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들 또는 청소년의 아픈 자리, 소설로 어루만지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대중들 또는 청소년의 아픈 자리, 소설로 어루만지다

땅끝
2025-04-24 13:25 6 0

본문




대중들
9788976827852.jpg


도서명 : 대중들
저자/출판사 : 스테판 욘손 , 조이 코널리 , 윌리엄 에긴턴 , 앨, 그린비
쪽수 : 928쪽
출판일 : 2015-03-25
ISBN : 9788976827852
정가 : 45000

서문_대중의 책(제프리 T. 슈나프, 매슈 튜스)
개요

1장_대중 포르노그래피(제프리 T. 슈나프)
조류 | 표상 | 타일 | 방수로
부록 1_Turba: 라틴어(알렉산드라 카테리나 T. 소프로뉴)
부록 2_다중 속에 잠기기(마이클 하트)

2장_대중의 발명: 프랑스 문화 속의 대중, 프랑스 혁명에서 코뮌까지(스테판 욘손)
부록 1_Mass: 영어(프랑스어, 독일어)(마리사 갈베즈)
부록 2_의식(미셸 세르)

3장_군중 정치: ‘포풀루스 로마누스’의 신화(조이 코널리)
영화 속의 로마 군중 | 왜 로마인가?: 아렌트에서 카네티까지 | 정치적 배경 | 대중 통제 | 군중의 동력
부록 1_People: 영어(마리사 갈베즈)
부록 2_밀집과 느슨함(수전 벅-모스)

4장_친밀성과 익명성, 청중은 어떻게 대중이 되었는가(윌리엄 에긴턴)
청중/대중의 기원 | 친밀성의 분출 | 익명성과 공공의 권력 | 대중의 시대 | 세계의 거리에 있는 대중
부록 1_Crowd: 영어(마리사 갈베즈)
부록 2_대중이 웃는다(T. J. 클라크)

5장_스포츠 군중(앨런 거트만)
머리말 | 과거 | 현재 | 설명을 위한 생각들: 그들은 누구이고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부록 1_Multitude: 영어(수전 스카일러)
부록 2_1969년 12월 6일, 롤링스톤스가 알타몬트 경주장에서 무료 콘서트를 열다(그레일 마커스)

6장_매혹된 대중: 순례자와 순교자(수잔나 엘름)
종교와 군중심리학자들: 어떤 딜레마의 궤도 | 순례: 이동하는 대중? | 순교자: 최고의 군중 결정체 | 순교자에서 성인으로: 순례와 순교자 교회 | 루르드와 근대의 대중들
부록 1_Hamon: 히브리어(나아마 로켐)
부록 2_눈속임을 넘어선(루이스 코스타-리마)

7장_영화와 대중(안톤 케스)
부록 1_Samuuha: 산스크리트어(피터 새뮤얼스)
부록 2_돌로레스 공원, 레즈비언 행진, 2002년 6월(티르자 트루 라티머)

8장_대중, 무리, 폭도: 대중 시대의 예술(크리스틴 포지)
부록 1_Mob: 영어(마리아 수 왕)
부록 2_대중의 글(아르만도 페트루치)

9장_대중의 귀환, 또는 어떻게 사회학은 근심을 거두고 대중을 사랑하기로 결정했을까(존 플로츠)
『고독한 군중』의 대중 | 허구적인 지식: 순응적인 소설의 이중생활 | 어빙 고프먼의 ‘얼굴 마주 보기’ | 사랑스러운 사교적 요소: 달라지는 윌리엄 화이트의 연구· | 대중에 대한 퍼트넘의 열정 | 체면 유지를 위한 상호작용 만세! | 대중을 거부한다
부록 1_Foule/Folla: 프랑스어/이탈리아어(존 B. 힐)
부록 2_나의 고독한 여름(데이비드 험프리)

