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딸, 총을 들다 또는 손맛으로도 먹고삽니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조선의 딸, 총을 들다 또는 손맛으로도 먹고삽니다

땅끝
2025-04-24 13:26 9 0

본문




조선의 딸, 총을 들다
9791186542200.jpg


도서명 :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저자/출판사 : 정운현, 인문서원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6-03-03
ISBN : 9791186542200
정가 : 16000

머리말 - 나라를 되찾는 일에 남녀가 따로 있나

개론 - 여성 독립운동가, 누가 어떻게 싸웠나?

1. 고문으로 두 눈 먼 ‘대갓집 안주인’ - 한국 독립운동 명가의 잊혀진 주역 김락
2. ‘이봉창 · 윤봉길 의거’의 은밀한 조력자 - 백범의 비서로, 조선의용대 대원으로 활약한 이화림
3. ‘여자 안중근’, 일제를 저격하다 - 독립 호소 위해 무명지 자르고 조선 총독 암살에 가담한 남자현
4. 여섯 번의 국경의 밤 - 자금 조달에서 살림까지, 임정의 전천후 안주인 정정화
5. 17살 순국소녀, ‘북한의 유관순’ - 함경북도 명천에서 만세 시위하다 옥에서 순국한 동풍신
6. 나는 대한 독립과 결혼했소 - 엘리트 ‘신여성’ 출신 항일투사 김마리아
7. 투사로, 투사의 아내로, 두 번 살다 - 간호사 출신 항일투사이자 신채호의 아내였던 박자혜
8. 총 들고 일본군과 싸운 ‘부산의 딸’ - 조선의용대 대원으로 활약한 박차정
9. “대의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다” -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
10. 33살 임산부, 일제의 품에 폭탄을 안기다 - 임신한 몸으로 평남도청에 폭탄 던진 안경신
11. “비행기를 몰고 가서 일본 왕궁을 폭격하리라” -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권기옥
12. 우뭇가사리 부정 판매, 해녀들 빗창 들다 - 일제의 수탈에 맞서 일경 파출소 습격한 제주 해녀 부춘화
13. 말하는 꽃, 독립 만세를 외치다 - 수원 3·1혁명 주도한 기생 김향화
14. 을밀대에 우뚝 선 한국의 여성 노동운동가 1호 - 사상 첫 ‘고공농성’을 벌인 강주룡
15. “남정네만 의병 하면 무슨 수로 하오리까” - 국내 최초, 국내 유일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
16. ‘청포도’ 시인의 유골함을 품에 안고 - 저항시인 이육사의 시신을 인수한 항일투사 이병희
17. 가슴에 육혈포 품고 다닌 ‘신여성’ - 호랑이굴에 본부 차린 대한독립청년단 총참모 조신성
18. 아무르 강가의 붉은 외침 - ‘자유’를 위해 싸우다 일제에 총살당한 김알렉산드라
19. 중국 대륙 누빈 ‘여성 광복군의 맏언니’ - 한국 여군의 효시가 된 항일무장투쟁가 오광심
20. 여장군, 또는 혁명의 화신 - 항일무장투쟁의 최전선에서 싸운 투사 김명시
21. 기름에 젖은 머리를 탁 비어 던지고 - 독립운동에 뛰어든 ‘사상기생’ 정칠성
22. 대한의 여성이여, 모두 일어나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최후의 여성의원 방순희
23. 92년 만에 돌아온 하와이의 애국부인 - 광복을 위해 이역만리에서 분투한 ‘하와이 이민 1세’ 이희경
24. ‘눈물 젖은 두만강’의 주인공이 된 ‘막스걸’ - 풍운아 박헌영의 아내이자 독립운동 동지였던 주세죽

참고문헌
여성 독립유공자 포상 명단




손맛으로도 먹고삽니다
9788992533829.jpg


도서명 : 손맛으로도 먹고삽니다
저자/출판사 : 박희선 , 은유, 황금시간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5-12-15
ISBN : 9788992533829
정가 : 14500

머리말
손맛 있는 분들에게 보내는 작은 응원 박희선
‘먹다’와 ‘살다’의 가치를 지키는 것 은유

1/ 내 손맛도 돈이 될까?
완판하고 나니 ‘되겠다’ 싶었습니다
식빵 전문점, 식빵공작소 | 조고운

2/ 언제 시작해야 할까?
자신감이 들었을 때 바로 시작했습니다
홈베이킹 클래스, 루아스마마 | 김민주

3/ 목돈이 없어도 창업할 수 있을까?
창업지원 프로젝트에서 1등 했습니다
식혜 온라인 숍, 고모가 만든 식혜 | 윤상훈

4/ 브랜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지새운 밤과 정성을 브랜드에 담았습니다
곡물잼과 스위츠, 지새우고 | 백모란, 백수련

5/ 어떻게 홍보해야 할까?
지역 카페에서 ‘홍보’보다는 ‘소통’했습니다
견과류 강정과 떡, 그래바&그래떡 | 김세인, 김연화

6/ 가게를 차린다면 어디가 좋을까?
유동인구가 적지만 발전 가능성을 봤습니다
쫄면 전문점, 자성당 | 김종호, 김채영

7/ 혼자서도 잘할 수 있을까?
딸의 조언으로 차별화된 도시락을 만들었습니다
도시락 전문점, 도시락키친 | 하일순

8/ 어떻게 운영해야 할까?
엄격한 기준을 지켜 믿음을 샀습니다
이유식 전문점, 아기숟가락 | 김경희, 안효석

9/ 고정 매출을 확보할 방법은 없을까?
회원제 운영이 안정적인 매출 확보에 도움됐습니다
반찬가게, 소중한 식사 | 소정윤

10/ 위기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운영 방식 다원화로 고비를 넘었습니다
돈가스 & 스몰비어 가게, 마고 | 이지훈

LESSON
미래의 먹거리 소상공인을 위한 스타트업 가이드

1 나만의 먹거리 창업을 이루기까지
2 손맛 업그레이드에 도움되는 교육기관
3 나에게 맞는 창업 유형 선택하기
4 내 가게에 딱 어울리는 입지 찾기
5 나만의 먹거리를 어필하는 상호 만들기
6 창업지원 프로그램 제대로 노리기
7 음식점 창업을 위한 필수 행정절차
8 매장 없이 식품을 제조·판매하는 방법과 절차
9 먹거리 창업자의 블로그, 카페, SNS 홍보 노하우
10 성공적인 먹거리 창업을 위한 절대법칙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