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림과 열림 또는 주역. 1: 연진인의 천명재판
땅끝
2025-04-24 13:2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떨림과 열림

도서명 : 떨림과 열림
저자/출판사 : 박준상, 자음과모음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5-02-06
ISBN : 9788957078402
정가 : 13500
머리말
1부: 몸, 음악 그리고 언어
1. 몸의 음악: 예술에서의 모방과 반-모방에 대한 물음
ㆍ 현대 예술과 반-모방
ㆍ 모방 이전의 미메시스
ㆍ 미메시스와 이미타티오(모방)
ㆍ 몸: 미메시스의 원천
ㆍ 언어와 이미지에 개입하는 몸의 리듬
ㆍ 공동의 미메시스: 미메시스와 타인
ㆍ 정념의 추상성, 절도의 정념
ㆍ 언어와 이미지 안의 음악: 모방 내에서의 반-모방
ㆍ 정확한 파괴: 보이는 것과 읽히는 것을 넘어서
2.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숭고: 니체로부터
ㆍ 아래로 향해 있는 디오니소스적 숭고
ㆍ 음악적 물자체
ㆍ 사회와 마주한 능동적 숭고
ㆍ 음악, 이미지, 개념
ㆍ 숭고에 대한 탈-인식론적 물음
ㆍ 장소 이동으로서의 은유
ㆍ 언어가 초래한 전도 상황
ㆍ 언어: 원죄의 근원
ㆍ 개체화의 원리와 존재론적 악
ㆍ 자연적 진리의 불가능성
ㆍ 숭고로의 입구: 상징과 리듬의 몸
ㆍ 상징과 자연적 삶 ㆍ 생
ㆍ 음악 ㆍ 이미지 ㆍ 개념 사이의 분쟁
ㆍ 숭고한 분쟁
ㆍ 숭고한 합일과 무감각
3. 모리스 메를로-퐁티: 관계들의 매듭
4. 메를로-퐁티, 음악적 경험과 예술
Ⅰ.
Ⅱ.
ㆍ 감각과 개념
ㆍ 알 수 없는 어떤 것
ㆍ 감각의 동사성
ㆍ 음악적 관념: 감각의 환원 불가능성
ㆍ 음악적 관념과 살
ㆍ 개념화되지 않는 미적 대상과 숭고의 대상
ㆍ 음악적 관념으로부터 해명된 예술
ㆍ 존재로서의 음악적 관념과 예술가의 위치
5. 에로스의 말: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시즘과 두 종류의 언어
ㆍ 성의 모순과 역설, 삶의 모순과 역설
ㆍ 에로티시즘과 언어의 대립
ㆍ 위반: 에로티시즘의 반사회성
ㆍ ‘찢긴 존재’
ㆍ 몸의 대타성(對他性), 몸의 언어
ㆍ 몸의 연장(延長)으로서의 언어
ㆍ 긍정: ‘누더기’의 말
ㆍ 에로스의 말: ‘쪼개짐’의 말과 고독
2부 언어, 철학 그리고 정치
1. 행위로서의 외존(外存): 레비나스에 대한 하나의 반성
ㆍ 급진적인 관계
ㆍ 익명적 ‘있음’
ㆍ ‘있음’: 인간의 일상
ㆍ 결핍으로부터의 관계
ㆍ 진리 ㆍ 명제 바깥의 타자
2. 죽음 앞에서의 열림
3. 장-뤽 낭시, 공동-내-존재
ㆍ 반형이상학적 접촉
ㆍ 공동-내-존재
ㆍ 유한성의 경험
ㆍ 문학과 공동-내-존재
4. 공동체의 무위(無爲)
ㆍ 반낭만적 외존
ㆍ 우리 바깥의 ‘우리’
ㆍ 공동체(로)의 무위
5. (정치적) 행위: 장-뤽 낭시를 중심으로
ㆍ 물음
ㆍ 공동체와 이론적 초과
ㆍ 이론의 유한성
ㆍ 이론으로부터 실존으로
ㆍ 나는 생각한다, 나는 말한다: 나는 말한다, 우리는 존재한다
ㆍ 이론의 초과: ‘우리’로의 환원
ㆍ 행동과는 다른 행위
주역. 1: 연진인의 천명재판

도서명 : 주역. 1: 연진인의 천명재판
저자/출판사 : 김승호, 선영사
쪽수 : 318쪽
출판일 : 2015-10-20
ISBN : 9788975582011
정가 : 15000
머리말
정마을의 촌장
독재를 딛고 선 병든 젊음의 출구
능인과 좌설
우물가의 종
촌장의 실종
연진인의 천명재판
대호의 출현
산신령 능인
상음신공
선인 고휴
주역에의 도전
평허선공
현생에서의 사랑
평허선공의 탈출
빗나간 천명
주역에의 입문
현생의 연인들과 평허선공의 계획
돌아온 촌장
촌장의 배려
살신의 꽃
촌장, 정마을을 떠나다
대선관 비월의 간청
평허선공의 혼령 출인
평허선공, 멸진정에 들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