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테일로 완성하는 똑똑한 정책 또는 창업 사장이 되고 싶다면 알아야 한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디테일로 완성하는 똑똑한 정책 또는 창업 사장이 되고 싶다면 알아야 한다.

땅끝
2025-04-24 13:26 6 0

본문




디테일로 완성하는 똑똑한 정책
9788955967272.jpg


도서명 : 디테일로 완성하는 똑똑한 정책
저자/출판사 : 윤광일, 한언
쪽수 : 352쪽
출판일 : 2015-09-20
ISBN : 9788955967272
정가 : 18000

들어가는 말- 좋은 정책은 어떻게 하면 만들 수 있습니까?

제1장. 정책, 왜 디테일인가?
생각의 도서관 1-1. ‘정책 콘텐츠’ 그리고 ‘정책 디테일’이란?
1. 정책은 나의 삶과 국가의 미래를 바꾼다
(1) 정책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2) 국가에 미치는 영향
(3) 국경을 넘는 영향
2. 정책 환경은 복잡해지고 있다
(1) 과거와 달라진 벤치마킹
(2) 관리가 어려워진 정보
(3) 다양해진 정책고객
(4) 그 외 환경 요인
3. ‘디테일을 잡아주어 똑똑하게 시행되는 정책’이 필요하다
4. ‘디테일한 정책’의 실마리를 찾는다
(1) 서양식 군함 프로젝트
(2) 실패에서 드러난 디테일의 실마리
생각의 도서관 1-2. 스파르타는 왜 망했는가?

제2장. 디테일을 담는 그릇, 정책 콘텐츠
생각의 도서관 2-1. 어느 정책담당자의 말
1. 수치와 정보를 분석하면 디테일의 실마리가 보인다
(1) 수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이 디테일의 시작이다
1) 통계에 대한 이해
2) 수치의 오류 및 오차
3) 미래 예측의 한계
4)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수치
생각의 도서관 2-2. 조삼모사朝三暮四가 마음을 움직인다
5) 정책을 혼란시키는 평균
(2) 정보의 가치는 옥석을 가려낸 뒤 드러난다
1) 사람에 대한 정보
생각의 도서관 2-3. 사람을 등용할 때에는 목수가 나무를 쓰듯 해야 한다
2) 올바른 벤치마킹
생각의 도서관 2-4. 오캄의 빗자루
(3) 정보의 진실성 확인
(4) 확인해야 하는 서면 정보
(5) 실마리 찾기
생각의 도서관 2-5. 다산 정약용의 생각
부록 1. 통계 생산
부록 2.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2. 좋은 콘텐츠는 깊이 있는 아이디어에서 드러난다
(1) 많은 사람들을 공감시킨 아이디어가 정책의 핵심 콘텐츠로 발전한다
1) 정책 추진 시기의 적절성
2) 공감되는 논리
(2) 아이디어는 정책 방향에 맞춰야 한다
1) 사람 중심의 정책
생각의 도서관 2-6. 문화코드
2) 단순하고 명확한 방향
3) 일관성 확보
4) 효과성과 전략
(3) 개인지성과 집단지성으로 나타난 아이디어가 콘텐츠로 발전한다
1) 기준이 되는 개인지성
2) 필수적인 집단지성
생각의 도서관 2-7. 독단을 주의하려면?
3) 드러내지 말아야 할 설익은 아이디어
부록 3.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정책담당자를 위한 9개의 팁Tip
부록 4. 아이디어를 발전시키자
3. 정책 콘텐츠는 디테일을 담는 그릇이다
(1) 문제를 예방하려면 정책 콘텐츠 점검은 필수적이다
1) 관련 규정 확인
2) 관련 예산 확인
3) 이해관계자 파악
4) 문제 이력 조사
5) 관련 전문 인력 확인
6) 개인 간 또는 기관 간의 약속
(2) 디테일을 확보하려면 콘텐츠의 5대 분야를 점검?분석해야 한다
1) 사람
2) 하드웨어
3) 소프트웨어
4) 시스템
5) 홍보
6) 콘텐츠 점검
7) 콘텐츠별 세부 추진 계획
생각의 도서관 2-8. 초기값
(3) 실현 가능성과 시급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1) A 영역
2) B 영역
3) C 영역
4) D 영역
(4) 콘텐츠별 업무량 파악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인다
1) 콘텐츠의 실행 과제를 고려
2) 콘텐츠 업무량 파악
(5) 성과목표와 성과지표는 신중히 선정해야 한다
1) 정책의 전략을 가늠하는 성과관리
2) 문제를 잉태하는 잘못된 성과지표
3) 유연성이 필요한 성과지표
4) 사람의 한계를 고려한 성과목표
5)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성과목표
6) 오랜 시간이 필요한 성과결과
7) 드러내야 하는 단기성과
부록 5. 보고서 만들기

