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옻을 입다 또는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시조 옻을 입다 또는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땅끝
2025-04-24 13:26 11 0

본문




시조 옻을 입다
9788960397064.jpg


도서명 : 시조 옻을 입다
저자/출판사 : 고요아침 편집부, 고요아침
쪽수 : 75쪽
출판일 : 2015-04-15
ISBN : 9788960397064
정가 : 10000

드리는 말 최연근/ 향기와 빛의 사유
서문 이근배/ 겨레의 가락과 빛깔의 벽력

초대작품
동짓달 기나긴 밤을/ 황진이
간찰/ 이근배

회원작품
거울/ 선안영
겨울산/ 지희선
꿈 1/ 김동찬
나의 시간/ 김일남
노을/ 이말라
동백꽃/ 서석조
먹/ 정용국
민속박물관에서/ 추창호
바닷가 찻집에서/ 정해송
바람꽃/ 김윤숙
밤 빗소리/ 박현덕
백두산의 눈물/ 최연근
백합/ 김강호
보고파서/ 정은정
복원 1/ 정희경
사다리/ 이광
사랑이미지/ 변현상
소나기/ 김진숙
수국/ 임태진
수평선/ 손중호
신호등 앞에서/ 유헌
아파트/ 임석
입추/ 권천학
전통 호떡/ 정희경
초가을 밤/ 박영식
치매 1/ 박홍재
貝葉經/ 최필
풍등, 날다/ 최연근
하현/ 정혜숙
한국의 가을/ 이지엽
히치하이킹/ 강지원

포럼 2015사업 계획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9788960777798.jpg


도서명 : PostgreSQL 9.4 공식 가이드 Vol.1: 서버 관리
저자/출판사 : The PostgreSQL Global Develop, 에이콘출판
쪽수 : 448쪽
출판일 : 2015-10-30
ISBN : 9788960777798
정가 : 30000

1장 소스 코드로 설치
1.1 짧은 버전
1.2 요구 사항
1.3 소스 다운로드
1.4 설치 절차
1.5 설치 후 셋업
1.5.1 공유 라이브러리
1.5.2 환경 변수
1.6 지원 플랫폼
1.7 플랫폼 특정 참고 사항
1.7.1 AIX
1.7.1.1 GCC 문제
1.7.1.2 유닉스 도메인 소켓 끊어짐
1.7.1.3 인터넷 주소 문제
1.7.1.4 메모리 관리
1.7.2 시그윈
1.7.3 HP-UX
1.7.4 MinGW/네이티브 윈도우
1.7.4.1 윈도우에서 크래시 덤프 수집
1.7.5 SCO 오픈서버 및 SCO 유닉스웨어
1.7.5.1 스컹크웨어
1.7.5.2 GNU Make
1.7.5.3 Readline
1.7.5.4 오픈서버에서 UDK 사용
1.7.5.5 PostgreSQL Man 페이지 읽기
1.7.5.6 7.1.1b 추가 기능에서의 C99 문제
1.7.5.7 유닉스웨어에서의 스레딩
1.7.6 솔라리스
1.7.6.1 필수 툴
1.7.6.2 OpenSSL에서의 문제
1.7.6.3 실패한 테스트 프로그램에 대한 configure의 complain
1.7.6.4 64비트 빌드 Crashes
1.7.6.5 최적의 성능을 위한 컴파일
1.7.6.6 PostgreSQL 추적용 DTrace 사용

2장 윈도우에서 소스 코드로 설치
2.1 비주얼 C++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SDK를 이용한 빌드
2.1.1 요구 사항
2.1.2 64비트 윈도우에 대한 특별 고려사항
2.1.3 빌드
2.1.4 클리닝 및 설치
2.1.5 회귀 테스트 실행
2.1.6 문서 빌드
2.2 비주얼 C++ 또는 볼랜드 C++를 사용한 libpq 빌드
2.2.1 생성된 파일

