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 내일을 먼저 만나다 또는 서양음악사. 2
땅끝
2025-04-24 13:2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포스코에너지, 내일을 먼저 만나다

도서명 : 포스코에너지, 내일을 먼저 만나다
저자/출판사 : 포스코에너지, 에이엠스토리
쪽수 : 286쪽
출판일 : 2015-03-31
ISBN : 9791185469041
정가 : 20000
0 Chapter_프로젝트 발족
0.1 프로젝트 추진 배경
- 0.1.1 외부환경
- 0.1.2 내부환경
0.2 프로젝트 수행 방법
- 0.2.1 프로젝트 추진 범위
- 0.2.2 프로젝트 수행 방식
- 0.2.3 To-Be 상세구현
- 0.2.4 프로젝트 추진 체제
- 0.2.5 시스템 구축 방법
0.3 프로젝트 추진반 구성
- 0.3.1 추진반 구성 목적
- 0.3.2 추진반 구성 방법
0.4 추진반 교육
- 0.4.1 추진반 교육 개요
1 Chapter_Master Plan 단계
1.1 Master Plan 목적
1.2 Master Plan 단계 진행 방법 개요
- 1.2.1 MP 단계 진행 방법론
1.3 컨설팅사 선정
- 1.3.1 컨설팅사의 역할
- 1.3.2 컨설팅사 선정 방법
1.4 As-Is 분석
- 1.4.1 As-Is 분석 개요
- 1.4.2 As-Is 분석 이유 및 방법론
- 1.4.3 프로젝트 전략 확인 및 준비
- 1.4.4 현행 환경 분석
- 1.4.5 개선기회도출
1.5 To-Be 상세구현
- 1.5.1 혁신과제 정의
- 1.5.2 혁신과제 목표 수준 설정
- 1.5.3 To-Be 프로세스 및 시스템 설계
- 1.5.4 업무 및 작업표준
1.6 구현계획 수립
- 1.6.1 혁신과제별 세부과제 선정 및 세부과제 목표 설정
- 1.6.2 프로젝트 효과 분석
1.7 ERP Package 선정
- 1.7.1 ERP Package 선정 목적
- 1.7.2 선정 준비 및 기본 방침 설정
- 1.7.3 제안요청 대상사 선정
- 1.7.4 평가 기준 설정
- 1.7.5 제안 설명회 및 Demo
- 1.7.6 ERP Package 평가 및 선정
2 Chapter_통합시스템 구축단계
2.1 구축단계 목적
2.2 프로젝트 추진계획 수립
- 2.2.1 ERP Overview 교육
2.3 상세설계
- 2.3.1 상세설계 개요
- 2.3.2 ERP 상세설계
- 2.3.3 기준정보 표준화
- 2.3.4 Non-ERP
- 2.3.5 IT Infra 설계
2.4 구축
- 2.4.1 ERP 구축
- 2.4.2 Non-ERP 구축
- 2.4.3 기준정보 Conversion
- 2.4.4 경영정보시스템 구축
2.5 테스트
- 2.5.1 테스트 단계 개요
- 2.5.2 비즈니스 시나리오 정의
- 2.5.3 결합테스트
- 2.5.4 1차 & 2차 통합테스트
- 2.5.5 운영테스트
- 2.5.6 사용자 교육
- 2.5.7 Cut-Over
- 2.5.8 Go Live
- 2.5.9 품질관리
- 2.5.10 IT Infra 준비
2.6 가동 및 안정화
- 2.6.1 가동 및 이슈관리
- 2.6.2 안정화 지표 모니터링
- 2.6.3 안정화 기간 중 SM으로의 이관
- 2.6.4 무장애 100일
3 Chapter_변화 모습 및 기대효과
3.1 SD(판매영업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2 PP(생산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3 PM(설비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4 MM(구매자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5 PS(프로젝트 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6 FI(재무회계)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7 TR(자금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8 CO(관리회계)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9 QM(품질관리)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10 Non-ERP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11 EIS(경영정보) 업무 및 시스템의 변화 모습
3.12 기대효과
- 3.12.1 정량적 기대 효과
- 3.12.2 정성적 기대 효과
