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속의 보물 지렁이 또는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2
땅끝
2025-04-24 13:2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흙속의 보물 지렁이

도서명 : 흙속의 보물 지렁이
저자/출판사 : 최훈근, 들녘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5-03-27
ISBN : 9788975276460
정가 : 13000
지혜로운 농부 5
들어가며 14
1장 지렁이와 농업
지렁이의 기원 20
▶ 문명 발생에 기여한 지렁이
지렁이와 농업 26
▶ 고대 | 근대 | 현대
2장 지렁이의 구조와 특성
지렁이 족보 38
지렁이의 몸 구조와 기능 41
지렁이의 생리 및 생태 44
▶ 번식 | 소화작용 | 수명
지렁이의 종류와 사육 51
3장 흙에서 지렁이가 하는 일
흙 속의 지렁이 생체량 56
흙을 갈아엎는다 58
▶ 지렁이가 갈아엎는 흙의 양 | 지렁이똥(분변토) 형태와 양
흙의 개량효과 74
▶ ㉮부식질을 형성한다 ㉯토양을 중화시킨다 ㉰떼알구조를 만든다 ㉱토양 입자의 조성 변화
㉲토양에 공극을 만든다 ㉳공기를 통하게 한다 ㉴양분을 공급한다(분변토, 오줌과 점액, 지렁
이 사체) ㉵동물과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강우량 조절 및 수분 확보 ㉷보수력(保水力)이 좋
아진다
흙 속에서의 지렁이 역할 102
▶ 유기물의 섭취 | 유기물을 땅속으로
지렁이가 가져다주는 농산물 생산 효과 107
▶ 농경지의 생산성 향상 | 숲의 생산성 향상 | 농산물 수확량 증가사례
4장 지렁이 퇴비장 만들기
‘지렁이퇴비장’이란 단어의 유래 116
퇴비란 무엇인가 119
예전 퇴비를 만드는 과정과 개선점 122
▶ 퇴비의 원료는 골고루 | 미생물이 호흡할 수 있도록 | 미생물도 물이 적당히 있어야
지렁이퇴비장 129
▶ 지렁이퇴비장 개념 | 지렁이퇴비장의 사례
지렁이퇴비장 만들기 141
▶ 지렁이퇴비장의 부지를 선정할 때 고려할 사항 | 지렁이퇴비장의 구조 | 지렁이퇴비장 만들기| 지렁이퇴비장 운영관리(먹이, 미생물과 지렁이, 공기, 물, 온도, 액비) | 지렁이퇴비장의 장점 |운영사례1 | 운영사례2
지렁이똥(분변토) 172
▶ 지렁이 분변토의 안전성
지렁이액비 178
▶ 지렁이액비란? | 지렁이액비의 종류와 제조법(간단한 지렁이액비 제조법, 현대화된 지렁이액비 제조법, 효능 및 사용법, 지렁이액비, 버미워시 제조법1, 버미워시 제조법2, 버미워시의 효능
5장 농경지에 지렁이 넣기
왜 지렁이를 넣는가? 196
지렁이 활용의 역사와 사례 202
▶ 뉴질랜드 | 오스트레일리아 | 네덜란드 | 영국 | 미국 | 한국
지렁이 이식 방법 218
▶ 흩뿌리기 | 뗏장 이식 | 지렁이 이식세트(이식세트 제작, 지렁이 이식 과정)
이식에 활용하는 지렁이 223
▶ 지표성(epigeic) 지렁이 | 지중성(endogeic) 지렁이 | 심층성(Anecic) 지렁이
지렁이 이식 조건 228
▶ 농경지의 종류 | 농경지의 산도는 4.5 이상으로 유지 | 로타리 작업의 영향 | 유(무)기질 거름의 공급 | 농산물의 종류와 돌려짓기의 영향 | 농경지의 적당한 수분 유지 | 배수 개선 | 농경지 압축 감소 | 화학물질의 사용
이식용 지렁이 구하기 246
▶ 농경지에 넣는 지렁이는 어떤 종이어야 하는가? | 지렁이를 어디서 구하는가?(지렁이 포획, 지렁이 유인)
참고문헌 256
부록
환경지표(指標) 동물, 지렁이 259
지렁이 축제 261
지렁이 잡기 대회 262
꿈틀이 마을 축제 263
‘풀꽃상’을 수상한 지렁이 265
‘하늘·땅물·벗賞’ 266
용봉탕(龍鳳湯)의 유래 267
사람을 구한 지렁이 269
지렁이 관련 속담 및 인용문구 270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2

도서명 :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2
저자/출판사 : 김남미, 나무의철학
쪽수 : 262쪽
출판일 : 2015-08-03
ISBN : 9791158510046
정가 : 14000
들어가며
맞춤법은 오늘도 변하고 있다
1장. 맞춤법 달인이 되기 위한 길라잡이
1. 음절의 끝소리 현상
2. 연음법칙
3. 두음법칙
4. 된소리되기 현상
5. 자음군 단순화
6. 자음동화, 모음동화, 자음모음동화
7. 유음화
8. 활음화
2장. 쓸수록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1. 숫양 vs *숫소
2. 봬요 vs *뵈요
3. 받아들이다 vs *받아드리다
4. 떠나려고 vs *떠날려고
5. 예사소리 vs *예삿소리
6. 텔레비전 vs *텔레비젼
7. 삼가다 vs *삼가하다
3장. 의미에 따라 달라지는 우리말
1. 있다가 vs 이따가
2. 장수 vs 장사
3. 띄다 vs 띄우다 vs 띠다
4. 박이다 vs 박히다
5. 가늘다 vs 얇다
6. 달이다 vs 다리다
7. 졸이다 vs 조리다
8. 운명 vs 유명
4장 단어가 결정하는 띄어쓰기
1. 할 테고 vs *할테고
2. 한번 vs 한 번
3. 김수현 vs *김 수현
4. 볼 만한 vs 볼만한
5. 나만 한 vs *나만한
6. 얽히고설키다 vs *얽히고 ?히다 vs *얼키고설키다
7. 쓸데없는 vs 쓸 데 없는
8. 알은척 vs 아는 척
5장. 우리가 쓰는 말이 맞춤법이 된다
1. 너무 좋다
2. 짜장면과 자장면
3. 주책이 있다, 없다?
4. 먹거리와 먹을거리
5. 내음과 냄새
6. 눈초리와 눈꼬리
6장. 황당한 맞춤법 파괴
1. *굿일굿일해
2. *골이따분
3. *나물할 때 없는
4. *핵갈리지 마세요
5. *일치얼짱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