3장 서버 설정 및 운용
3.1 PostgreSQL 사용자 계정
3.2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생성
3.2.1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3.3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작
3.3.1 서버 시작 실패
3.3.2 클라이언트 연결 문제
3.4 커널 리소스 관리
3.4.1 공유 메모리 및 세마포어
3.4.2 리소스 제한
3.4.3 리눅스 메모리 오버커밋
3.4.4 리눅스 huge pages
3.5 서버 셧다운
3.6 PostgreSQL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3.6.1 pg_dumpall을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6.2 pg_upgrade를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6.3 복제를 통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3.7 서버 스푸핑 방지
3.8 암호화 옵션
3.9 SSL을 사용한 TCP/IP 연결 보호
3.9.1 클라이언트 인증서 사용
3.9.2 SSL 서버 파일 사용
3.9.3 자체 서명된 인증서 생성
3.10 SSH 터널을 사용해 TCP/IP 연결 보호
3.11 윈도우에 이벤트 로그 등록

4장 서버 구성
4.1 매개변수 설정
4.1.1 매개변수 이름 및 값
4.1.2 구성 파일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3 SQL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4 셸을 통한 매개변수 인터랙션
4.1.5 구성 파일 내용 관리
4.2 파일 위치
4.3 연결 및 인증
4.3.1 연결 설정
4.3.2 보안 및 인증
4.4 리소스 소비
4.4.1 메모리
4.4.2 디스크
4.4.3 커널 리소스 사용량
4.4.4 비용 기반 Vacuum 지연
4.4.5 백그라운드 Writer
4.4.6 비동기 동작
4.5 Write Ahead Log
4.5.1 설정
4.5.2 Checkpoints
4.5.3 아카이빙
4.6 복제
4.6.1 전송 서버
4.6.2 마스터 서버
4.6.3 스탠바이 서버
4.7 쿼리 플랜
4.7.1 플래너 방법 구성
4.7.2 플래너 비용 상수
4.7.3 제네릭 쿼리 옵티마이저
4.7.4 기타 플래너 옵션
4.8 에러 리포팅 및 로깅
4.8.1 Where To 로그
4.8.2 When To 로그
4.8.3 What To 로그
4.8.4 CSV 형식 로그 출력 사용
4.9 실시간 통계
4.9.1 쿼리 및 인덱스 통계 콜렉터
4.9.2 통계 모니터링
4.10 자동 Vacuuming
4.11 클라이언트 연결 기본값
4.11.1 문(statement) 동작
4.11.2 로케일 및 형식 지정
4.11.3 공유 라이브러리 사전 로드
4.11.4 그 외 기본값
4.12 잠금 관리
4.13 버전 및 플랫폼 호환성
4.13.1 이전 PostgreSQL 버전
4.13.2 플랫폼 및 클라이언트 호환성
4.14 에러 처리
4.15 프리셋 옵션
4.16 커스텀 옵션
4.17 개발자 옵션
4.18 단축 옵션

5장 클라이언트 인증
5.1 pg_hba.conf 파일
5.2 사용자 이름 맵
5.3 인증 방법
5.3.1 트러스트 인증
5.3.2 패스워드 인증
5.3.3 GSSAPI 인증
5.3.4 SSPI 인증
5.3.5 Ident 인증
5.3.6 피어 인증
5.3.7 LDAP 인증
5.3.8 RADIUS 인증
5.3.9 인증서 인증
5.3.10 PAM 인증
5.4 인증 문제

6장 데이터베이스 role
6.1 데이터베이스 role
6.2 role 속성
6.3 role 멤버십
6.4 함수 및 트리거 보안

7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7.1 개요
7.2 데이터베이스 생성
7.3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7.4 데이터베이스 환경 설정
7.5 데이터베이스 소멸
7.6 테이블스페이스

8장 로컬라이제이션
8.1 로케일 지원
8.1.1 개요
8.1.2. 동작
8.1.3. 문제
8.2 콜레이션 지원
8.2.1. 개념
8.2.2 콜레이션 관리
8.3 문자 집합 지원
8.3.1 지원되는 문자 집합
8.3.2 문자 집합 설정
8.3.3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자동 문자 집합 변환
8.3.4 추가 자료

