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으로 가는 길 또는 역사의 도전과 한국 유학의 대응
땅끝
2025-04-24 13:26
1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삼성으로 가는 길

도서명 : 삼성으로 가는 길
저자/출판사 : 홍기찬, 넥서스BIZ
쪽수 : 300쪽
출판일 : 2015-01-05
ISBN : 9791157522002
정가 : 15000
프롤로그_ 왜 삼성으로 가야 하는가
PART1. 삼성의 이해-지름길을 알고 가라
1. 취업 시장, 이것저것 다 빼고 ‘팩트’만 보라
2. 스펙, 취업의 절대 무기가 될 수 있을까?
3. 취업에 성공하고 싶다면 삼성을 알아야 한다
[Plus1] 삼성그룹 계열사 소개
[Plus2] 삼성의 인재 채용 시스템
PART2. SSAT 요령-한 번보다 열 번 풀어 본 사람이 낫다
1. 공대생에게 왜 미술 작품을 물어보는 것일까
2. 영역별 공부 방법을 짚어 보자
언어논리 | 수리논리 | 추리논리 | 시각적 사고 | 직무 상식
PART3. 자기소개서 공식-핵심만 알면 간단명료하다
1. 자기소개서, 채용 담당자의 입장에서 작성하라
2. 모든 질문의 의도는 항상 ‘직무 역량’이다
3. 훌륭한 자기소개서에는 공통점이 있다
4. 일반 전형 1번 문항 : 자기소개서 작성 시 흔히 하는 착각과 실수
5. 일반 전형 2번 문항 : 과거의 경험을 부각시키는 자기소개서의 조건
6. 일반 전형 3번 문항 : 기업 입장에서 사고하고 親기업적으로 판단하라
7. SCSA 전형 :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작성하라
8. 장교 전형 : 분명한 리더십을 어필하라
9. 초대졸·고졸 전형 : 2차 역량이 최우선이다
10. 열린 채용 : 당당하게 작성하라
[Plus3] 자기소개서 작성 포인트
[Plus4] 삼성그룹 계열사별·직무별 자기소개서 분석
PART4. 면접의 기술-결국 사람 대 사람이다
1. 구직자들의 오해, 임원 면접이 오히려 쉽다?
2.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부터 이해하라
[Plus5] SSAT 시험 출제를 통한 삼성 인재상 이해
3. 임원 면접의 기본, 가면을 쓰지 마라
4. 첫 번째 무기, 면접관은 눈에 보이는 것만 믿는다
5. 두 번째 무기, 1분 자기소개에 질문거리를 담아라
6. 세 번째 무기, 스토리텔링으로 면접관의 관심을 끌어라
[Plus6] 케이스별 실전 임원 면접 분석
7. PT 면접, ‘설명’이 아니라 ‘설득’을 하라
8. PT 면접을 ‘논리’로 무장시켜 줄 툴
[Plus7] SWOT를 활용한 PT 면접 문제 풀이
9. 실전, PT 면접 진행 시 주의 사항
에필로그_제도는 변해도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
역사의 도전과 한국 유학의 대응

도서명 : 역사의 도전과 한국 유학의 대응
저자/출판사 : 황의동, 책미래
쪽수 : 384쪽
출판일 : 2015-08-17
ISBN : 9791185134253
정가 : 20000
이 책을 내면서
| 제1부 시대 변화와 한국 유학의 역할 |
제1절 한국사회의 변화와 유학
1. 한국 역사와 유학
2. 현대사회의 변화와 유학의 위기
3. 한국의 미래와 유학의 역할
제2절 성리학 전성시대와 ‘무실(務實)’학풍의 대두
1. ‘무실’의 개념과 문제의식
2. 무실사상의 유학적 연원
3. 조선조 무실사상의 전개
1) 여말선초 유학자들의 ‘무실’에 대한 관심
2) 율곡학파의 무실론
3) 우계학파의 무실론
4) 실학파의 무실론
5) 양명학파의 무실론
6) 개화파의 무실론 안창호를 중심으로