10장_군중심리학에서 인종위생학까지: 극우파의 의료화와 신新스페인(호안 라몬 레지나)
질료가 주형에게 반역하다 | 인종우생학
부록 1_Gente: 스페인어(헤로니모 에르네스토 아레야노)
부록 2_받아들여!(앤 와인스톤)

11장_중국의 대중과 수(혼 소시)
매체로서의 대중 | 소설을 통해 ‘대중 통치하기’ | 서예의 대중
부록 1_衆: 중국어(야우 카-파이)
부록 2_대중 통제(데이비드 테오 골드버그)

12장_시장의 대중(우어스 슈테헬리)
투기의 광란: 금융의 망상에 대한 찰스 맥케이의 묘사 | 시장의 심리로서의 군중심리 | 투기꾼 훈련시키기
부록 1_Ochlos: 고대 그리스어(세바스티안 드 비보)
부록 2_바니스 뉴욕: 창고(제시카 버스타인)

13장_WUNC(찰스 틸리)
부록 1_Cs?d, T?meg, Cs?dt?meg: 헝가리어(다니엘 머르고치)
부록 2_시위 대중(톰 셀리그먼)

14장_광기의 대중을 감감하게 바라보며: 대중재현의 공간적 수사(앤드루 V. 우로스키)
머리말: 대중을 세는 것 | 멀리서 본 관점: 전망창에서 데이터 세트로 | 시야의 합리화 | 근대적 대도시의 새로운 시야 | 위에서 보는 관점과 거리에서 보는 관점 | 「군중」 | 구성주의와 대중의 허깨비 같은 존재론 | 재현을 넘어: 운동 안의/으로서의 대중
부록 1_Tolpa: 러시아어(더스틴 콘드런)
부록 2_대중 경험(헤이든 화이트)

15장_대중과는 거리가 먼: 서양의 상상 속에서의 개체화, 고독, 그리고 ‘사회’(욥스트 벨게)
근대 초기의 고독 | 모더니티 | 인민의 적들: 대중에 대한 지적인 경멸
부록 1_Vulgus: 라틴어(알렉산드라 카테리나 T. 소프로뉴)
부록 2_MLK 집회(리처드 로티)

16장 광장공포증: 알파벳(제시카 버스타인)
서문
부록 1_5월 한 달(알랭 슈나프)
부록 2_신파적 기회로서의 대중(루이지 발레리니)

후기(캐서린 헤일즈)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저자 소개




청소년의 아픈 자리, 소설로 어루만지다
9788994273969.jpg


도서명 : 청소년의 아픈 자리, 소설로 어루만지다
저자/출판사 : 우동식, 정인출판사
쪽수 : 202쪽
출판일 : 2016-01-25
ISBN : 9788994273969
정가 : 12000

●들어가는 말
●추천사 1 | 25년간 키워온 청소년 문학 교육에의 결실을 추천하며
신헌재(전 한국아동문학회 회장 / 한국교원대학교 명예 교수)
추천사 2 | 길과 글, 글과 길
홍성훈(여주대 교수)
1부 나
1장 삶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찾고 싶어
1 자신의 가치와 존재 의미를 찾고 싶다면?
정호승의 ‘항아리’ / 권정생의 ‘강아지똥’
2 ‘나를 알아주는 단 한 사람’의 존재 의의를 알고 싶다면?
김려령의 ‘우아한 거짓말’
3 삶의 이유와 가치를 깨닫고 싶다면?
안도현의 ‘연어’
4 삶의 진정한 가치를 탐색하고자 방황하고 있다면?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5 어떤 일에 진정으로 통달하고 싶어 고심하고 있다면?
신여랑의 ‘몽구스크루’
6 자신의 용모에 대한 열등감을 극복하고 싶다면?
쯔바이백의 ‘나탈리의 꿈나무’

