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를 경영하다 또는 이 책을 읽고 도덕경을 논하라
땅끝
2025-04-24 13:26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변화를 경영하다

도서명 : 변화를 경영하다
저자/출판사 : 오춘백, W미디어
쪽수 : 471쪽
출판일 : 2015-10-24
ISBN : 9788991761872
정가 : 19000
들어가며_ 변화와 혁신, 천천히 서둘러라
제1장_ 왜 변화, 변화관리인가?
1. 변화란 무엇인가?
2. 변화의 어려움
3. 변화관리의 필요성
제2장_ 변화관리란 무엇인가?
1. 변화관리는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2. 변화관리는 균형을 잡는 것이다
3. 변화관리는 보고, 느끼고,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4. 변화관리의 역할
제3장_ 변화관리의 장애요소 및 해결방안
1. 학습된 무력감
2. 저항의 개념
3. 왜 변화에 저항하는가?
4. 저항관리의 필요성
5. 저항관리 모델
6. 저항에 대한 효과적 가이드라인
7. 바람개비는 역풍에 돌고, 멈춘 바람개비는 바람개비가 아니다
제4장_ 변화관리 추진 모델
1. 르윈의 3단계 모델
2. 터크만의 조직발달 4단계 모델
3. 브리지스의 변환관리 모델
4. 퀴블러-로스의 슬픔의 5단계 모델
5. 변화관리 4분면 모델
6.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7단계 변화과정
7. 코터의 변화관리 8단계
8. GE의 CAP 프로그램
9. 혁신의 생태학적 변화관리 추진 모델
제5장_ 인지, 태도, 행동의 변화
1. 인지의 변화
2. 태도의 변화
3. 행동의 변화 - 실행
제6장_ 진정성
1. 한국사회에서의 진정성이란?
2. 진정성의 의미
3. 혼 그리고 진정성
4. 진정성, 처음부터 제대로
5. 진정성 마케팅
6. 착한 소비자
7. 한국사회에서의 비진정성 ? 갑질
8. 진정성의 다섯 가지 영역
9. 진정성과 리더십
10. 진정성의 구현 - 공감
제7장_ 동기부여
1. 내적 동기부여와 외적 동기부여
2. 동기부여, 몰입 그리고 창의성
3. 일과 동기부여의 관계
4. 동기부여를 위한 제안
제8장_ 소통
1. 경청
2. 지식의 저주
3. 갈등의 의미
4. 갈등의 유형
5. 갈등관리 방법
6. 갈등관리 유형
7. 개방형 소통
제9장_ 회의, 보고, 지시 문화
1. 회의(會議)를 회의(懷疑)한다?
2. 지시의 문화
3. 보고서를 잘 쓴다?
나오며_ 성공적 변화와 혁신을 위한 제언
주석
참고문헌
이 책을 읽고 도덕경을 논하라

도서명 : 이 책을 읽고 도덕경을 논하라
저자/출판사 : 노자, 자연과사람들
쪽수 : 444쪽
출판일 : 2015-11-30
ISBN : 9791195669530
정가 : 18000
도편(道篇)
제 1 장 |道可道 非常道(도가도 비상도) 022
제 2 장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027
제 3 장 |不尙賢 使民不爭(부상현 사민부쟁)033
제 4 장 |道?而用之或不盈(도충이용지혹부영) 037
제 5 장 |天地不仁 以萬物爲芻拘(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043
제 6 장 |谷神不死 是謂玄牝(곡신불사 시위현빈)047
제 7 장 |天長地久(천장지구) 050
제 8장 |上善若水(상선약수) 054
제9장 |持而盈之(지이영지) 059
제10장 |載營魄抱一(재영백포일) 062
제11장 |三十輻共一?(삼십폭공일곡) 067
제12장 |五色永人目盲(오색영인목맹) 071
제13장 |寵辱若驚(총욕약경) 075
제14장 |視之不見(시지불견) 080