제3장. 디테일의 구체화 그리고 정책 프로세스
1. 정책은 프로세스를 이해함으로써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1) 디테일은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만큼 달라진다
1) 프로세스를 끼고 일해야 잡는 타이밍
2)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프로세스
3)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프로세스
생각의 도서관 3-1. 히말라야 등반하기
(2) 목표점을 설정해야 추진력이 생긴다
1) 비효율을 피하게 하는 목표점 찍기
2)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목표점 선정
3) 감초처럼 드러내는 목표점
4) 피해야 하는 무리한 목표점
(3) 목표점 달성을 위해서는 전술이 요구된다
1) 전술에 의해 차이가 생기는 목표 달성
2) 생각을 미리 예단하면 낭패
3) 상실할 수 있는 목표를 복구하려는 노력
부록 6. 신규 정책은 찍어놓은 목표점에 선 잇기를 하면 완성된다
2. 디테일한 홍보는 정책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1) 홍보는 사람을 생각하면서 추진해야 한다
1) 홍보 대상
2) 홍보전문가
(2) ‘전략적 홍보’라야 홍보의 의미가 산다
1)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홍보 전략
2) 정책 방향성 유지와 협의
3) 예산에 대한 고려
(3) 홍보는 안방까지 전달시켜야 달성된다
1) 스토리텔링
2) 교육
3) 정책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
부록 7. 홍보
3. 시범 운영은 놓칠 수 있는 디테일을 잡아준다
(1) 시범 운영은 현장에서 정책 디테일을 확인?보완하는 작업이다
1) 시범 운영 설계
2) 시범 운영 범위
3) 시범 운영 기간
4) 시범 운영 대상
생각의 도서관 3-2. 상하이 지하철
(2) 정책 실패의 조짐을 미리 파악해 대응해야 한다
1) 정책담당자의 불안
2) 일관성의 실종
3) 하향평준화
4) 유연성 없이 미리 정한 답
부록 8.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을 만들거나 제도 개선하기

제4장. 정책의 깊이는 사람이 결정한다
1. 디테일은 정책담당자의 의문에서 시작되어 노력으로 실현된다
(1) 정책의 변화는 ‘의문’에서 시작된다
1) 정책을 변화시키는 ‘왜?’
2) 깊이 있는 의문
(2) 의문의 답은 함께 찾아야 한다
1) 넘어야 하는 생각의 틀
2) 타인의 생각을 듣는 습관
3) ‘갑’이 아닌 ‘을’의 자세로
생각의 도서관 4-1. 잘못된 방식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
(3) 인내와 노력이 정책을 완성시킨다
1) 마주서야 하는 선택의 순간들
2) 현명한 불도저 기사
3) 기준을 지키는 꿋꿋함
4) 내가 만드는 정책을 싫어하는 사람들
2. 정책담당자의 경험과 학습은 디테일의 깊이를 결정짓는다
(1) 현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디테일이 실종된다
1) 중요한 현장 경험
2) 정책담당자를 함정에 빠뜨리는 현장의 껍데기
3) 사람에 대한 이해
4) 주민 제안의 해석
(2) 지식을 관리하면 정책 디테일 수준이 높아진다
1) 인터넷 정보 찾기
2) 현장담당자 인터뷰
3) 함께 쌓는 지식
생각의 도서관 4-2.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것
(3) 지식과 경험이 깊어질수록 신중함도 더해진다
1) 위험을 초래하는 얕은 지식
2) 지식과 경험의 조화
생각의 도서관 4-3. 학자의 역할과 관료의 역할
3) 핵심적 지식 형성하기
4) 신중해야 하는 직관력
생각의 도서관 4-4. 통달한 선비와 일반인의 차이
3. 충실한 정보 공개와 투명한 환경에서 디테일이 발전한다
(1) 정보 공개는 충실하고 심플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1) 알기 쉬운 정보 공개
2) 공공과 민간의 정보 공개
(2) 투명한 환경에서는 정책도 투명해진다
생각의 도서관 4-5. 음모론

