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또는 술술 한국사. 3: 조선시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또는 술술 한국사. 3: 조선시대

땅끝
2025-04-24 13:26 7 0

본문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9788942311859.jpg


도서명 :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저자/출판사 : 김양동, 지식산업사
쪽수 : 536쪽
출판일 : 2015-05-15
ISBN : 9788942311859
정가 : 35000

서 문
하 사
책을 펴내면서

제Ⅰ부 총론 - 신(神)의 해석
 제1장 신(神)의 해석(Ⅰ) - 신(神)과 신화(神話)
 제2장 신(神)의 해석(Ⅱ)
 제3장 신(神)의 해석(Ⅲ)

제Ⅱ부 선사시대 문화원형의 상징과 해석
 제1장 한국 최초의 문양 신석기시대 빛살무늬
 제2장 파형동기(巴形銅器)의 기원과 상징
 제3장 동경(銅鏡)과 동령(銅鈴)의 비의(秘儀)
 제4장 비파형동검의 원의(原意)

제Ⅲ부 한국의 고대문화와 새 숭배사상
 제1장 새 숭배사상의 원류와 한국의 고대문화(Ⅰ)
 제2장 새 숭배사상의 원류와 한국의 고대문화(Ⅱ)
 제3장 신시(神市), 소도(蘇塗), 서라벌, 서울의 어원을 찾아서
 제4장 고구려 절풍(折風)의 기원(起源)과 어원(語源)

제Ⅳ부 고대 위세품(威勢品)의 상징과 해석
 제1장 신라 금관의 기원과 상징의 세계
 제2장 삼국 관식(冠飾)의 비교와 검토
 제3장 고대 한국 곡옥(曲玉)의 기원과 상징
 제4장 신라 금제허리띠〔金製?帶〕의 상징
 제5장 환두대도(環頭大刀) 삼엽문(三葉文)과 삼루문(三累文)의 상징

제Ⅴ부 한국 고대예술의 기원과 원형질
 제1장 한국 고대음악의 기원 - 소리와 노래의 어원을 중심으로 -
 제2장 한국 고대무용의 기원과 살풀이춤
 제3장 한국 고대미술의 시원과 원형
 제4장 한국 서예의 원류와 광개토호태왕비(廣開土好太王碑)
 제5장 고대 복식(服飾)의 시원을 찾아서 - 옷이 날개다
 제6장 당초문의 기원과 상징
 제7장 기와의 명칭과 와당 문양의 상징

제Ⅵ부 태양과 새 - 고조선문화의 원류
 제1장 흉노 왕 칸(干)과 선우(單于) 성(姓)의 문자학적 검토
 제2장 상투와 비녀〔簪(잠), ?(계)〕
 제3장 Y형기(Y形器)와 칸(干)과 새 날개 모양〔鳥翼形〕 관식(冠飾), 그리고 만세(萬歲)의 상징

참고문헌
찾아보기




술술 한국사. 3: 조선시대
9788934969204.jpg


도서명 : 술술 한국사. 3: 조선시대
저자/출판사 : 김주희, 주니어김영사
쪽수 : 191쪽
출판일 : 2015-01-05
ISBN : 9788934969204
정가 : 13500

추천사 / 머리말

1장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조선 왕조의 등장 12
유교 정치의 발전 18
통치 체제의 마련 24
토지 제도의 정비 30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 34
성리학의 발달과 여성의 지위 변화 42

2장 양 난과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
흔들리는 사대교린 46
임진왜란의 발발 52
병자호란의 발발 60
양 난이 끼친 영향 66
붕당 정치와 탕평책 72
세도 정치와 삼정의 문란 78
임진왜란을 부르는 다양한 명칭 84

3장 경제 정책과 경제생활의 변화
조선의 경제 정책 88
조선 전기의 조세 제도 94
조세 제도의 개편 100
조선 후기의 경제 발전 106
나라를 뒤흔든 상인들 112

4장 신분 질서와 생활의 변화
조선의 신분 제도 116
양반과 중인의 생활 122
상민과 천민의 생활 128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 136
출세의 사다리, 과거 144

5장 양반 문화의 발달과 문화의 새 경향
국가 운영의 기본 원리, 성리학 146
조선 전기 문화의 발달 152
성리학의 변화와 실학의 성장 158
절정에 이른 조선 후기의 문화 164
새로운 종교의 등장과 농민 봉기 170
조선에 온 서양인들 178
찾아보기 / 연표 / 참고 문헌 · 사진 출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