제15장 |古之善爲道者(고지선위도자) 086
제16장 |致虛極守靜篤(치허극수정독) 093
제17장 |太上下知有之(태상하지유지) 099
제18장 |大道廢有仁義(대도폐유인의) 103
제19장 |絶聖棄智(절성기지) 106
제20장 |絶學無憂(절학무우) 110
제21장 |孔德之容(공덕지용) 118
제22장 |曲則全(곡칙전) 123
제23장 |希言自然(희언자연) 129
제24장 |企者不立(기자불립) 139
제25장 |有物混成(유물혼성) 143
제26장 |重爲輕根(중위경근) 150
제27장 |善行無轍迹(선행무철적) 154
제28장 |知基雄守基雌(지기웅수기자) 160
제29장 |將欲取天下而爲之(장욕취천하이위지)167
제30장 |以道佐人主者(이도좌인주자) 172
제31장 |夫佳兵者不祥之器(부가병자불상지기)177
제32장 |道常無名樸(도상무명박) 184
제33장 |知人者智 自知者明(지인자지 자지자명)189
제34장 |大道氾兮 基可左右(대도범혜 기가좌우)193
제35장 |執大象 天下往(집대상 천하왕) 198
제36장 |將欲?之 必固張之(장욕흡지 필고장지)202
제37장 |道常無爲 而無不爲(도상무위 이무불위)207
덕편(德篇)
제38장 |上德不德 是以有德(상덕부덕 시이유덕)214
제39장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 221
제40장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 229
제41장 |上士聞道 勤而行之(상사문도 근이행지)232
제42장 |道生一 一生二(도생일 일생이) 239
제43장 |天下之至柔(천하지지유) 244
제44장 |名與身孰親(명여신숙친) 248
제45장 |大成若缺 基用不弊(대성약결 기용불폐)252
제46장 |天下有道 ?走馬以糞(천하유도 각주마이분)256
제47장 |不出戶 知天下(불출호 지천하) 260
제48장 |爲學日益爲道日損(위학일익위도일손) 264
제49장 |聖人無常心 以百姓心(성인무상심 이백성심)268
제50장 |出生入死(출생입사) 272
제51장 |道生之(도생지) 278
제52장 |天下有始 以爲天下母(천하유시 이위천하모) 284
제53장 |使我介然有知(사아개연유지) 290
제54장 |善建者不拔(선건자불발) 294
제55장 |含德之厚 比於赤子(함덕지후 비어적자)301
제56장 |知者不言(지자불언) 308
제57장 |以正治國(이정치국) 315
제58장 |基政悶悶(기정민민) 321
제59장 |治人事天莫如嗇(치인사천막여색) 327
제60장 |治大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 332
제61장 |大國者下流(대국자하류) 337
제62장 |道者 萬物之奧(도자 만물지오) 343
제63장 |爲無爲 事無事(위무위 사무사) 349
제64장 |基安易持(기안이지) 355
제65장 |古之善爲道者(고지선위도자) 363
제66장 |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강해소이능위백곡왕자)368
제67장 |天下皆謂我道大(천하개위아도대) 373
제68장 |善爲士者不武(선위사자불무) 380
제69장 |用兵有言(용병유언) 384
제70장 |吾言甚易知(오언심이지) 389
제71장 |知不知上(지부지상) 393
제72장 |民不畏威(민불외위) 397
제73장 |勇於敢則殺(용어감칙살) 401
제74장 |民不畏死(민불외사) 406
제75장 |民之餓以基上食稅之多(민지아이기상식세지다)410
제76장 |人地生也柔弱(인지생야유약) 414
제77장 |天之道基猶張弓與(천지도기유장궁여)419
제78장 |天下莫柔弱於水(천하막유약어수) 424
제79장 |和大怨 必有餘怨(화대원 필유여원) 429
제80장 |小國寡民(소국과민) 433
제81장 |信言不美(신언불미) 439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