성이로 끝난’ 러일전쟁|포츠머스 조약|‘히비야’ 폭동사건|러일전쟁 후 경제·사회|전후경영
3 러일전쟁 전후의 언론
개전론 고양|「요로즈초호」와 고토쿠 슈스이|우치무라 간조·요사노 아키코|톨스토이의 러일전쟁론|포츠머스 조약 비판|
도쿠토미 로카의 예언|러일전쟁은 필요한 전쟁이었나?
4 『언덕 위의 구름』이라는 작품
『언덕 위의 구름』의 마지막 절|영상화 거부|시바 료타로의 ‘여담’|역사와 소설
제3장 한국병합과 21개조 요구
1 러일전쟁에서 한국병합으로
한국병합과 21개조 요구|한국은 사실상 러일전쟁 중에 합병되었다|헤이그 밀사사건|토지·철도·금융을 점유하다|
한국의 지도 검게 물들다|한국병합의 의미
2 대역사건
한국병합과 대역사건|아카하타 사건에서 대역사건으로|도쿠토미 로카의 ‘모반론’|이시카와 다쿠보쿠의 「코코아 한 모금」|
나가이 가후의 「불꽃놀이」|사회주의: ‘암흑기’로
3 메이지 시대의 종언
조약개정 실현|신해혁명과 메이지 시대의 종언|제1차 호헌운동과 지멘스 사건|사라예보 사건에서 ‘유럽 대전’으로|일본의 ‘참전외교’
4 21개조 요구
제1호~제4호의 요점|초강경론 제5호|중국의 능란한 외교전|제5호 요구 삭제를 결정|왜 일본은 21개조 요구를 내밀었나
제4장 ‘세계대전’: 그 영향
1 세계대전 경기와 일본사회의 변모
세계대전 호황과 산업·경제|니시하라 차관|시베리아 출병|쌀소동과 대중운동의 시대
2 강화에서 군축으로
베르사유에서 워싱턴으로|가토 도모사부로 선언서 ‘미일전쟁은 불가능’
3 3·1운동과 5·4운동
조선의 3·1독립만세운동|중국의 배일 ‘5·4운동’|근대일본의 군사행동과 조선·중국
4 폭풍이 스쳐간 뒤
버블 붕괴와 1920년 전후공황|간토 대지진과 진재어음|1927년 금융공황과 산둥 출병|금해금金解禁과 1929년 쇼와 공황
종장終章 다음 ‘세계대전’: 그 징조
불황과 테러, 우경화|테러리스트의 마음: 오누마 쇼의 진술|‘동아시아 50년전쟁’시대의 종결
참고문헌
저자 후기 전쟁·조선·중국 세 요소로 본 근대일본의 역사
역자 후기 청일·러일전쟁, 놓쳐버린 10년 나아갈 10년, 한·중·일 간 역사 마주보기
찾아보기ㆍ인명
찾아보기ㆍ사항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