제5장. 디테일을 잡아주는 제언들
1. 일마다 무게와 속도가 다르다
2. 상황에 따라 전선을 좁히거나 넓혀야 한다
3.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으면 정책이 우왕좌왕할 수 있다
4. 상사는 대안을 찾는 사람이다
5. 상대방의 요구를 명확히 이해하고서 대응해야 한다
6. 내부와 외부의 효율적인 협업은 필수적이다
생각의 도서관 5-1. 포토맥 강으로 추락한 비행기
7. 정책은 사람을 상대로 추진한다
생각의 도서관 5-2. 플랫폼
부록 9. 신규 정책 예시 - 정책담당자를 위한 신규 정책 추진 역량 강화 프로그램
부록 10. 똑똑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환경

마무리하면서




창업 사장이 되고 싶다면 알아야 한다.
9788968131066.jpg


도서명 : 창업 사장이 되고 싶다면 알아야 한다.
저자/출판사 : 원지호, 엔플북스
쪽수 : 234쪽
출판일 : 2015-06-30
ISBN : 9788968131066
정가 : 15000

프롤로그

제1장 창업! 준비가 되었으면 본격적으로 시작하자.
101 준비가 되었으면
102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차이
103 법인 설립 등기
104 사업자 등록
105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106 확정일자 신청
107 홈택스, 위택스 그리고 서울시 이택스
108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그리고 민원 24
109 공장 등록
110 모르는 정보가 너무 많다.

제2장 자금, 여기서부터 어려운 선택이다!
201 대차대조표의 오른쪽은 조달이다.
202 자금 조달, 담보가 필요하다?
203 우리나라 보증기관과 업무 절차
204 신용보증기금의 1인 창조기업 보증
205 신용보증기금의 세가지 창업보증
206 기술보증기금의 예비창업자 사전 보증
207 기술보증기금의 ?춤형 창업성장 보증
208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특례 보증
209 기술보증기금의 예비 스타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특례 보증
210 재창업 지원
211 기술보증기금의 지식재산권 평가 보증, 인수 보증, R&D 보증
212 기술금융과 기술신용평가기관
213 신용보증재단의 창업 관련 보증
214 무역보험공사의 수출신용보증
215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소상공인 특화 자금
216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개발기술 사업화 자금
217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창업기업 지원 자금
218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창업자금
219 농림수산업 신용보증기금의 창업 보증
220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 자금
221 귀어가 창업 및 주택 구입 지원 자금
222 광역자치단체의 창업자금 지원
223 광역자치단체별 중소기업 자금 지원 기관
224 창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
225 창업선도 대학
226 선도벤처연계 기술창업 지원
227 청년창업사관학교
228 스마트 벤처 창업학교
229 스마트 창작터
230 대한민국 창업 리그
231 민관 공동 창업자 발굴 육성(창업기획사)
232 초기 수요기업간 기술상용화 협력 지원
233 환상적인 콤비네이션은 불가능한가?