9장 정기적인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 작업
9.1 정기적인 Vacuuming
9.1.1 Vacuuming 기초
9.1.2 디스크 공간 복구
9.1.3 실행 계획 통계 업데이트
9.1.4 가시성 맵 업데이트
9.1.5 트랜잭션 ID 랩어라운드 실패 방지
9.1.5.1 Multixact 및 랩어라운드
9.1.6 Autovacuum 데몬
9.2 일상적인 리인덱싱
9.3 로그 파일 유지관리

10장 백업 및 복원
10.1 SQL 덤프
10.1.1 덤프 복원
10.1.2 pg_dumpall 사용
10.1.3 거대 데이터베이스 처리
10.2 파일 시스템 레벨 백업
10.3 연속 아카이빙 및 PITR
10.3.1 WAL 아카이빙 셋업
10.3.2 베이스 백업
10.3.3 저수준 API를 사용한 베이스 백업
10.3.4 연속 아카이브 백업을 사용한 복구
10.3.5 타임라인
10.3.6 팁 및 예제
10.3.6.1 독립 실행형 핫 백업
10.3.6.2 압축된 아카이브 로그
10.3.6.3 archive_command 스크립트
10.3.7 통고

11장 고가용성, 로드 밸런싱 및 복제
11.1 각종 솔루션 비교
11.2 로그 전달 스탠바이 서버
11.2.1 플래닝
11.2.2 스탠바이 서버 운용
11.2.3 스탠바이 서버를 위한 마스터 서버 준비
11.2.4 스탠바이 서버 셋업
11.2.5 스트리밍 복제
11.2.5.1 인증
11.2.5.2 모니터링
11.2.6 복제 슬롯
11.2.6.1 복제 슬롯 쿼리 및 조작
11.2.6.2 구성 예제
11.2.7 케스케이딩 복제
11.2.8 동기 복제
11.2.8.1 기초 구성
11.2.8.2 성능에 대한 플래닝
11.2.8.3 고가용성에 대한 플래닝
11.3 페일오버
11.4 로그 전달의 대안
11.4.1 구현
11.4.2 레코드 기반 로그 전달
11.5 핫 스탠바이
11.5.1 사용자 개요
11.5.2 쿼리 충돌 처리
11.5.3 관리자 개요
11.5.4.핫 스탠바이 매개변수 참조
11.5.5 통고

12장 복구 구성
12.1 아카이브 복구 설정
12.2 복구 타깃 설정
12.3 스탠바이 서버 설정

13장 데이터베이스 활동 모니터링
13.1 표준 유닉스 툴
13.2 통계 수집기
13.2.1 통계 수집 구성
13.2.2 수집된 통계 보기
13.2.3 통계 함수
13.3 잠금 보기
13.4 동적 트레이싱
13.4.1 동적 트레이싱의 컴파일
13.4.2 내장 프로브
13.4.3 프로브 사용
13.4.4 새 DTrace 정의

14장 디스크 사용량 모니터링
14.1 디스크 사용량 결정
14.2 디스크 꽉 참 실패

15장 안정성 및 Write-Ahead Log
15.1 안정성
15.2 WAL
15.3 비동기 커밋
15.4 WAL 환경 설정
15.5 WAL 인터널

16장 회귀 테스트
16.1 테스트 실행
16.1.1 임시 설치로 테스트 실행
16.1.2 기존 설치로 테스트 실행
16.1.3 추가 테스트 Suites
16.1.4 로케일 및 ENCODING
16.1.5 추가 테스트
16.1.6 핫 스탠바이 테스트
16.2 테스트 평가
16.2.1 에러 메시지 차이
16.2.2 로케일 차이
16.2.3 날짜 및 시간 차이
16.2.4 Floating-Point 차이
16.2.5 행 순서 차이
16.2.6 스택 깊이 부족
16.2.7 ”random” 테스트
16.2.8 구성 매개변수
16.3 변종 비교 파일
16.4 TAP 테스트
16.5 테스트 커버리지 검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