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언론학의 논리 또는 무인양품 디자인
땅끝
2025-04-24 13:25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민중언론학의 논리

도서명 : 민중언론학의 논리
저자/출판사 : 손석춘, 철수와영희
쪽수 : 344쪽
출판일 : 2015-02-13
ISBN : 9788993463729
정가 : 16000
머리말 : 우리가 민중이다
서론 : 민중언론학의 개념과 주요 명제
1부. 민중언론학과 한국 언론
1장. 식민사관의 확대재생산과 한국 언론
식민사관에 사로잡힌 지식인들 | “조선 민족이 게을러서 식민지배를 받았다” | 식민주의 역사관의 본질 | 그들은 어떻게 ‘주류’가 되었나? | ‘타율성’이라는 틀을 넘어서자
2장. 정보혁명 시대의 언론 위기와 극복 방안
“신뢰하는 언론사가 없다” | 위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 진실과 공정: 언론의 생명 | 한국 저널리즘 살리기 | 불신을 넘어 참여로
3장. 한국의 미디어 집중과 여론 다양성의 위기
거대 신문사의 방송 진출을 둘러싼 논쟁 | 조중동의 여론전을 분석한다 | 미디어법이 경제를 살리는가? | 조중동 보도와 논평의 허점들 | 여론 다양성을 해치는 ‘조중동 방송’ | 시청자의 방송주권 찾기
4장. 신자유주의에 대한 언론과 비판언론학 비판
신자유주의와 언론학계 | 신자유주의의 이상과 현실 | 한국 언론에는 ‘신자유주의’가 없다 | 비판언론학의 침묵 | 촛불집회에서 터져 나온 신자유주의 비판 | 언론의 자기성찰은 가능한가
5장. 한국 공론장의 생성 과정과 갈등 구조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와 ‘공론장’ | 공론장의 역사적 뿌리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여론을 모았을까?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 탄생하다 | ‘이식론’과 ‘자연발생론’ 사이에서 | 남겨진 과제들
2부. 민중언론학과 한국 사회
6장. 한국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소통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무엇인가 | CSR을 둘러싼 논쟁 | 한국 언론의 CSR 보도 분석 | 세계적 흐름에 뒤처진 한국 대기업 | 언론의 외면과 기업의 무관심 | 진정한 ‘글로벌 스탠더드’를 위하여
7장. 도구적 지식과 지식인의 도구화
“대학은 죽었다!” | 대학·권력·자본의 삼각동맹 | 대학은 왜 ‘적’이 되었나 | 지식 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 소통과 융합으로 가는 길
8장. 리영희 비판과 반비판의 논리적 비판
리영희 바로 보기 | ‘살아 있는 신화’와 ‘친북 좌파의 대부’ | 리영희 비판과 반비판의 논리 | “진실은 나의 신념이요 삶” | 리영희의 언론사적 의미
9장. 남북통일사상의 ‘하부구조’와 소통
통일 대박론과 흡수 통일 | 분단과 통일을 사유하자 | 공존을 위한 접점 찾기 | ‘통일민족경제’를 생각한다 | ‘창조적 통일’로 소통하기
10장. ‘아기장수’ 설화의 내적 커뮤니케이션
설화-민중의 커뮤니케이션 | “민중 사이의 보이지 않는 토론” | 아기장수 설화의 커뮤니케이션 | 아기장수는 왜 죽어야만 했는가 | ‘내 안의 아기장수’ 되살리기
나가는 말: 진실과 공정의 과학, 아기장수의 철학
참고문헌
무인양품 디자인

도서명 : 무인양품 디자인
저자/출판사 : 닛케이디자인, 미디어샘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6-01-25
ISBN : 9788968570476
정가 : 15000
머리말
제1장 프로덕트 디자인
그림으로 보는 무인양품 상품개발 과정 | 무인양품, 변화하는 주방가전 | <고문위원 인터뷰> 가격경쟁에 휘말린다면 가전을 만드는 의미가 없다-후카사와 나오토(프로덕트 디자이너) | <칼럼> 3D프린터가 개척하는 새로운 가능성 | <칼럼> ‘사람을 망치는 소파’는 이렇게 탄생했다 | <칼럼> 무인양품, 심플한 디자인의 권리
제2장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변하지 않는 자세, 일부러 유행과 거리감을 유지하다 | <고문위원 인터뷰> 무인양품의 강점은 ‘감화력’에 있다-하라 켄야(그래픽 디자이너) | 고객과 함께하는 상품개발 | 좋은 제품을 발견해 전달하기 위한 노력 | <고문위원 인터뷰> 경영과 크리에이터의 공감이 무인양품의 힘이다 -고이케 가즈코(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칼럼> 의식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다
제3장 매장 디자인
변함없는 기본-나무, 벽돌, 쇠 | <고문위원 인터뷰> 무인양품은 일본의 중요한 창작물이다-스기모토 다카시(인테리어 디자이너) | 상품 구성이 풍부해 보이게 만드는 마법의 매장 진열 | 진화하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제4장 새로운 도전
나리타공항 신터미널을 물들이는 무인양품 가구 | 무인양품×발뮤다의 컬래버레이션 | 중국에 문을 연 세계 거점 매장 | 중국에서 존재감을 키워가는 무인양품 | ‘기분 좋은 생활’을 실현시키는 집 | <양품계획 회장 인터뷰> 무인양품이 계속 무인양품일 수 있는 이유- 가나이 마사아키(양품계획 회장) | 히트 상품으로 돌아보는 무인양품 양품계획> 고문위원> 칼럼> 고문위원> 고문위원> 칼럼> 칼럼> 칼럼> 고문위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