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병 또는 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가족이라는 병 또는 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땅끝
2025-04-24 13:26 10 0

본문




가족이라는 병
9788952231864.jpg


도서명 : 가족이라는 병
저자/출판사 : 시모주 아키코, 살림
쪽수 : 236쪽
출판일 : 2015-07-20
ISBN : 9788952231864
정가 : 13800

책머리에 사실은, 아무도 가족에 대해 모른다
가족이란 무엇인가
나는 왜 가족을 피해왔나

제1장 가족은 어렵다
가족, 하면 무조건 믿는 우리
왜 사건은 가족 사이에서 벌어지는가
결혼하지 못하는 젊은이가 늘어나는 이유
자식에게서 벗어나지 못하는 딱한 부모
사이 나쁜 가족들 틈에서도 아이는 제대로 자란다
어른에게 착하기만 한 아이는 괜찮은 어른으로 성장하지 못한다
가족의 ‘기대’는 최악의 스트레스
유산을 남겨 좋을 일은 하나도 없다
돈이 얽히면 비로소 드러나는 가족관계
부부라도 서로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제2장 가족이라는 병
화젯거리가 가족밖에 없는 사람은 재미없다
가족 얘기는 어차피 자랑이거나 불평
다른 가족과 비교하는 순간, 불행이 시작된다
‘반려’와 ‘파트너’라는 호칭이 갖는 의미
‘자식을 위해 이혼하지 않는다’는 정당한가
결혼만큼 스트레스가 쌓이는 일도 없다
여자는 아이를 꼭 낳아야 하나
무조건 아이를 낳으라고 하는 잔인함
가족에게 버려져야 평안을 얻는 사람들
고독사는 불행이 아니다
가족묘에 묻히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결혼은 하지 않더라도 타인과의 생활은 중요하다
가족 앨범이 뜻하는 것
가족만큼 까다로운 것도 없다

제3장 가족을 알다
늙은 부모를 보살피면서 마침내 이해하는 부모와 자식
부모는 병들었을 때에야, 가장 약한 모습을 보인다
가족은 왜 배타적인가
가족이라는 이름의 폭력
가족에게 폐를 끼치는 기쁨도 있다
가족이 소멸하고 있다
가장 가깝고도 먼 존재가 가족
둘밖에 없는 가족
가족이란 이름으로 행복을 강매하다
가족과 핏줄은 무관하다

제4장 세상 떠난 가족에게 쓰는 편지
가족을 아는 것은 즉 자신을 아는 것
아버지에게 - 겨울 천둥
아버지에게 - 공직추방
아버지에게 - 당신이 남긴 것들
아버지에게 - 남자들의 싸움
아버지에게 - 땅에 추락한 우상
아버지에게 - 가정이 무너지는 순간
아버지에게 - 주치의에게서 온 편지
아버지에게 - 악화
어머니에게 - 주고받은 편지들
어머니에게 - 모성에 관하여
어머니에게 - 반항
오빠에게 - 췌장암
오빠에게 - 뒤엉킨 실타래
나에게 - 마지막에는 결국 혼자

옮긴이의 말




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9791186900116.jpg


도서명 : 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저자/출판사 : 유범희, 더숲
쪽수 : 210쪽
출판일 : 2016-06-30
ISBN : 9791186900116
정가 : 14000

프롤로그: 무의식은 우리를 알고 있다

1장 | 무심코 저지르는 내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매일 생각과 감정을 무의식 속에 묻으며 살아간다 19 / 실수는 의식과 무의식의 절묘한 타협이다 21 / 무의식이 우리에게 전하려는 것 28

2장 | 모든 것은 내 마음을 아는 것에서 시작된다
- 마음의 구조
내 마음의 진짜 모습은 무엇일까 31 / 불안은 마음속의 위험을 미리 알리는 신호다 37

3장 | 스트레스와 불안으로부터 내 마음을 지키다
- 심리적 방어기제
심리적 방어기제란 무엇인가 43 / 홀로코스트, 관동대지진 한국인 학살 등_ 원시적 방어기제 44 / 스트레스성 두통, 정신적 퇴행, 광신도의 신봉_ 미성숙한 방어기제 49 / 다중인격장애, 노이로제로 인한 신체 증상_ 신경증적 방어기제 51 / 마더 테레사, 에볼라 의료진, 유머_ 성숙한 방어기제 53

4장 | 내 기억이 때론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
- 기억의 메커니즘
뇌는 중요한 것만 압축해서 기억한다 59 / 기억은 왜 왜곡되는가 64

5장 | 나를 사랑하는 것도 병이 될 수 있다
- 자기애와 자기애성 인격장애
100명 중 한 명은 자기애성 인격장애 71 / 화가들이 자화상에 집착하는 이유 75 / 나를 긍정적으로 비춰줄 거울이 필요하다 78 / 최근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 81

6장 | 현재 나의 인간관계는 어릴 적 경험과 연결된다

- 대상관계
대상관계란 무엇인가 85 / 부모가 아이의 인간관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유 87 / 껄끄러운 인간관계가 반복된다면 94

7장 | 숨죽이고 있는 내 마음속의 불
- 화와 공격성
화병, 정서적·신체적으로 화가 조용히 폭발하는 것 99 / 사소한 감정이라도 평소에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107

8장 | 우리는 왜 사랑에 빠질까
- 사랑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가 나의 사랑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111 / 사랑, 무의식적 환상의 또 다른 이름 114

9장 | 꿈을 들여다보면 답이 있다
- 꿈의 해석
꿈, 무의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 123 / ‘꿈 해석’이란 무엇인가 126 / 꿈은 경험, 본능적 욕망, 무의식적 소망의 복합체 131

10장 | 무의식 속 환상은 위대한 예술작품을 낳는다
- 예술과 정신분석
창작과 놀이는 모두 무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135 / 예술가와 우울증 139 / 우리는 왜 예술작품에 끌리는가 144

11장 | 불안과 위기는 무의식이 먼저 알고 있다
- 불안과 공황의 심리
불안장애의 극단, 공황 147 / 전 인구의 3%, 공황장애를 경험한다 150

12장 | 살다 보면 끔찍하게 외롭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 우울과 슬픔의 심리
우울증이 생기는 이유 157 / 마음이 아닌 몸이 아픈 가면성 우울증 162

13장 | 어떻게 하면 심리적 허기를 채울 수 있을까
- 폭식의 심리
신경성 폭식증은 정신과 질환이다 167 / 폭식증, 무의식적 양가감정의 슬픈 운명 170

14장 | 부끄러움이 지나치면 병이 된다
- 수줍음과 대인공포의 심리
부끄러움은 유전적·환경적 요인 탓 179 / 전체 인구의 8명 중 한 명은 대인공포증 182 / 적당한 부끄러움은 병이 아닌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186

15장 | 정신분석은 불완전한 인간을 완벽한 존재로 바꾸는 것이 아니다
- 정신분석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정신분석 치료와 일반 상담치료의 다른 점 191 / 정신분석, 삶의 재건을 돕다 194 / 다가오는 정신분석의 르네상스 197

에필로그: 아픈 마음 읽기 199
정신분석 관련 주요용어 및 이론 205
참고문헌 21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