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과학상을 향한 꿈과 한민족 또는 인도 수구 세력 난동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노벨과학상을 향한 꿈과 한민족 또는 인도 수구 세력 난동사

땅끝
2025-04-24 13:25 5 0

본문




노벨과학상을 향한 꿈과 한민족
9788958451273.jpg


도서명 : 노벨과학상을 향한 꿈과 한민족
저자/출판사 : 이진옥, 어드북스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5-10-20
ISBN : 9788958451273
정가 : 15000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첫 번째 판)

1부 새로운 여정
포항공대 명예교수
록펠러대학 겸직교수
뉴욕 생물과학자협회(NYKB)
재미과학기술자협회(KSEA)
노벨과학상
배움과 꿈과 성취와 돌려줌


2부 나를 낳아주고 길러준 땅 한국
한국의 역사와 나의 뿌리
어린 시절
한국의 비극
대강국민학교와 단양중학교
미지의 땅 서울로 향하여
시련의 서울생활
하나님께서 주신 기회
하두봉 선생님과의 만남
아버님과 매부님
인생의 반려자 김광희와의 만남과 미국 유학


3부 꿈을 이루기 위한 도전과 투쟁
경이롭게 느껴진 미국땅
인디애나폴리스
William McD. Armstrong 교수와의 만남
김광희
박사학위를 위한 실험과 실험에 얽힌 이야기
Harry A. Fozzard 교수와의 만남
Postdoctoral Fellow로 연구 시작
어느 날 날아온 한통의 전보
네 식구의 댈러스 방문과 아내의 반지 이야기
아내가 고생한 이야기
Independent Research(독자적 연구)
Established Investigator Award
Independent Research의 발판 마련


4부 정도에 들어선 연구계
Erich E. Windhger 교수와의 만남
제2의 고향 뉴욕에 정착
조교수 시절
Yale의 Richard W. Tsien 교수와의 만남
Wilhelm Simon 교수와의 만남
아내와의 유럽 여행
가르침(teaching)과 보람
Tenure와 함께 부교수 승진
Digitalis(강심제)의 작용기작과 연구에 얽힌 이야기


5부 연구 전성기의 즐거움
Gordon Research Conference
Roger Y. Tsien 교수와의 만남
임욱빈, 손종경, 이효섭, 채수완 박사와의 만남
200 Years of digitalis
교수 승진과 Melbourne의 ISHR의 학회 참석
아내 김광희의 꿈인 가정상담소 설립
Allan Levi 그리고 Denis Noble 교수와의 만남


6부 보람의 시절
김호길 학장과의 만남
Cornell을 떠나 포항공대로
포항공대 생명과학과와 나
포항공대에서 연구 활동
이온통로연구회
Nobel Laureates인 Andrew Huxley, Bert Sakmann, Erwin Neher 교수와의 만남
David Gadsby, Paul Greengard 교수와의 만남
Roderick MacKinnon 교수와의 만남
MacKinnon 교수는 어떻게 하여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는가
테니스와의 인연
축복받은 가정
나의 뿌리에 대한 생각


7부 한국 과학의 장래와 한국 지성계의 풍토
포항공대(POSTECH)는 한민족의 희망이 되어야 한다
한국 대학과 연구계의 문제점
부끄러운 한민족의 과거: 남북한 분단의 비극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준 은혜
한민족의 현재: 국민성 개조가 필요하다
한민족의 미래: 진정한 지도자가 필요하다




인도 수구 세력 난동사
9791186036112.jpg


도서명 : 인도 수구 세력 난동사
저자/출판사 : 이광수 , 한형식, 나름북스
쪽수 : 205쪽
출판일 : 2016-04-25
ISBN : 9791186036112
정가 : 15000

1. 인도 현대사 둘러보기: 네루에서 수구 세력 수권까지 _16
2. 민족의용단, 인도 수구 난동 세력의 모태 _26
3. 수구 세력의 보물 창고, 카슈미르 _35
4. 모든 곳, 모든 사람을 조직하여 행동대원으로 삼아라 _44
5. 바즈랑 달의 반기독교 운동과 폭력 _54
6. 인디라 간디, 아버지의 이름을 욕되게 하고 민주주의를 더럽히다 _63
7. 1984년 델리 학살, 권력을 위해 지옥문을 열다 _72
8. 왕조를 낳은 사람들, 종교 공동체 폭력을 잉태하다 _81
9. 재벌은 어떻게 인도를 지배하게 되었나? _90
10. ‘주식회사’ 인도의 근원은 정경유착이다 _99
11. 부패 정치는 금권 선거에서 나온다 _109
12. 아요디야 비극, 수구 난동의 절정을 이루다 _119
13. 권력은 총구가 아닌 역사 교과서에서 나온다 _128
14. 구자라뜨 무슬림 학살은 인도판 홀로코스트였다 _138
15. 인도국민당의 기반은 종교 공동체주의 폭력이다 _148
16. 종교 공동체주의는 어떻게 정치를 지배하는가? _158
17. ‘반듯한 나라’는 폭력 위에 선다 _169
18. 여성 전사여, 힌두 사회를 수호하라 _178
19. 성폭력의 정치학 _18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