2부 가족
2장 가족 간의 화합은 눈물겨워
1 가족 결손의 상처를 치유하고 싶다면?
이금이의 ‘너도 하늘말나리야’
2 형제 갈등으로 진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면?
이순원의 ‘19세’
3 성공지상주의 아버지의 강압에 오히려 꿈을 잃었다면?
팀 보울러의 ‘스쿼시’
4 여행을 통해 세상에 대한 분노를 삭이고 싶다면?
오문세의 ‘그치지 않는 비’
5 상처의 응어리, 드러내어 풀고 싶다면?
김선희의 ‘열여덟 소울’
6 진로를 찾는 과정에서 가족들과 갈등하고 있다면?
김려령의 ‘완득이’
7 청소년 문제에 대한 어른들의 뉘우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싶다면?
전아리의 ‘직녀의 일기장’
8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성장하는 사례를 확인하고 싶다면?
로렌스 옙의 ‘용의 날개’
9 사소하고 하찮은 고민들에서 이제 그만 벗어나고 싶다면?
베치 바이어스의 ‘열네 살의 여름’

3부 학교
3장 자유로운 영혼으로 성장하고파
1 좀 더 인간적이고 자유로운 성장을 위해 고민하고 있다면?
최시한의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2 누구나 한 번쯤은 했을 법한 또래 친구들의 체험들을 공유해보고 싶다면?
최나미의 ‘단어장’
3 자유 의지로 내 삶의 자존 및 본질을 찾고 싶다면?
박상률의 ‘나는 아름답다’
4 개성을 꽃피우는 진로 설정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싶다면?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
5 학교를 떠난 아이들의 진로 개척 방식을 탐색하고 싶다면?
김혜정의 ‘텐텐 영화단’
6 두발 규정 등의 교칙으로 인해 괴로워하고 있다면?
김해원의 ‘열일곱 살의 털’
7 고독에서 벗어나 행복을 찾고 싶다면?
미리암 프레슬러의 ‘행복이 찾아오면 의자를 내 주세요’

4부 사회
4장 사랑과 우정의 물결에 가슴을 적시고 싶어
1 사랑이 ‘소유’가 아니라 ‘존재’라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고 싶다면?
이재민의 ‘사슴벌레 소년의 사랑’
2 같은 아픔을 가진 친구가 필요하다고 느낀다면?
데이나 라인하트의 ‘치즈 가게에 온 선물’
3 세상과 상대의 마음을 바꾸는 원리를 알고 싶다면?
조르주 상드의 ‘사랑의 요정’
4 사랑의 관계 이어 가기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
이금이의 ‘첫사랑’
5 사랑하며 살아간다는 말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싶다면?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5장 내 삶의 벽을 넘고 싶어
1 세상이 욕을 해도 관습의 벽을 깨보고 싶다면?
정유경의 ‘높은 데서 나의 이름을’
2 내 삶이 커다란 바위벽 앞에서 막히고 있다고 생각된다면?
한창훈의 ‘열여섯의 섬’
3 한계의 벽을 부수는 도전을 해보고 싶다면?
리처드 버크의 ‘갈매기의 꿈’
4 아픔을 치유하는 간접 체험을 하고 싶다면?
창신강의 ‘하늘언덕’
5 자신의 강점 재능을 찾은 사람의 열정을 느끼고 싶다면?
마리 오드 뮈라이유의 ‘열네 살의 인턴십’
6 강자(强者)에게 지지 않는 아버지의 삶을 이해하고 싶다면?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

6장 세상이 나를 철들게 해
1 냉혹한 현실을 발견한다는 것의 의미를 알고 싶다면?
박상률의 ‘봄바람’
2 미지의 세계 여행을 통한 자아 확대를 체험하고 싶다면?
염상섭의 ‘만세전’
3 ‘자기 내부에 도사린 부도덕성’을 경계하고 싶다면?
박완서의 ‘자전거 도둑’
4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비결이 궁금하다면?
존 보어의 ‘호박’
5 좋은 ‘삶’을 위한 ‘죽음’ 공부를 하려면?
이경혜의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책 찾아보기 목록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