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돌파력 또는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생각의 돌파력 또는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땅끝
2025-04-24 13:26 10 0

본문




생각의 돌파력
9788965703259.jpg


도서명 : 생각의 돌파력
저자/출판사 : 김시래, 쌤앤파커스
쪽수 : 276쪽
출판일 : 2016-04-15
ISBN : 9788965703259
정가 : 15000

Prologue 생각을 만드는 것이 막막한 이들에게ㆍ4

STEP 1 열정 생각의 에너지를 채워라
집념은 몹시 뜨겁다ㆍ22
열정이 위험할 때도 있다ㆍ27
생각의 발전소, 호기심ㆍ30
모든 경험은 지혜를 남긴다ㆍ34
99% 싱크 1% 잉크ㆍ38
덕후는 남다르다ㆍ42

STEP 2 관찰 생각의 가능성을 발견하라
모든 것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ㆍ50
세속적인 것의 진면목을 보는 법ㆍ52
창백한 푸른 점 하나ㆍ59
사실 속에 숨은 진실ㆍ63
보이는 것 너머를 볼 줄 아는 눈ㆍ67
관찰력은 경쟁에서 살아남게 하는 방패다ㆍ70
나부터 관찰하라ㆍ75
많이 봐야 새로운 것도 보인다ㆍ78
같은 것도 남다르게 보라ㆍ79
알랭 드 보통의 보통 아닌 통찰ㆍ85
인문의 숲에서 헤아려라ㆍ90
세계 최고의 관점은 이노베이션의 총합이다ㆍ92
철학 고전 100권이 노벨상을 배출하다ㆍ94
당신의 관찰력을 위하여ㆍ96

STEP 3 결합 & 상징 생각의 엔진을 작동시켜라
러버덕이 만든 시대의 상징ㆍ104
이미지와 공감이 만나면 어떤 상징이 되는가ㆍ107
상징 안의 드라마ㆍ109
묶는 대로 의미가 생긴다ㆍ113
상반된 결합도 가치를 만든다ㆍ116
패키지의 마법ㆍ122
쉽게 세상을 말하는 법ㆍ124
하나의 상징을 이해하려면 총체적인 지식이 필요하다ㆍ126
비유가 흘러온 시간ㆍ128
색은 말한다ㆍ134
애플의 사과에 무엇이 담겼나ㆍ140
가장 축약된 그래픽 상징ㆍ145
공익적일수록 자극적이라는 역설ㆍ151
한 끗 차이의 절묘한 상징ㆍ156
직설적인 상징의 힘ㆍ158
즐거움의 왕국 코카콜라ㆍ160
클래식의 힘ㆍ163
확실한 상징에는 유효기간이 없다ㆍ166
매일 매일 오늘의 로고ㆍ170
상식의 정반대에도 정답은 있다ㆍ172
결국은 공감의 폭과 깊이다ㆍ173

STEP 4 스토리텔링 생각의 가속도를 높여라
이야기로 만들면 팩트에 발이 달린다ㆍ178
정우성 짬뽕집의 전설ㆍ179
디지털의 시대, 이야기의 탄생에 주목하라ㆍ181
가랑비에 옷이 젖는다ㆍ182
아이디어를 편집하라ㆍ185
구슬이 서 말이라도 잘 꿰는 게 중요하다ㆍ190
이야기의 힘, 기억으로 침투한다ㆍ194
이야기의 힘, 감정으로 각인된다ㆍ196
어떻게 이야기를 탄생시킬 것인가ㆍ197
70%의 익숙함 30%의 새로움ㆍ200
이야기를 이야기처럼 만들라ㆍ201
짧은 것이 기술이다ㆍ205
브랜드의 생명력 브랜드의 스토리ㆍ207
긍정적으로 그리고 사실적으로ㆍ213
짜릿하게 그리고 따뜻하게ㆍ216
식상한 것도 스토리가 더해지면 강렬해진다ㆍ219
여전히 전설에 목마르다ㆍ221
스토리텔링이 아직도 어렵다면ㆍ222

