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륭황제. 1 또는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건륭황제. 1 또는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땅끝
2025-04-24 13:26 9 0

본문




건륭황제. 1
9791186589533.jpg


도서명 : 건륭황제. 1
저자/출판사 : 얼웨허, 더봄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6-05-18
ISBN : 9791186589533
정가 : 12000

건륭황제 1부 풍화초로風華初露(건륭황제 ①~③)

건륭황제 ①권

옮긴이의 말
‘제왕삼부곡’ 완결편 《건륭황제》에 대하여

1장 | 도대道臺를 살해한 부대府臺의 하극상
2장 | 살인사건의 증인
3장 | 옹정황제의 급작스런 최후
4장 | 건륭황제의 등극
5장 | 건륭의 통치술
6장 | 석방되는 양명시
7장 | 북경에 부는 새바람
8장 | 건륭의 야행夜行
9장 | 민정民情을 살피다, 이인異人을 만나다
10장 | 어가를 호위하는 장님 도사
11장 | 낙방거사와 가난한 여인
12장 | 조설근, 사랑을 얻다
13장 |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난 죄인
14장 | 풍류남아 건륭
15장 | 부항의 고민과 장정옥의 가르침
16장 | 흠차대신欽差大臣과 사교邪敎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9788952772459.jpg


도서명 :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저자/출판사 : 매튜 D. 리버먼, 시공사
쪽수 : 512쪽
출판일 : 2015-01-20
ISBN : 9788952772459
정가 : 23000

머리말

1부 본성
1장 우리는 누구인가
청중의 반응에 반응하는 뇌 | 우리 뇌 안의 사회적 연결망 | 더 현명하고 생산적인 우리를 위하여
2장 뇌의 관심사
뇌의 기본 신경망 | 기본 신경망과 사회인지 | 우리가 사회적 세계에 관심을 가지는 까닭 | 인간의 사회성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 뇌의 크기 | 인간의 뇌가 큰 이유 | 사회적 뇌 가설 | 집단생활의 혜택

2부 연결
3장 마음의 고통과 몸의 고통
출생 후 발달하는 뇌 | 매슬로의 욕구 위계 뒤집기 | 실제 고통 | 사회적 고통과 실제 고통 | 분리고통과 울음소리 | 고통과 전대상피질 | 애착과 전대상피질 | 사이버볼 게임 | 배측 전대상피질이 실제로 하는 일 | 인간의 경보체계, 배측 전대상피질 | 아스피린 두 알의 효과 | 돌멩이와 따돌림이 주는 통증
4장 공정함과 사회적 보상
공정함은 초콜릿처럼 달콤하다 | 긍정적인 사회적 신호에 반응하는 뇌 | 보상의 다양성 | 협력 | 사익 추구의 공리 | 이타주의를 둘러싼 논쟁 | 사회적 보상의 힘 | 왜 우리는 이기적인 척할까? | 고통과 쾌감의 수명

3부 마음 읽기
5장 심리화 체계
일상적인 마음 읽기 | 누가, 언제 마음이론을 갖게 되는가 | 일반지능을 위한 신경망 | 사회적 지능을 위한 신경망 | 기본 값으로 작용하는 심리화 작업 | 사회적 사고는 사회적 삶을 위한 것이다 | 정보의 디스크자키 | 심리화 작업이 언제나 완벽한 것은 아니다 | 심리화 작업의 기적
6장 거울체계
원숭이가 보는 것과 하는 것 | 모방 | 마음을 읽는 거울 | 거울의 균열 | 거울체계와 심리화 체계 | 무엇을 어떻게 왜 | 사회적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7장 사회적 마음의 작동 여부
타인의 고통 느끼기 | 인간 본성의 선한 측면들 | 중격부의 역할 | 사회적 외계인 | 자폐증과 마음이론의 결핍 | 숨은 도형 찾기 | 원인인가 결과인가? | 깨진 거울 가설 | 강력한 세계 가설 | 사회인지

4부 조화
8장 트로이의 목마를 닮은 ‘자기’
거울 속의 나 | 신경적 이원론자 | 제삼의 나 | 트로이 목마 자기 | 타인의 눈에 비친 나 | 신념의 변화 | 신경적 표적집단 | 우리는 그렇게 이기적이지 않다
9장 전방위적인 자기통제
자제력과 학업 성취도 | 뇌의 억제체계 | 억제와 재평가 | 정서 명명하기 | 자기통제와 정서 | 대가와 혜택 | 우리의 자기통제를 통제하는 자는 누구인가? | 우리 마음의 전방위 감시체계들 | 자기의 존재 이유 | 우리의 사회적인 뇌

5부 더 현명하고 행복하며 생산적인 삶을 위한 제언
10장 사회적 뇌와 행복
얼마면 행복을 살 수 있을까? | 행복의 역설에 대한 설명 | 사회성의 쇠퇴 | 왜 우리는 점점 더 비사회적 인간이 되는가? | 사회적 교류 재건하기 | 페이스북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11장 사회적 뇌와 직업
당신의 SCARF를 기억하라 |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것 | 더 나은 고용주가 되기 위한 조건 | 지도자의 촉매 역할 | 시소의 양쪽
12장 사회적 뇌와 교육
소속의 욕구 | 괴롭힘을 당한다는 것 | 사회적 연결의 힘 | 무엇이 문제인가 | 학생들이 관심 있는 것 | 역사와 영어 가르치기 | 수학과 과학 가르치기 | 또 다른 시도 | 사회적 뇌 실습수업

맺음말
부록_ 주 |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