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젠탱글 또는 일본은 어떻게 독도를 인식해 왔는가
땅끝
2025-04-24 13:2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어린이를 위한 젠탱글

도서명 : 어린이를 위한 젠탱글
저자/출판사 : 제인 마베이, 아티젠
쪽수 : 100쪽
출판일 : 2016-07-11
ISBN : 9791195564170
정가 : 13000
젠탱글이 뭐예요?
스트링(String)부터 그려요!
탱글을 시작해요!
탱글을 장식해요!
초급 탱글
나이츠브리지(Knightsbridge) / 베일(Bales) / 포크리프(Poke Leaf) / 티플(Tipple) / 프랭탕(Printemps) / 홀리보(Hollibaugh) / 바버폴(Barberpole) / 코랄시드(Coral Seeds) / 칠론(Chillon) / 키코(Keeko)
ㆍ 책갈피 만들기
ㆍ 탱글 타임!
ㆍ 카드 만들기
ㆍ 친구들이 만든 젠탱글1
중급 탱글
잰더(Zander) / 크러플(Cruffle) / 프래카(Fracas) / 나이스(Gneiss) / 파이프(Fife) / 플루크(Flukes) / 존컬(Jonqal) / 인컷(Yincut) / 하트로프(Heartrope)
ㆍ 사진 액자 만들기
ㆍ 탱글 타임!
ㆍ 크리스마스 장식하기
ㆍ 친구들이 만든 젠탱글2
고급 탱글
파이너리(Finery) / 큐바인(Cubine) / 하이브레드(Hibred) / 맨오맨(Man-O-Man) / 미어(Meer) / 플럭스(Flux) / 무카(Mooka) / 레인(Rain) / 패러독스(Paradox) / 엔제펠(‘Nzeppel) / 에밍글(Emingle)
ㆍ 깃발 만들기
ㆍ 탱글 타임!
ㆍ 노트 표지 만들기
ㆍ 모두가 즐거운 젠탱글
ㆍ 좋은 글 카드 만들기
일본은 어떻게 독도를 인식해 왔는가

도서명 : 일본은 어떻게 독도를 인식해 왔는가
저자/출판사 : 정영미, 한국학술정보
쪽수 : 434쪽
출판일 : 2015-10-09
ISBN : 9788926870907
정가 : 32000
프롤로그
제1장 일본에서의 울릉도·독도 명칭 생성과 배경
제1절 왜구와 이소다케시마(磯竹島)
1. 일본 고대의 우르마 섬(于陵島)
2.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이소다케시마(磯竹島)
제2절 오야 진키치와 다케시마(竹島)
1. 오야 진키치의 ‘표류’에 대한 고찰
2. 다케시마(竹島) 명칭 유래와 『은주시청합기』
제2장 울릉도 도해 금지령과 일본인의 울릉도 독도 인식
제1절 울릉도 쟁계와 도해 금지령에 대한 고찰
1. 울릉도 쟁계 또는 다케시마 잇켄을 보는 시각
2. 울릉도 쟁계와 쓰시마 번
3. 울릉도 도해 금지령의 전개 -1837년 하치에몬 사건-
제2절 울릉도 쟁계 후의 일본인의 울릉도·독도 인식
1. ‘조선의 울릉도’와 ‘일본의 다케시마·마쓰시마’ 인식
2. ‘일본의 다케시마(울릉도)’와 ‘일본의 마쓰시마(울릉도)’ 인식
3. ‘오키의 마쓰시마’에 대하여
제3장 메이지 시대 울릉도 명칭 혼란과 새로운 마쓰시마=독도 창출의 일(一) 과정
제1절 『죽도고증』과 마쓰시마(울릉도) 개척원
1. 『죽도고증』과 ‘마쓰시마 개척 논란’에 대하여
2. 와타나베 히로모토와 새로운 마쓰시마(독도) 창출
제2절 일본 해군과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
1. 일본 해군의 마쓰시마(울릉도) 조사 경과와 의의
2. 가쓰 가이슈와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
제4장 ‘섬의 명칭 혼란에 대한 연구’ 과정
제1절 한일 독도 영유권 논쟁에 대하여
1. 1950∼1960년대 한일 독도 영유권 논쟁과 일본 정부 견해에서의 ‘섬의 명칭 혼란’
2. ‘섬의 명칭 혼란’에 대한 한국 측 분석과 문제점
제2절 한일 독도 영유권 논쟁기 이전의 연구
1. 1906년 오쿠하라 헤키운의 연구
2. 1931년 다보하시 기요시의 연구
제3절 한일 독도 영유권 논쟁기의 연구
1. 1950년 아키오카 다케지로의 연구
2. 1966년 가와카미 겐조의 연구
에필로그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