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 STAN 00-600&JSP 886 vol.7(종합군수지원&국방군수지원체계매뉴얼) 또는 한글 대학 중용
땅끝
2025-04-24 13:26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9회 연결
본문
DEF STAN 00-600&JSP 886 vol.7(종합군수지원&국방군수지원체계매뉴얼)

도서명 : DEF STAN 00-600&JSP 886 vol.7(종합군수지원&국방군수지원체계매뉴얼)
저자/출판사 : 영국 국방부, 책과나무
쪽수 : 870쪽
출판일 : 2015-10-19
ISBN : 9791157761005
정가 : 75000
역자서문
DEF STAN 00-600
Def Stan 00-600 종합군수지원, 국방부 사업 요구사항
JSP 886 국방 군수지원체계 매뉴얼
제7권 종합군수지원
제1부 종합군수지원 정책
제2부 종합군수지원 관리
제3부 지원성 분석
제4부 소프트웨어 지원
제5.01부 자동생성 군수정보의 관리 및 활용
제6부 종합군수지원 테일러링
제7부 보급 인도 관리, 모니터링 및 검토
제8.01부 교육 및 교육장비
제8.02부 포장, 취급, 저장 및 수송
제8.03A부 정비계획
제8.03B부 정비설계
제8.03C부 정비관리
제8.03D부 정비수행 및 기록
제8.03E부 정비기록 활용
제8.04부 신뢰도 및 정비도
제8.05부 기술문서
제8.06부 시험장비
제8.07부 지원장비
제8.08부 시설 및 지원기반
제8.09부 인간 요소 통합
제8.10부 보급지원
제8.11부 품질관리
제8.12부 형상관리
제8.13부 단종관리
제8.14부 특수 식별을 요하는 품목의 관리
제8.15부 공통 방산물자의 활용에서 게이트키퍼의 역할
(ILS 표준화 프로세스)
제8.16부 교정방침
제9부 지원성 케이스
제10부 수명주기동안 설계 관리
한글 대학 중용

도서명 : 한글 대학 중용
저자/출판사 : 신창호, 판미동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5-07-14
ISBN : 9788960179455
정가 : 17000
『한글 대학』 차례
발간사
서문 〈한글 사서〉, 그 처음과 끝
들어가면서 지도자는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하는가?
1부 대학의 가치 그리고 그것을 읽는 자세와 방법
『대학』은 ‘위대한’ 저술이다. 왜냐하면 최고지도자가 지녀야 할 삶의 원리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어권에서도 큰 배움, 즉 ‘그레이트 러닝(Great Learning)’으로 번역하여 이해하고 있다. 배움 가운데서도 ‘크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대학』의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학-대학’이라는 유교의 학문 단계를 살피고, 다음으로 『대학』을 왜,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성찰해야 한다. 그래야만 지도자란 무엇이고, 지도자가 되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책무성과 위대함을 터득할 수 있다.
2부 『대학장구』 한글 독해
『대학장구』는 주자가 장구로 편집하면서 붙인 「서」를 필두로, 하나의 「경」과 열 개의 「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은 3부에서 독해한 『고본대학』을 논리적으로 검토한 후 자신의 철학과 사상을 투영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열 개의 「전」에서는 「경」에서 언급한 삼강령 팔조목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자세하게 해석하고 있다. 주자가 『대학장구』를 지은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학문적 논란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자의 『대학장구』는 동아시아 경학사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 주석서로 평가받는다
3부 『고본대학』 한글 독해
『고본대학』은 주자가 장구로 편집하기 이전의 옛 판본이다. 『대학』은 한나라 때 편집된 문헌인 『예기』의 제42편에 실려 있던 경전이다. 이는 당나라 때 한유가 「원도」를 저술하기 이전까지는 큰 빛을 보지 못하였다. 한유는 「원도」를 통해 요·순 이래 공·맹에 이르는 유학의 도통을 천명하고 「대학」의 팔조목을 인용하였다. 이때부터 「대학」의 가치가 본격적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당시의 「대학」이 『고본대학』이다. 『고본대학』은 「경」이나 「전」 등 장구의 구분 없이 하나의 글로 되어 있다. 이것이 송나라 때 주자에 의해 『대학장구』로 거듭나면서 주자학의 기본 이론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부록 『大學章句』, 『古本大學』 원문
참고 문헌
『한글 중용』 차례
들어가면서 중용, 인생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삶의 양식
1부 『중용』의 가치 그리고 그것을 읽는 자세와 방법
‘사서’로 명명되는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은 유교의 특성과 요지를 심층적으로 담고 있는 기본 경전이다. 그러기에 독서의 순서도 질서정연하게 제시된다. 『대학』을 통해 공부의 규모를 정하고, 『논어』에서 그 공부의 근본을 세우며, 『맹자』에서 공부가 펼쳐지고 넘나드는 차원을 볼 수 있고, 『중용』에서 옛 사람의 숨겨져 있으면서도 묘한 공부의 절정을 맛보게 하였다.
2부 『중용』 한글 독해
『중용』은 모두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주자의 『중용장구』에는 서문이 붙어 있는데, 주자의 사상과 학문에 대한 견해가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전통적으로 많은 학자들이 애송하였다. 주자는 『중용』의 본문을 내용상 여섯 개의 큰 단락으로 나누었다. 여기에서는 『중용장구』의 서문을 맨 앞에 제시하고, 본문은 주자의 구분에 의거하여 단락을 배치하여 독해한다.
제1단락 알맞음과 서로 응함
제2단락 일상생활의 합리적 운용
제3단락 드러남과 숨겨짐의 동시성
제4단락 우주 자연의 질서와 인간 사회의 법칙
제5단락 인간의 도리와 자연의 운행 질서
제6단락 다시 중용, 그 무성무취의 삶
부록 『中庸章句』 원문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