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또는 임제록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또는 임제록

땅끝
2025-04-13 19:24 6 0

본문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9788960535855.jpg


도서명 :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저자/출판사 : 윤철규, 마로니에북스
쪽수 : 378쪽
출판일 : 2020-04-29
ISBN : 9788960535855
정가 : 18000

서문_ 다빈치 시대를 살았던 조선 화가는?

1. 고려 말과 조선 전기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 된 그림
-시작에 앞서 물려받는 전통
-신앙의 시대, 믿음으로 그린 그림
-동해 낙산의 바위굴과 시에나의 로마나 성문
-풍속화처럼 그린 불화와 현실처럼 그린 그리스도 그림
-후대에 미친 탁월한 기량
-문인의 꿈과 장인의 프라이드
-공신이 된 노비 화가와 귀족 대접을 받은 댄디 화가
-봄을 그린 화가의 서로 다른 운명
-탄생의 환희와 경건한 탄생의 예고
-조선이 그린 지옥과 서양의 지옥
-궁정과 도시 전체가 신앙의 현장
-지방관의 교양과 궁정인의 에티켓
-모든 이의 구원과 고통받는 병자의 구원
-사무관 모임 그림과 장관급의 초상
-평화롭고 귀여운 또 다른 세계
-미물의 세계와 변신 이야기
-일하는 아이와 노는 아이들

2. 조선 중기
-잔치의 즐거움과 함께하는 식사의 의미
-새로운 전형을 만들어낸 화가들
-이국땅에서 실력을 발휘한 화가들
-특별한 문인 화가와 서양 최초로 문인 대접을 받은 화가
-조금씩 그려지기 시작한 사실적인 풍경화
-스텍터클한 화면에 가려진 섬세한 필치
-일필휘지의 달마와 등잔불에 비친 막달라 마리아
-황금빛 선과 환상의 빛에 감사인 이상 세계
-은자의 세계를 향한 꿈과 미지의 세계를 향한 동경
-그림에 들어간 글들
-경제적 여유가 가져온 풍속화 시대의 개막
-정신을 그린 작은 새와 평범한 정물
-선경에 모인 대신들과 풍경 앞에 앉은 여 이사들

3. 조선 후기
-자기 모습을 똑바로 바라본 화가
-여행 붐 시대가 만들어낸 실경 이미지
-고상한 문인 풍류와 상류 사회의 세속적인 연애
-이 잡는 노승과 젊은 여인
-여인 책 읽기가 유행한 시대
-백성과 함께한 왕과 신도 앞에 선 교황
-새로운 취향을 따른 화려하고 아름다운 세계
-서로 다른 두 개의 우아한 세계
-여행 시대의 새 기법과 인기 레퍼토리
-바람을 담은 메추라기와 형태를 추구한 파이프
-신의 세계와 인간 왕국을 그린 그림
-세상에 대한 호기심, 낙타와 코뿔소
-그림이 된 왕의 권위와 황제의 위엄
-조선 최고의 미인과 프랑스 최고의 미녀
-물고기와 말 한 가지만 그려 유명해진 화가
-백안의 처사와 해변의 고독한 수도사
-여행과 겹친 수집 시대의 그림
-마음을 그린 산수와 변화하는 자연을 그린 풍경
-이데아의 집과 비바람 속의 스피드
-대왕대비의 환갑잔치와 빅토리아 여왕의 만찬
-고전과 고대에 심취한 마니아가 그린 매화와 장미
-소나무 숲속의 호랑이와 바위 곁에 앉은 호랑이
-새로운 감각의 표현과 새로운 화풍의 시도
-서민들의 인상, 장꾼과 삼등칸 서민
-주문을 위한 여행과 제작을 위한 여행
-고상한 중인들과 우아한 중산층 시민의 유흥
-돌을 그리는 마음과 바위산을 바라보는 근대적 시각
-보고 있으면 행복에 젖어 드는 그림

부록_시대 대조표




임제록
9791189269418.jpg


도서명 : 임제록
저자/출판사 : 석지현(역주.해설), 민족사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9-10-30
ISBN : 9791189269418
정가 : 25000

● 일러두기………………………………………………… 004
● 머리말…………………………………………………… 005

1_ 임제는 누구인가………………………………… 011
1. 시대적 배경……………………………………… 011
2. 생애………………………………………………… 012
3. 사상………………………………………………… 014
4. 후세에 끼친 영향………………………………… 019
5. 『임제록』의 문체(文體)…………………………… 021

2_ 서문[序]……………………………………………… 022
3_ 법문[上堂]…………………………………………… 028
4_ 가르침[示衆]………………………………………… 063
5_ 선문답[勘辨]………………………………………… 238
6_ 수행록[行錄]………………………………………… 293
7_ 탑기(塔記)…………………………………………… 356

● 『임제록』에서 인용하고 있는 경전과 어록, 언구(言句) 목록……… 362

● 참고문헌………………………………………………… 370

● 찾아보기………………………………………………… 37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