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타는 사람들 또는 사화와 반정의 시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자전거 타는 사람들 또는 사화와 반정의 시대

땅끝
2025-04-24 13:25 7 0

본문




자전거 타는 사람들
9788975046339.jpg


도서명 : 자전거 타는 사람들
저자/출판사 : 에이미 워커 엮음 · 주덕명 번역, 함께북스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5-09-21
ISBN : 9788975046339
정가 : 14000

감사말 | 5
자전거도 전염된다 - 에이미 워커 | 11

제1부 자전거를 타는 이유
그냥, 재밌으니까! - 테리 로우 | 25
자전거가 더 빠르다 - 라스 겔라 | 29
건강, 부, 자유에 이르는 길 - 토드 리트먼 | 33
자전거의 선물 - 크리스틴 스틸 | 38
자동차에서 자전거로, 그 환경적 이점 - 스테판 리스 | 45
단순함의 아름다움 - 에이미 워커 | 52
영원한 탐험 동지, 자전거 - 뎁 그레코 | 57
자전거와 지역 경제의 활성화 - 에이미 워커 | 61
자전거 보살이 전하는 말: 모든 존재에게 자유를! - 카르멘 밀스 | 68

제2부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
자전거 우주 - 마이클 한센 | 75
자전거 문화로 보는 자전거 - 에이미 워커 | 79
예의바른 자전거 - 뎁 그레코 | 84
자전거로 여행하기 - 숀 그랜튼 | 89
여성 운동과 자전거 - 엘리 블루 | 94
아이와 함께 자전거 타기 - 크리스 킴 | 99
공공 자전거 센터 - 에이미 워커 | 105
내 자전거 갖기(Earn-a-bike) 프로그램 - 존 그린필드 | 110
시클로비아: 차 없는 거리 축제 - 제프 메이프스 | 116
자전거 파티 - 댄 골드워터 | 122

제3부 진지해지기
자전거 친화적인 일터 - 보니 펜튼 | 133
자전거가 답이다: 소규모 자전거 사업과 그 효과 - 사라 머크 | 137
자전거 산업과 자전거 공예의 밝은 미래 - 에이미 워커 | 142
자전거의 발달 단계: 법적 권리를 위한 도전의 역사 - 데이빗 헤이 | 146
자전거 타기 운동의 역사 - 제프 메이프스 | 151
상상에서 현실까지: 풀뿌리 자전거 운동 - 크리스틴 스틸 | 156
뭉쳐야 산다 - 엘리 블루 | 160
안전하게 등교하기 - 뎁 허브스미스 | 164
자전거를 위한 도시 디자인: 도로포장 벗기기 - 로리 케슬러 | 168
자전거 셰어 프로그램의 효과 - 그렉 보르조 | 173
자전거 통행권 - 존 푸처 | 179
자전거 주차하기 - 존 푸처 | 185
자동차가 사라졌다?: 사람을 위한 공간 만들기 - 보니 펜튼 | 189

제4부 장비 갖추기
자전거 매장, 제대로 활용하기 - 울리케 로드리게스 | 197
도심 라이딩을 위한 간단 가이드 - 웬델 챌린저 | 206
자전거 스타일: 뭘 입을까? - 에이미 워커 | 214
아이와 함께 자전거 타기 5단계 - 크리스 킴 | 219
내부 기어 자전거 허브 - 아론 고스 | 226
빛나는 자전거 - 라스 겔라 | 234
수제 자전거와 수공예 운동 - 에이미 워커 | 238
화물 자전거 - 핀리 파간 | 245
괴짜 자전거 - 메굴론-5 | 249
고정 기어 자전거: 위험한 유행일까? - 마틴 닐 | 254
접이식 자전거 - 울리케 로드리게스 | 261
자전거의 인체공학적 진화: 리컴번트 바이크 - 뱅상 드 투도네 | 265
자전거는 모두의 것 - 론 리칭스 | 271
E-바이크, 도와줘! - 사라 리플링어 | 276
빗속에서 자전거 타기 - 에이미 워커 | 280




사화와 반정의 시대
9788993119886.jpg


도서명 : 사화와 반정의 시대
저자/출판사 : 김범, 역사의아침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5-04-28
ISBN : 9788993119886
정가 : 16000

감사의 글
책을 시작하며_ 조선 최초의 사화와 반정의 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1장 성종 - 왕권의 안정과 균열의 시작
1. 변형된 왕정-1~7년
갑작스런 즉위 | 수렴청정과 원상제의 시행 | 훈구대신의 영향력
2. 균형과 견제-8~17년
친정을 시작하다 | 대신을 압박하다 | 몰리는 한명회 | 대간의 부상浮上 | 균형과 견제 | 월권의 조짐 | 국왕의 고민
3. 균열의 시작-18~25년
홍문관의 기능 확대 | 제3의 언론기관, 홍문관 | 회복되는 대신의 위상 | 갈등의 고조 | 국왕의 경고 | 성종대의 정치적 유산
4. 성종의 왕권-비폭력적 유교정치의 수행

2장 연산군-절대왕권의 추구와 정치적 파탄
1. 능상에 대한 경고-무오사화(1~4년)
국왕과 삼사의 대립 | 대신과 삼사의 충돌 | 삼사의 능상을 교정하라 | 조선 최초의 사화, 무오사화 | 사화의 전개 1-김일손의 사초 | 사화의 전개 2-붕당의 단초 | 사화의 전개 3-「조의제문」의 발견과 해석 | 삼사의 연루 | 피의자들의 처벌 |사화의 분석
2. 왕권의 일탈과 무차별적 숙청-갑자사화(5~10년)
제어받지 않는 왕권 | 패행과 사치 | 재개되는 삼사의 간쟁 | 국왕과 삼사의 충돌 | 신과 삼사의 협력 | 갑자사화의 발발-이세좌·홍귀달 사건 | 폐모 사건의 보복 | 피화인의 분석
3. 폭정과 폐위-11~12년
일상화된 폭정 | 불안해하는 폭군 | 반정과 폐위
4. 연산군의 왕권-전제왕권의 추구와 정치적 파탄

3장 중종-중흥과 개혁의 모색
1. 추대된 국왕-즉위년~9년
편중된 권력 | 삼사의 도전 | 삼대장과의 갈등 | 재연再燃되는 능상
2. 급진적 개혁과 실각-기묘사화(10~14년)
왕권 강화의 의지 | 기묘사림의 등장 | 개혁정치를 보는 시각
3. 역전된 정국-15 ~25년
다시 우위에 선 대신 | 삼사의 회복 | 변질의 실마리
4. 김안로의 집권과 삼사의 기능 변질-26~32년
김안로의 시대 | 국정의 난맥상 | 사유화된 삼사
5. 중흥의 마지막 노력-33~39년
중흥의 의지 | 한계와 성과
6. 중종의 왕권-조정력의 부재와 미완의 중흥

책을 마치며_삼사의 위상 확립과 정치적 정립구도의 형성
주석 | 참고문헌 | 부록: 갑자사화 피화인의 명단 |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