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심문관의 비망록 또는 우리 역사는 깊다. 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대심문관의 비망록 또는 우리 역사는 깊다. 2

땅끝
2025-04-24 13:26 6 0

본문




대심문관의 비망록
9791186372067.jpg


도서명 : 대심문관의 비망록
저자/출판사 : 안토니우 로부 안투네스, 봄날의책
쪽수 : 576쪽
출판일 : 2016-04-25
ISBN : 9791186372067
정가 : 18500

첫 번째 비망록
알려지지 않은 한 마리 새처럼 공중을 날고 있는 어느 광대

두 번째 비망록
영혼 없는 사물들의 흉계

세 번째 비망록
천사의 현존

네 번째 비망록
도취 상태에서 벗어던진 두 개의 신발

다섯 번째 비망록
거의 유한한 영혼의 새들

옮긴이의 글 목소리 대 목소리의 대위법 배수아
해설 안투네스라는 ‘낯선’ 작가 김용재(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 사무총장)




우리 역사는 깊다. 2
9791156120469.jpg


도서명 : 우리 역사는 깊다. 2
저자/출판사 : 전우용, 푸른역사
쪽수 : 352쪽
출판일 : 2015-05-31
ISBN : 9791156120469
정가 : 17500

책머리에

7월 18일_을축년 대홍수

인간은 자연에 얹혀사는 존재일 뿐

7월 22일_자동차취체규칙 제정

또 하나의 가족이 된 자동차, 새 가족을 얻은 대신 잃은 것들

7월 24일_광무신문지법 공포

탄압받던 언론에서 ‘한통속’이 된 언론

7월 29일_양화진에 외국인 묘역 조성

글로벌시대, 한국인의 사생관死生觀과 외국인 묘지

8월 4일_김우진, 윤심덕 현해탄 투신

자살률은 시대의 ‘우울도’ 측정하는 바로미터

8월 6일_서소문 화교들의 삶

‘외국인 혐오증’, 우리가 용납될 공간도 줄인다

8월 10일_일제, 서울 시민의 공동묘지 용산 땅을 군용지로 수용

기억에서 지워진 공동묘지 용산, 삶 주변에서 사라진 죽음

8월 12일_보건부, 무면허 의사 275명 적발

의료 민영화, ‘가난이 사형선고’인 사회를 만든다

8월 19일_한성전기회사, 전등개설예식 개최

‘불야성’을 현실 세계에 구현한 전등, 그래도 늘 부족한 현대인의 시간

8월 20일_청계천 복개 계획 제출

복개에서 복원까지, 청계천의 역사와 인간의 변덕

8월 23일_여자정신근로령 공포

만행의 기록이 문서로 남는 경우는 드물다

8월 29일_일본, 한국 국호를 조선으로 변경

남이 이름 지어준 대로 불리는 자, 식민지 백성

8월 31일_종로경찰서, 종로변 상점에 변소 설치 지시

민주 사회의 관리들, 다양하고 상충되는 시민들의 요구 경청하고 설득하는 자세 필요

9월 15일_추석 임시열차 증편 운행

귀성과 민족 대이동, 이제 사라질지도 모를 한국적 ‘전통문화’

9월 26일_일본 제실박물관장, 순종 황제 알현

‘빼앗은’ 나라의 박물관과 ‘빼앗긴’ 나라의 박물관

10월 1일_가로명제정위원회, 새 동명과 가로명 고시

나라의 중심가로 세종대로, 그러나 나라의 정치 철학은?

10월 7일_종두규칙 공포

전염병 예방의 시대, 예방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공포

10월 12일_대한제국 선포

우리나라 국호 ‘대한민국’에 담긴 뜻

10월 22일_청산리대첩

청산리대첩의 주역 홍범도, 그에게도 이 땅에 설 자리 하나쯤은 마련해주어야

10월 23일_일본 덴노, 조선총독에게 〈교육칙어〉 하달

〈국민교육헌장〉으로 이어진 〈교육칙어〉의 군국주의 정신

10월 27일_장충단 설치

대한제국의 국립현충원 장충단, 털어내지 못한 오욕의 흔적

11월 4일_훈민정음 반포 팔회갑 기념식 개최

‘반글’, ‘암클’에서 ‘한글’이 된 훈민정음, 지금 다시 ‘반글’이 된 건 아닌가

11월 11일_경무청, 채소 도매상 단속

물가 단속으로 민심 다독이려 한 ‘권력 주연 코미디’의 서글픈 역사

11월 17일_우정총국 개국, 우편사무 개시

우편사무 개시와 지번 부여, 모든 것을 숫자화하는 시대를 열다

11월 27일_대한제국, 정동 부근에 고층건물 신축 금지

고층화를 향한 욕망, 뒷수습은 어찌 할까

12월 3일_조청국경회담 결렬

동북아 영토분쟁, 냉철한 역사인식으로 대처해야

12월 10일_안창남의 ‘고국 방문 대비행’

여의도 상공을 비행한 안창남, 한국인에게 3차원의 시야를 선물하다

12월 17일_지전 상인들, 조선지주식회사 설립

명분 없는 이득 경계했던 옛 상도, 지금 우리 기업문화에 절실히 필요한 것

12월 24일_셔우드 홀, 크리스마스실 발행

유병장수有病長壽 시대, 질병과 오래 동거하면서도 불행해지지 않을 방법 찾아야

12월 30일_경무대를 청와대로 개칭

경무대에서 청와대로, 민심 살피고 국민 즐겁게 하는 ‘대’라는 이름에 충실했으면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