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컷 논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 또는 나는 미친 결혼을 해버렸다
땅끝
2025-04-24 13:26
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실컷 논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

도서명 : 실컷 논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
저자/출판사 : 김태형, 갈매나무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6-02-01
ISBN : 9788993635669
정가 : 13000
시작하는 말 한국의 어린이들은 왜 행복하지 않을까?
1부 놀이를 빼앗은 사회가 불러온 것
한국은 왜 어린 세대일수록 정신 건강이 나빠지고 있는가
꿈을 잃은 세대는 장차 어떻게 살 것인가
놀 권리를 뺏기면 분노가 쌓일 수밖에 없다
MIT대학은 갈 수 있어도 서울대는 가기 어렵다?
다른 것은 포기해도 자식 교육은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
어릴 때 공부하지 않으면 불행해질 것이라는 믿음
현재의 행복이냐, 미래의 행복이냐
2부 아이에게 왜 놀이가 중요한가?
Part 1 놀이는 생존 능력이다
“제 기분이요? 그건 잘 모르겠는데요.”
대인 관계에 취약한 사이보그형 아이
인간은 타인의 속마음을 추측하는 능력을 어떻게 터득하는가
인간의 발달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Part 2 놀이는 자유다
자기 힘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는 믿음은 어디서 올까?
아이들은 놀 때 가장 행복하다
하향 평준화된 아이들의 꿈
Part 3 놀이는 정신 건강이다
전국에서 가장 정신 건강이 나쁜 강남 아이들
아이들이 게임이나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드는 이유
Part 4 놀이는 성장이다
놀이를 못 하면 머리도 나빠진다
에릭슨의 인간 발달 단계가 경고하는 것
3부 놀이를 빼앗긴 아이에게 무슨 일이 벌어질까?
놀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동학대와 다름없다
아이에겐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권리가 있다
“내 인생의 주인이 누구인지 모르겠어요.”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까?
모임을 만들고 운영해보는 경험이 왜 중요한가
4부 어른들의 불안은 어른들이 해결해야 한다
부모인가, 학부모인가
자존감을 보상받기 위해 자식에게 집착하는 엄마
돈이 없으니 자랑스럽지 않은 아빠
부모가 불안하면 아이도 불안하다
성적에 따라 자식을 사랑하는 이상한 사회?
아이의 자존감을 무너뜨리는 조건부 사랑
“네가 돈 없는 설움을 몰라서 그래.”
내 자식이 남에게 무시당하며 살게 할 수 없다
신자유주의가 부정적으로 바꿔놓은 것
타인을 학대하는 심리의 이면에는…
행복에 대한 착각에 사로잡힌 부모들
좋은 차로 바꾸면 인정받을 수 있을까?
집단적인 애정 결핍의 시대
행복했던 기억은 무의식 속에 살아있다
부모와 아이가 모두 행복해지는 길
덴마크인들이 행복한 까닭
어떤 직업에 종사하든 무시당하지 않는다면
어른들의 불안을 떠넘기지 않는 세상
5부 실컷 논 아이들이 뭐든 한다
실컷 논 아이들은 정신 건강이 우수하다
실컷 논 아이들이 행복하다
실컷 논 아이들이 창의적이다
실컷 논 아이들이 부모와 관계가 더 좋다
실컷 논 아이들을 대하는 부모의 자세
마치는 말 부모는 자식이 밝게 웃을 때 가장 행복하다
나는 미친 결혼을 해버렸다

도서명 : 나는 미친 결혼을 해버렸다
저자/출판사 : 김성은, 팜파스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6-04-15
ISBN : 9791170260813
정가 : 13000
1장 부부의 갈등은 여러 얼굴을 하고 온다
-싸움의 양상으로 보는 부부 갈등 진단서
달콤한 결혼생활을 꿈꿨는데 현실은 전쟁터?
도대체 내 말을 듣지를 않아!
침묵은 가장 큰 분노의 방식
나를 폭발하게 만드는 집구석, 그리고 배우자
넌 선생이고 난 학생이니?
점점 유치해지는 어른아이들의 싸움
혹시 잘 살고 있다는 착각에 빠져 있다면
2장 결혼은 정말 미친 짓일까?
-상담실에서 가장 많이 드러나는 부부 싸움의 이유
둘만의 문제인 듯 문제가 아닌 것들
효자 남편, 효녀 아내랑은 못 산다는 말
부부 살림의 경제적인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친구를 너무 좋아하는 남편, 친구를 질투하는 아내
부부가 부모가 되는 순간, 갈등이 폭발한다
부부의 사랑은 책임감이다?!
외도, 부부를 갉아먹는 불신의 늪
취해 있지 않으면 살 수가 없는 남편, 게임에 중독된 아내
우리는 서로 정말 많이 달라요
3장 서로에게 기대고 싶을 뿐인데, 왜 그게 힘들까?
-의존성, 부부를 옭아매거나 화해하게 하는 욕구의 심리학
우리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었네
배우자를 향한 친밀함과 챙김의 욕구
내가 이 남자에게 무엇을 기대했던 걸까? 기대의 심리학
부정적인 감정을 좌우하는 의존성의 욕구
아직 내 가정을 꾸릴 마음의 준비가 안 되었다는 것
4장 부부, 소모적인 힘겨루기는 도대체 왜 할까?
-주도성, 힘을 차지하기 위해 돌진하는 부부의 욕구 충돌
혹시 내 마음대로 하고 싶어 ‘결혼’한 것은 아닐까?
대체 이기면 뭐가 남는가?
우리 집은 가장이 제일 문제야!
맞벌이 부부의 힘겨루기
부부 폭력, 힘의 폭주를 막지 못한 무능한 당신
잠자리가 두려운 남편, 잠자리가 불편한 아내
5장 당신과 함께 다시 행복해지고 싶다
-변화는 지금부터, 부부 사이를 통하게 만드는 행동들
나를, 배우자를 ‘다시’ 제대로 안다는 것은?
감정적인 혼수들을 풀어 헤쳐보자
머리만이 아닌 가슴으로도 받아들이는 방법
서로 할퀴고 상처 준 관계 어떻게 회복이 될까
막연히 알아주길 기다리지 않고 제대로 요구하자
부부 관계에서 행복의 균형점을 찾아간다는 것
부부가 함께 잘 나이 들어간다는 것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