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국가대표 포인트가드 또는 미치게 친절한 철학
시니
2025-04-13 21:35
1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나는 국가대표 포인트가드

도서명 : 나는 국가대표 포인트가드
저자/출판사 : 강현숙, 새로운사람들
쪽수 : 360쪽
출판일 : 2018-11-26
ISBN : 9788981205683
정가 : 18000
강현숙의 농구 인생
제1부 산동네서 키운 타극마크의 꿈
은퇴경기서 중국 대파하다
포인트가드와 나의 삶
나락으로 떨어진 어린 시절
“엄마, 나 농구선수 됐어!”
박신자를 롤 모델로 삼다
한 우물을 팔래요
너무나 억울했던 편파판정
연습벌레로 지내다
버스비 20원과 과자 한 개의 유혹
성경구절을 외우며 다닌 등하굣길
청소년 대표로 태극마크 달다
제2부 영광과 좌절, 그리고 연애
태극마크 달고 모스크바로
고려인과 조선족의 이주 역사
“여편네 없는 박정희 괴뢰도당”
잊고 싶은 한일전의 악몽
바스켓볼의 탄생과 한국농구
한 골에 땅을 친 몬트리올 프레올림픽
출국 하루 전 손가락 탈골
이탈리아 미국 전지훈련
깡총한 바지의 촌스러운 남자
새벽길의 북동 횡단
신동파의 ‘빳다’ 세례
족두리 쓰고 중공을 연파하다
김 기자, 장수가 탄 말을 쏘다!
열성팬들
천호대교 투신소동
미수에 그친 눈밭에 업어치기
서울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상>
개막전 패배의 충격
서울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중>
75%의 슛 정확도로 미국을 격파하다
서울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골득실 차로 놓쳐버린 우승의 꿈
스포츠 강국을 일군 태릉선수촌
김 기자의 철야전투 첫날
“자네가 뭔데 내 딸을 데려간다는 거야.”
김 기자의 철야전투 둘째 날
“그냥 동생이라고 생각하고 잊어주시오.”
김 기자의 철야전투 셋째 날
마지막 자존심을 건 최후의 승부
모스크바 프레올림픽의 회한
세계 베스트5
체육연금 농구 1호
호리덕(胡利德) 감독과의 인연
그리운 아버지
제3부 긍정과 지성(至誠)으로 지킨 가정
신혼여행에서 있었던 일
밥을 태우는 여자
엄마가 되다
다섯 집의 인연
두 번째 출산에서 쌍둥이 낳다
아이 셋 키우기
늑막염에 걸리다
봉사활동
남편의 노조활동
미국 연수와 자동차여행
가정 최대의 위기 -①
청천벽력의 간암 판정
가정 최대의 위기 -②
색전술 치료
가정 최대의 위기-③
겁쟁이 남편
가정 최대의 위기-④
“누군데 이렇게 시끄러우냐”
가정 최대의 위기 -⑤
70시간 같았던 7시간의 수술
제4부 다시 농구장으로 돌아오다
22년 만의 귀환
선수촌장 선수단장
대표팀 구성의 갈등
뜻밖의‘女 포청천’제안
심판위원장 24시
아들 셋 얻고 할머니 되고 중> 상>
미치게 친절한 철학

도서명 : 미치게 친절한 철학
저자/출판사 : 안상헌, 행성B
쪽수 : 532쪽
출판일 : 2019-06-25
ISBN : 9791164710027
정가 : 22000
프롤로그
1부 고대철학
1강. 왜 철학을 할까 철학의 시작
2강.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 자연철학
3강.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있을까 헤라클레이토스
4강. 눈에 보이는 것이 다일까 파르메니데스
5강. 객관적 기준은 있는가 프로타고라스
6강. 나는 무엇을 아는가 소크라테스
7강. 왜 철학자가 왕이 되어야 하는가 플라톤
8강.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
9강. 그들이 개처럼 살아간 이유는? 견유학파
10강. 왜 의심하는가 회의주의
11강. 진정한 쾌락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에피쿠로스
12강. 우주와 조화로운 삶은 어떤 것일까 스토아학파
2부 중세철학
13강. 어떻게 신의 존재를 증명할까 중세철학
3부 근대철학
14강.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데카르트
15강. 삶은 어디에서 오는가 로크
16강. 사회와 국가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홉스
17강. 인간은 세상을 알 수 있는가 흄
18강. 왜 선하게 살아야 하는가 칸트
19강. 역사는 어떻게 발전하는가 헤겔
4부 근대철학의 붕괴
20강. 어떻게 인간을 자유롭게 할 것인가 마르크스
21강. 왜 신을 죽였을까 니체
22강. 인간은 의식적인가 무의식적인가 프로이트
5부 현상학과 실존주의
23강. 의식은 어떻게 대상을 파악할까 후설
24강. 존재란 무엇인가 하이데거
25강. 자유로운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사르트르
6부 프랑크푸르트학파
26강. 타노스는 왜 인간을 공격했을까 프랑크푸르트학파
27강. 이성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을까 하버마스
7부 언어철학과 구조주의
28강. 말할 수 없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트겐슈타인
29강. 선물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레비스트로스
30강. 권력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가 푸코
31강. 욕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라캉
8부 포스트구조주의
32강. 다른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들뢰즈
33강. 삶은 사건이다 알랭 바디우
에필로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