제3절 조선 후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와의 갈등
1. 한국에서의 기독교 전래과정
2. 유교의 서학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
제4절 17~18세기 조선 유학의 역동성과 자주정신
1. 17~18세기 시대적 배경
2. 17세기 조선 유학의 역동성과 자주정신
1) 자주학풍의 대두와 양명학의 수용
2) 자생적 실학풍의 발흥
3. 자주와 창신을 향한 18세기 조선 유학의 변전(變轉)
1) 인간 본성에서 사물의 본성까지
2) 대의명분론의 극복과 힘의 자각
3) 실천지, 자유의지로서의 양지(良知)
4. 17~18세기 조선 유학의 철학사적 의의
제5절 21세기 유학의 현대적 계승
1. 유학의 본질
1) ‘인간’은 가장 소중한 가치
2) ‘사랑[仁]’의 실현
3) 행복한 세상[大同]을 향하여
2. 유학의 현대적 계승
1) 충효의 윤리
2) 인간성의 회복
3) 윤리의식의 제고
| 제2부 한국 유학의 산책 |
제1절 천년 신라에 있어서 ‘유학’ 그리고 ‘국학’
1. ‘천년 신라’의 의미
2. 국학 설립과 교학적(敎學的) 의의
3. 신라 유학의 조명
1) 신라 유학의 세 거유(巨儒)
2) 기타 신라 유학의 탐색
제2절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도학사상
1. 김굉필과 정여창
2. 김굉필의 도학적 삶과 정신
1) 소학적 실천
2) 〈한빙계(寒氷戒)〉에 나타난 도학사상
3. 정여창의 도학적 삶과 정신
1) 효행의 실천과 대의명분에 맞는 처세
2) 《소학》의 실천과 도학이론의 탐구
4. 김굉필, 정여창의 도학사상 비교
제3절 일재 이항(一齋 李恒)의 학문과 사상
1. 생애와 그 위상
2. 이기일물(理氣一物)의 세계관
3. 마음과 감정에 대한 견해
4. 주경(主敬)의 수기론
제4절 추파 송기수(秋坡 宋麒壽)의 유학사상
1. 생애와 학문교유
2. ‘이기지묘(理氣之妙)’의 체인
3. 호발론의 비판과 기발이승의 감정론
4. 마음공부와 ‘경(敬)’
5. 후대 평가와 위상
제5절 율곡과 우계의 학문과 사상
1. 율곡과 우계
2. 율곡과 우계의 아름다운 우정
1) 율곡의 우계에 대한 존경과 비판
2) 우계의 율곡에 대한 존경과 비판
3. 율곡 성리학과 우계 성리학
4. 율곡과 우계의 만남, 그 역사적 의미
제6절 사계 예학의 특성과 그 의의
1. 시대배경과 예학의 대두
2. 사계의 예학사상
1) 《상례비요(喪禮備要)》를 중심으로
2) 《가례집람(家禮輯覽)》을 중심으로
3) 《의례문해(疑禮問解)》를 중심으로
4) 《전례문답(典禮問答)》을 중심으로
3. 사계 예학의 특성
4. 사계 예학의 의의
제7절 만회 권득기(晩悔 權得己)의 철학사상
1. 가계와 학연
2. 주리적(主理的) 자연이해
3. 주리적 인간이해
4. ‘구시(求是)’, ‘공도(公道)’의 철학정신
5. 우환의식과 경세론
제8절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의 도학적 경세론
1. 우암 경세론의 유학적 배경
2. 17세기 조선조의 위기와 나라 걱정
3. 우암의 도학적 경세론
1) 도의정치의 실현
2) 치자의 입지와 학문
3) 다양한 민본대책
제9절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의 철학정신
1. 삶의 자취와 인품
1) 학문형성의 배경
2) 동춘당의 인품
2. 동춘당의 철학정신
1) 성인됨과 왕도의 실현
2) 윤리세계의 구현
3) 마음공부의 중요성
제10절 임헌회(任憲晦)와 전우(田愚) 그 계승과 창신
1. 학문적 연원
2. 역사인식과 자정(自靖)의리
3. 성리학적 계승과 창신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