제3장 다양한 인건비 관련 보조금
301 중소기업 청년취업 인턴제
302 시간선택제 일자리
303 일자리 함께하기
304 고용유지 지원
305 고용환경 개선 지원
306 고용촉진 지원
307 지역/성장산업 고용 지원
308 임금피크제 지원
309 정년 연장 지원
310 정년퇴직자 재고용 지원
311 60세 이상 고령자 고용 지원
312 중견인력 재취업 지원(장년취업 인턴제)
313 정규직 전환 지원
314 출산 육아기 고용안정 지원
315 유급휴가 훈련
316 근로자 직업 능력 개발 훈련 지원
317 중소기업 학습 조직화
318 전문인력 채용 지원
319 초증급 기술개발인력 지원
320 외국인 전문인력 채용
321 기술혁신형 중소 중견기업 인력 지원

제4장 세무, 알면 편하다. 모르면 손해다.
401 장부의 정의와 요건
402 장부의 비치와 기장
403 간편 장부
404 현금영수증
405 신용카드 매출전표
406 세금계산서
407 계산서
408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 제도
409 영수증, 정규영수증
410 사업용계좌 제도
411 홈택스 이용
412 부가가치세 정의와 신고 납부
413 부가가치세 신고할 때 제출 서류
414 부가가치세 계산식
415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
416 종합소득세 신고와 소득의 구성
417 종합소득세 분할 납부 및 환급
418 종합소득세 계산식
419 법인세 납세
420 법인세 신고 납부 절차
421 면세사업자가 하는 사업장 현황 신고
422 근로소득
423 비과세 근로소득
424 일용근로자 소득세 계산
425 원천징수 신고 납부
426 원천징수의무자(회사)의 서류 제출
427 기타소득 원천징수
428 기타소득의 필요경비
429 사업소득 원천징수
430 소득별 지급명세서 제출기한
431 회사의 연말정산 절차
432 근로자의 세액 계산
433 외국인 근로자 연말정산
434 증권거래세와 이에 따른 양도소득세
435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436 주민세와 지방소득세
437 정말 어려운 인사관리, 근로와 급여에 대한 기초라도 알자

제5장 간단하지 않은 근로와 급여
501 근로기준법 적용대상 사업장
502 법정근로시간
503 근로계약
504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505 휴게, 휴일
506 휴가와 연차 유급휴가
507 생리휴가
508 출산 전후 휴가
509 임산부 보호
510 연소자 근로 보호
511 육아 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512 배우자 출산 휴가와 가족 돌봄 휴직
513 성희롱 예방 교육
514 임금과 평균임금
515 통상임금
516 휴업수당
517 퇴직금
518 퇴직연금제도
519 취업규칙

제6장 4대 보험, 주요 포인트는 알고 가라.
601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4대보험 포털 사이트)
602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 탈퇴
603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근로자) 취득 상실 신고
604 국민연금 외국인 가입자 취득 상실 신고
605 국민연금 보험료
606 건강보험 사업장 가입 탈퇴
607 건강보험 사업장가입자(근로자) 취득, 상실 신고
608 건강보험 부양요건
609 건강보험 적용사업장 사업자의 주요 의무
610 건강보험 외국인(재외국민) 직장 자격 취득 신고
611 건강보험료
612 고용보험 사업장 가입 탈퇴
613 고용보험 근로자 취득 및 상실 신고
614 일용직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
615 고용보험료율
616 산재보험 사업장가입 신고
617 산재보험 사업장가입자 신고
618 산재보험료율

제7장 기업인증서 받고 혜택도 받자.
701 벤처기업 유형 및 확인요건
702 벤처기업 확인 절차
703 벤처기업 우대 정책
704 이노비즈
705 이노비즈 인증 절차
706 메인비즈
707 메인비즈 인증 절차
708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 전담부서) 신고 요건
709 기업부설연구소 등록 절차
710 연구 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 공제 - 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
711 연구 및 인력개발을 위한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 ? 조세특례제한법 제11조
712 기술이전 및 기술취득 등에 대한 과세 특례 ? 조세특례제한법 제12조
713 기업부설연구소 사용 부동산 세액 경감 ? 지방세특례 제한법 제46조
714 신기술 NET 인증
715 신기술 NET 인증 절차
716 신제품 NEP 인증
717 우수조달물품 지정 제도
718 우수조달물품 지정 절차
719 NET 이외 신기술 인증
720 나머지 인증

에필로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