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마르크스 저작선 또는 일기의 행간에서 조선의 삶과 문화 깊이 읽기
시니
2025-04-13 21:35
9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8회 연결
본문
청년 마르크스 저작선

도서명 : 청년 마르크스 저작선
저자/출판사 : 칼 마르크스, 백산서당
쪽수 : 509쪽
출판일 : 2019-02-20
ISBN : 9788973275397
정가 : 25000
편자 서문 ㆍ5
서론 ㆍ15
최근 프로이센의 검열훈령에 관한 논평 ㆍ95
제6차 라인주의회 의사록: 제1장 언론자유와 신분제의회 의사록의 공표에 관한 토론 ㆍ125
< 라인신문> 1842년 5월 17일 화요일 제137호의 부록과 관련한, 그리고 스스로와 관련한 중앙집중문제 ㆍ194
< 쾰른신문> 제179호의 사설 ㆍ197
역사 법학파의 철학적 선언 ㆍ222
제6차 라인주의회의 의사록 ㆍ세 번째 논설: 도벌법에 관한 논쟁 ㆍ233
공산주의와 아우크스부르크 <알게마이네 신문> ㆍ283
공산주의에 관한 논박을 위하여 ㆍ289
이혼법 초안 ㆍ292
프로이센 국가를 위한 <라이프치히 알게마이네 신문> 의 발행금지 ㆍ297
고故 모젤 통신원의 변호. ㆍ301
< 쾰른신문>과 <라이프치히 알게마이네 신문> 의 발행금지 ㆍ338
“온건한” 신문의 공격에 대한 답변 ㆍ340
어느 “이웃” 신문의 고발에 대한 답변 ㆍ344
< 쾰른신문>의 고발과 <라인 모젤 신문> 의 논박 ㆍ349
< 라인 모젤 신문> ㆍ358
헤겔 법철학비판 서문 ㆍ361
유대인 문제에 대하여 ㆍ378
사유재산과 공산주의 ㆍ415
돈 ㆍ431
돈 ㆍ438
포이어바하에 관한 테제 ㆍ446
공산당선언 ㆍ449
<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 서문 ㆍ471 라인> 라이프치히> 라이프치히> 알게마이네>
일기의 행간에서 조선의 삶과 문화 깊이 읽기

도서명 : 일기의 행간에서 조선의 삶과 문화 깊이 읽기
저자/출판사 : 장윤수 , 박성호 , 전경목 , 강윤정 , 이근호 ,, 새물결
쪽수 : 255쪽
출판일 : 2018-09-30
ISBN : 9788955594201
정가 : 20000
책머리에 9
1장 풍산김씨 허백당 문중의 가학 전통과 학풍 13
1. 오미마을, 유가향儒家鄕의 전설 15
2. 문중의 주요 인물과 가학 전통 20
3. ‘일기’의 주요 내용과 가학 전통 31
4. 가학의 특징과 학풍에 대한 횡단적 고찰 48
5. 맺음말 58
2장 조선후기 영남 출신 관료의 시선으로 쓴 일기, 『김두흠일록』 63
1. 서언: 『김두흠일록』에 대해 65
2. 숭릉별검에 나아가다 68
3. 관직 생활의 부침 74
4. 편지를 통해 소통하다 79
5. 과거에 대한 지대한 관심 84
6. 공사다망했던 일생: 가정사, 문중사, 향중사 87
7. 결언: 조선후기 영남 출신 관료의 초상 91
3장 김병황의 과거 응시 전략과 그 함의 93
1. 서론 95
2. 김병황의 과거 응시 이력 97
3. 응시 전략과 그 함의 133
4. 결론 143
4장 『김정섭일록』을 통해 본 1920년대 향촌 지식인의 현실 인식 145
1. 글을 시작하며 147
2. 기록자 김정섭과 『을미병신일록』 148
3. 15년간(1920∼1934년)의 기록, 『김정섭일록』 154
4. 항일투쟁 및 민족문제 인식 157
5. 식민지 교육 확산과 그의 인식 170
6. 글을 맺으며 183
5장 『숭재일록』에 나타난 김두흠의 관료사회 인적 네트워크와 현실 대응 185
1. 머리말 187
2. 관력官歷과 관료사회의 인적 네트워크 189
3. 현실 대응 양상 206
4. 맺음말 218
6장 풍산김씨 일기에 나타난 의례 전통 223
1. ‘3대 일기’의 키워드 225
2. 풍산김씨의 오미마을 시대와 기록 문화 전통 227
3. ‘3대 일기’의 저자와 친족 관계 231
4. 의례 생활의 양상과 특징 234
5.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의례 전통 25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