STEP 5 참여 생각의 동승자를 모아라
텅 빈 교회는 영혼을 구원할 수 없다ㆍ226
문화를 바꾸는 참여의 기술ㆍ232
행동을 유발하는 확산의 기술ㆍ236
입을 탓하지 말고 단맛을 입혀라ㆍ241
소비자가 제품을 직접 만드는 세상ㆍ243
한 번의 터치로 가능하게 하라ㆍ246
좋은 캠페인은 입이 열리고 발이 달린다ㆍ253
참여의 열쇠 공유가치ㆍ262
온라인 5일장의 박리다매ㆍ266
게임과 운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ㆍ267

Epilogue 생각을 만드는 것이 즐거움이 되길 바라며ㆍ270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9788962912791.jpg


도서명 :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저자/출판사 : 조철기, 푸른길
쪽수 : 512쪽
출판일 : 2015-03-25
ISBN : 9788962912791
정가 : 30000

머리말

제1부 지리수업의 설계
제1장 수업
1. 수업이란? 2. 교수자로서의 교사 3. 학습자로서의 학생 4. 좋은 수업이란?

제2장 수업설계
1. 수업설계의 의미 2. 수업설계 시 고려사항 3. 수업설계의 체제적 접근 4. 수업설계 모형

제3장 수업지도안
1. 수업지도안의 구비 조건 2. 단원 수업지도안 3. 본시 수업지도안 4. 수업지도안의 분석

제2부 지리수업의 실행
제4장 수업의 실행
1. 수업 실행의 중요성 2. 수업의 실행 절차

제5장 수업 도입 기술
1. 도입활동 2. 학습환경 및 수업 분위기 조성 3. 선수학습 확인 4. 학습주제 확인
5. 학습목표 제시 6. 동기유발

제6장 수업 전개 기술
1. 학습내용의 제시 2. 학습안내의 제공 3. 형성평가의 실시 4. 학습활동과 피드백의 제공
5. 언어적 상호작용: 발문과 응답 6. 비언어적 의사소통 7. 수업 중 교사의 행동

제7장 수업 정리 기술
1. 학습내용의 정리 2. 학습결과/성취행동의 평가 3. 파지와 전이의 촉진 4. 차시 예고와 과제 제시

제3부 지리수업의 모형 및 전략
제8장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개념 2. 협동학습의 원리 3. 협동학습의 과정 4. 협동학습의 유형
5. 협동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6. 협동학습을 평가하기 7. ICT 사용하기 8. 협동학습 유형별 특징과 실제

제9장 게임과 시뮬레이션 그리고 역할극
1. 도입 2. 시뮬레이션 3. 게임 4. 퀴즈와 퍼즐 5. 카드 게임 6. 보드 게임
7. 시뮬레이션 게임 8. 역할극

제10장 마인드 매핑
1. 마인드 매핑 2. 심상지도 3. 정의적/감성적 지도 그리기 4. 로고비주얼 사고

제11장 개념도 그리기
1. 거미 다이어그램과 풍선 다이어그램 2. 개념도 3. 프레어 모형

제12장 이미지 활용 수업
1. 도입 2. 서로 등을 맞대고 3. 사진 확장하기 4. 가면을 쓴 사진 5. 지도와 사진
6. 사진 직소 7. 사진 속으로 들어가기 8. 이 장소는 어디일까? 9. 준비, 침착, 기억
10. 마인드 무비 11. 기억으로부터의 지도

제13장 지리 프레임
1. QUADs 2. KWL 3. 글쓰기 및 노트필기 프레임 4. 글쓰기 계획자 5. 결과 다이어그램 6. 개발나침반
7. 비전 프레임 8. 추론의 층위 프레임 9. 5Ws(무엇? 어디에? 누가? 언제? 왜?) 10. 5개의 핵심 포인트
11. 텍스트관련 지시활동(DARTs) 12. 유추 도해 조직자

제4부 지리수업의 관찰과 비평
제14장 지리수업의 관찰과 비평
1. 수업개선 프로그램 2. 수업장학 3. 수업컨설팅 4. 수업비평 5. 수업관찰 및 분석 도구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