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또는 수축사회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3.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또는 수축사회

시니
2025-04-13 21:35 10 0

본문




3.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9791186828120.jpg


도서명 : 3.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저자/출판사 : 정운현, 역사인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9-01-31
ISBN : 9791186828120
정가 : 22000

책을 펴내며

1. 손병희 천도교 창건 후 ‘3·1혁명’을 기획·연출한 민족지도자이자 경세가
2. 길선주 한국 최초의 목사, 새벽기도 창안한 ‘평양 대부흥운동’의 주역
3. 이필주 구한국 군인·체육교사 출신으로, 감리교 대표로 선언서에 서명
4. 백용성 풍금 치고 ‘찬불가’ 작곡, ‘선농일치’ 실천한 불교개혁론자
5. 김완규 <천도교회월보> 첫 발행인, 해방 후 다양한 정치·사회활동
6. 김병조 임정 사료편찬 참여, 해방 후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서 사망
7. 김창준 미국 유학 후 신학교수 활동, 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
8. 권동진 구한국 무관 출신, 천도교 핵심 3인방으로 3·1혁명 추진
9. 권병덕 최시형 도와 동학혁명 참여, 시천교 등 거쳐 천도교에 귀의
10. 나용환 진보회 ‘평양 민회’ 회장, 천도교 중앙총부 중진 역임
11. 나인협 ‘갑진개화운동’에 적극 앞장, 해방 후 북한정권에 맞서다 월남
12. 양전백 ‘105인 사건’으로 옥고, 선천 지역 2세 교육에 앞장서다
13. 양한묵 유일한 호남 출신으로 서대문감옥에서 옥사한 천도교 이론가
14. 유여대 교육자 출신으로 태화관 참석 대신 ‘의주 3·1만세시위’ 주도
15. 이갑성 유일한 민간인 출신으로 학생동원·선언서 배포에 크게 기여
16. 이명룡 ‘105인 사건’ 때 옥고, 해방 후 월남하여 애국선열 현창사업 펼치다
17. 이승훈 사업가 출신으로 오산학교 설립해 민족교육에 재산과 몸 바치다
18. 이종훈 33인 중 최고령자, 사회변혁·천도교 혁신운동에 앞장
19. 이종일 언론인 출신으로 천도교 비밀조직 이끈 독립선언서 인쇄 책임자
20. 임예환 ‘갑진개화운동’에 적극 앞장, 해방 후 북한에 잔류·사망
21. 박준승 동학혁명 참여한 천도교 중진, 권동진 권유로 33인 합류
22. 박희도 독립선언·필화사건으로 두 차례 옥고, 끝내 친일로 변절
23. 박동완 신간회 시절 재만동포 구호사업에 앞장, 하와이에서 타계
24. 신홍식 이승훈 권유로 민족대표 참여, 절제·청년·농촌운동에도 맹활약
25. 신석구 신사참배 거부로 구금, 해방 후 북한정권에 맞서다 처형
26. 오세창 개화파 오경석의 아들, 언론인·서예가로도 이름을 날리다
27. 오화영 일제 때 세 차례 옥고, 해방 후 정계에 투신하다 납북
28. 정춘수 기독교 황민화에 앞장, 청주 삼일공원 동상 헐리다
29. 최성모 신민회 회원 출신, 3·1혁명 출옥 후 만주에서 전도사업
30. 최린 손병희가 총애한 천도교 핵심, 가출옥 후 친일로 변절
31. 한용운 시인·승려 출신으로 신간회서 활동, 불교대중화에 힘쓰다
32. 홍병기 손병희와 동학농민전쟁 참전, 고려혁명당 이끈 천도교 중진
33. 홍기조 홍경래 후손으로 천도교 포교 활동에 큰 공로 세우다 천도교회월보>




수축사회
9791157061402.jpg


도서명 : 수축사회
저자/출판사 : 홍성국, 메디치미디어
쪽수 : 388쪽
출판일 : 2018-12-10
ISBN : 9791157061402
정가 : 18000

서문 낯선 세계의 문턱에서

1부 팽창사회에서 수축사회로
1장 수축사회의 시작
서로가 적(敵)인 사회
왜 수축하기 시작하는가?

2장 수축사회의 5가지 특징
원칙이 없다: 이기주의
모두가 전투 중: 입체적 전선
눈앞만 바라본다: 미래 실종
팽창사회를 찾아서: 집중화
심리게임: 정신병동

2부 전 세계가 수축하고 있다
3장 온전한 나라는 없다
미국: 패권이 위험하다
유럽: EU 안의 제로섬
후발개도국: 빈곤의 악순환

4장 부채의 덫에 걸린 글로벌 경제

5장 4차산업혁명, 수축사회의 불을 댕기다
공급과잉
무한대의 효율성 경쟁
산업의 재편, 과거형 산업의 몰락
과학기술전쟁
뷰카: 양극화 + 개인주의 + 위험사회
6장 중국의 미래: 홀로 설 수 있을까?
사회적자본 부족
중국 위기론의 본질
누적되는 모순과 우상화
굳건한 시진핑 체제
모순을 잉태한 신전체주의 체제

7장 미-중 G2 패권대결의 향방
이미 시작된 미-중 G2 패권대결
과학기술 패권전쟁
전방위 경제전쟁

소결: 향후 세계 전망

3부 전환의 시대에 필요한 생존 전략
8장 수축사회를 돌파하는 5가지 기본 원칙
원칙을 세우고 지켜라
미래에 집중하라
창의성이 답이다
남다른 무기를 개발하라
사람을 조심하라

4부 한국, 어디에 서 있는가?
9장 수축사회에 진입 중인 한국
계급의 탄생: 양극화
권위의 상실: 교육, 법률, 종교
도덕적 해이
팽창사회적 해법

10장 정치, 과거의 늪에서 벗어나야 한다
정치의 3가지 역할
이데올로기의 노예: 정치적 이상주의
통일, 새로운 기회

11장 길을 잃은 경제
사회적자본 부족
경제구조의 변화
소득주도성장 논쟁
내수 vs 수출
대기업 vs 중소기업
산업 포트폴리오 재편
4차산업혁명: 유일한 대안
일자리는 창출되지 않는다
가계부채: 탐욕인가, 생존인가
부동산: 집중화를 극복하자
한국의 미래

감사의 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