3.13 혁신과제 모니터링 결과
- 3.13.1 혁신과제 모니터링 방법론
- 3.13.2 혁신과제 달성 결과
3.14 업무표준, 작업표준, 표준관리시스템
- 3.14.1 표준에 의한 업무 변화
- 3.14.2 표준변경관리
4 Chapter_프로젝트 성공요인
4.1 리더십
4.2 표준화
4.3 인재관리
4.4 통합(Integration)과 소통(Communication)
4.5 유지보수를 통한 지속 개선
서양음악사. 2

도서명 : 서양음악사. 2
저자/출판사 : 민은기 , 박을미 , 오이돈 , 이남재, 음악세계
쪽수 : 460쪽
출판일 : 2016-02-25
ISBN : 9788966852475
정가 : 28000
Chapter 25. 하이든
1. 소년 성가대원에서 궁정 음악가로
2. 1770년대의 양식 변화
3. 새 계약과 ‘주머니 속의 송곳’
4. 영국에서 누린 자유
5. 빈으로 돌아와서
Chapter 26.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트
1. 잘츠부르크의 어린 천재
2. 첫 오페라에서 밀라노 오페라까지
3. 잘츠부르크 귀환에서 파리 여행까지
4. 교회음악
Chapter 27. 빈의 모차르트
1. 잘츠부르크 떠나기
2. 완숙한 기악곡들
3. 모차르트와 다 폰테
4. 마지막 작품들
Chapter 28. 젊은 음악가 베토벤
1. 본의 베토벤
2. 빈의 젊은 피아니스트
3. 새로운 세기와 새로운 시도
4. 발레, 유서, 교향곡, 오라토리오
Chapter 29. 영웅적 시기의 베토벤
1. 〈‘영웅’ 교향곡〉에서 〈피델리오〉까지
2. 나폴레옹과 빈
3. 나폴레옹의 2차 빈 점령
4. 1810년대의 베토벤
Chapter 30. 나폴레옹 이후의 베토벤
1. 빈 회의 이후의 베토벤
2. 후기 피아노 작품들
3. 1824년의 대연주회
4. 후기 현악 4중주
Chapter 31. 예술가곡
1. 일반적 특징
2. 슈베르트
3. 슈만
4. 브람스
Chapter 32. 낭만주의 피아노 음악
1. 피아노와 사회
2. 피아니스트 작곡가
3. 쇼팽의 피아노 음악
Chapter 33. 낭만주의 교향곡과 실내악
1. 19세기 공공 음악회
2. 낭만주의 교향곡
3. 낭만주의 실내악
Chapter 34. 비르투오소의 등장
1. 19세기 비르투오소 음악가
2. 리스트
3. 낭만주의 협주곡
Chapter 35. 표제음악과 관현악 소품
1. 교향시
2. 연주회용 서곡과 부수 음악
3. 관현악 소품
Chapter 36. 후기 교향곡
1. 브람스
2. 브루크너
3. 차이코프스키
Chapter 37. 19세기 이탈리아 오페라
1. 19세기 초 이탈리아 오페라와 로시니
2. 도니체티와 벨리니
3. 이탈리아 통일과 베르디
4. 푸치니와 ‘베리스모’ 오페라
Chapter 38. 19세기 프랑스 오페라
1. 나폴레옹과 왕정복고 시기의 파리 오페라
2. 7월 왕정과 그랑 오페라
3. 제2제정기의 파리 오페라
4. 보불전쟁 이후의 프랑스 오페라
Chapter 39. 독일, 러시아, 동유럽의 오페라
1. 19세기 전반의 독일 오페라
2. 바그너의 오페라
3. 러시아의 오페라
4. 동유럽의 오페라
Chapter 40. 19세기 민족주의와 음악
1. 민족주의 음악
2. 글링카와 러시아 5인조
3. 북유럽의 작곡가들
Chapter 41.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두 거장
1. 후기 낭만주의 음악
2. 말러
3. 슈트라우스
Chapter 42. 20세기 음악
1. 20세기 초 사회 ? 문화적 배경
2. 현대음악의 시작을 구분하는 세 가지 관점
3. 현대음악의 양식적 특징
Chapter 43. 인상주의
1. 모네와 인상주의
2.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
3. 드뷔시
4. 라벨
5. 에릭 사티
Chapter 44. 1900~1914: 조성의 붕괴
1. 반음계주의의 팽창과 조성의 확장
2. 신국민주의
3. 새로운 조성
4. 표현주의와 무조성
Chapter 45. 1914~1945: 새로운 체계
1. 새로운 경향들
2. 신고전주의
3. 각국의 작곡가들
4. 12음렬 음악
Chapter 46. 1945~1960: 아방가르드
1. 총렬음악
2. 우연성음악
3. 새로운 음향과 짜임새
4. 전자음악
Chapter 47. 1960년대: 새로운 출구 찾기
1. ‘60년대’
2. 인용과 콜라주
3. 미니멀리즘
4. 포스트모더니즘
5. 다원주의
Chapter 48. 또 한 번의 세기말을 보내고
1. 20세기말 음악
2. 문화적 변환의 시기
3. 오페라에 대한 새로운 관심
4. 2000년 이후 오늘날의 음악
5. 에필로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