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패의 검성 미야모토 무사시. 9: 무의 장 또는 대한정통사
땅끝
2025-04-24 13:25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6회 연결
본문
불패의 검성 미야모토 무사시. 9: 무의 장

도서명 : 불패의 검성 미야모토 무사시. 9: 무의 장
저자/출판사 : 요시카와 에이지, 문예춘추사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5-01-20
ISBN : 9788976042187
정가 : 11000
회화나무 아래/ 할죽/ 고지로의 편지/ 단심/ 천음/ 춘고조/ 광란/ 삼나무 씨앗/ 보장원과 십륜원/ 두 소년/ 대일여래/ 고금소요/ 끈/ 잠행/ 사카이 항구/ 간류 사사키 고지로
대한정통사

도서명 : 대한정통사
저자/출판사 : 안재세, 지식과감성
쪽수 : 570쪽
출판일 : 2015-09-14
ISBN : 9791155284803
정가 : 22000
제 1 장 제왕의 길
제 1 편 조선 최후의 군주
1. 고종의 등극
2. 고종의 친정(親政)
3. 동아의 대세
4. 명치의 야망
* 친정과 군제 개편
제 2 편 개구와 통상
1. 문호개방 전야
2. 국서파문과 정한론의 준동
3. 통한의 강화불평등조약
4. 두모진 해관 파동
5. 불평등조약 개정 교섭
6. 조미통상조약의 시말
* 소위 ‘민씨정권’의 특징과 이해
제 3 편 시련 속의 부국염원
1. 임오란과 제물포늑약
2. 새 국정의 지표 - 임오조칙
3. 외국인 고빙의 유래
4. 목인덕(묄렌도르프)의 초기 활동
5. 부국강병과 상업진흥
* 조선후기 상업발전의 이해
제 2 장 내우외환
제 1 편 십년파란
1. 개화당의 성장
2. 갑신란
3. 갑신란의 여파와 개화당의 족적
4. 고종의 친위정권 강화
5. 조선과 러시아
6. 조선 상인들의 생존권 투쟁
* '차이나와 코리아' 평가
제 2 편 명치일본의 조선수탈
1. 명치일본의 사회상과 조선수탈상
2. 명치일본의 귀금속 수탈
3. 명치일본의 해양수탈
4. 명치일본의 조선사회 질서 파괴
제 3 편 부국강병의 길
1. 신식군대 양성
2. 연무공원
3. 북방 강계 담판의 개시
4. 동해 해양 강역 확정
5. 방곡령 파동
제 4 편 조선의 황혼
1. 동학의 대두
2. 고부 민중봉기
3. 갑오왜란
4. 청일전쟁과 동학궐기
5. 삼국간섭
6. 을미왜란
7. 단발령과 을미의병
8. 아관파천
제 5 편 제정 대한국의 청사진
1. 독립문과 독립협회
2. 환구단의 서사
3. 만민공동회의 명암
4. 상권자주화운동 및 상공업진흥론의 만개
제 6 편 대개혁과 대헌장
1. 광무개혁
2. 재정 확충과 광업진흥책
3. 대한국 헌장
4. 제국의 북방강역
5. 폭풍 전야의 동아 정세
* 대한국을 둘러 싼 열강의 막후 교섭
제 3 장 황제와 밀사들
제 1 편 백척간두의 대한국
1. 중립국의 조건
2. 동아 대란의 단서
3. 사기적 의정서 초안
4. 좌절된 중립화
5. 야수의 본색
* 국제자본 집단의 세계정책
제 2 편 밀사의 조건
1. 밀사들의 여명
2. 국권수호의 열정
3. 애국과 계몽사이
제 3 편 세기적 사기극
1. 노일전쟁
2. 외면당한 밀사
3. 열강의 협잡
제 4 편 거부당한 사기문서
1. 한미공수동맹 집념
2. 강요된 사기극
3. 맹약하는 충신들
4. 황제의 분노
5. 날강도의 사기술
제 5 편 밀명과 2차 의병봉기
1. 짐망화천지수
2. 부귀영화를 헌신짝처럼
3. 떠나가는 밀사들
4. 목숨건 밀명 수행
5. 서전서숙
6. 검사 이 준
7. 만국평화회의에 건 기대
제 6 편 헤이그 밀사
1. 어수당의 밀약
2. 머나먼 헤이그
3. 회의는 열렸건만
4. 일제의 농간
5. 단상의 의혈
6. 헤이그의 묘비명
7. 구미에 뿌려진 자주독립 비원
8. 북변의 독립운동기지
제 4 장 대한애사
제 1 편 강제된 퇴위
1. 역적들의 망동
2. 일제의 협박
3. '대리'에 담긴 뜻
4. 분노하는 민중
제 2 편 국제사기극의 연발
1. 융희황제
2. 정미늑약
3. 대한국군 강제해산
4. 의병궐기와 남한의 대학살
5. 새 황제의 포부
제 3 편 국제사기극의 대단원
1. 순행묵시록
2. 일장기 거부투쟁과 해상시위투쟁
3. 침략원흉 처단
4. 준동하는 매국노들
5. 헤이그에 남은 미련
제 4 편 천추의 한
1. 저주받은 합방늑약
2. 불멸의 의병혼
3. 생지옥 속의 애국지사들
4. 이어지는 망명길
제 5 장 대한광복의 역정
제 1 편 포효하는 광복군
1. 의병장의 세계관
2. 십삼도 의군
3. 성명회와 권업회
4. 최초의 망명정부
5. 신한혁명당
6. 혁명당의 명멸
7. 사라져간 밀사
제 2 편 황제의 유산
1. 광복운동의 정점
2. 오직 무력항쟁뿐
3. 폭붕
4. 삼일광복투쟁과 왜구들의 잔학상
5. 유림선비들의 궐기
제 3 편 상해임시정부
1. 임시정부의 파란
2. 잘 못 끼운 첫 단추
3. 체제광복투쟁
4. 청산리의 모병권
제 4 편 최후의 밀사
1. 일진회의 반역아
2. 노대신의 회한
3. 황통과 망명정부
4. 대동단의 통한
5. 돌아가지 못한 충혼
제 6 장 후기
제 1 편 서양의인 헐버트
1. 헐버트의 항의
2. 헐버트의 증언
제 2 편 민족분단의 연원
1. 상해임정의 공과
2. 공화제로의 파행
3. 대동단결선언
4. ‘선언’의 문제점
5. 대동단결선언에 대한 반응
제 3 편 공화제와 정통성
1. 공화제 대두의 국제적 요인
2. 혼돈 속의 공화제
3. 역사적 정통성의 회복을 위한 제언
참고사항
# 참고 1 : 근황계열 인물들의 약전
이용익
이종호
이위종
길영수
홍종우
박용화
이회영
# 참고 2 : 개화파 및 계몽운동 계열의 참고 인물들
서재필
이기
윤치호
손병희
신석우
# 참고 3 : 개념정립을 요하는 사항들
환구단
황국협회
일제의 유림회유 공작
일제의 대한국황실 약체화 정책
최익현의 민족역사관
개화망국론
임시정부와 망명정부
삼일광복투쟁과 민족자결주의
# 참고 4 : 조선조 역대 제왕들의 연령·재위년한 등 참고도표
# 참고 5 : 참고문헌 및 참고서적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