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또는 반야심경: 불교의 정수를 직시하다
시니
2025-04-13 21:35
17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회 연결
본문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도서명 :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저자/출판사 :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주류성
쪽수 : 532쪽
출판일 : 2018-12-20
ISBN : 9788962463668
정가 : 25000
개회사
환영사
주제발표
1. 김해 봉황동유적 발굴조사 성과
민경선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 삼한의 국읍國邑과 구야국
박대재 (고려대학교)
3. 성립기 일본 고대의 궁실宮室
仁藤敦史 (日本國立歷史民俗博物館)
4. 국읍國邑으로서의 봉황동유적鳳凰洞遺蹟
이성주 (경북대학교)
5. 고분시대 서일본지역의 항구 관련 유적과 봉황동유적
高田貫太 (日本國立歷史民俗博物館)
6. 한반도 성의 출현과 전개
박순발 (충남대학교)
7. 중국 선진先秦~수隋·당唐 시기 궁성의 고찰考察
國强 (中國社會科院)
8. 중국 전국戰國, 진秦, 한漢 시기 도성都城에 관한 문헌 고찰
馬彪 (日本國立山口大)
종합토론
반야심경: 불교의 정수를 직시하다

도서명 : 반야심경: 불교의 정수를 직시하다
저자/출판사 : 승명, 한솜미디어
쪽수 : 456쪽
출판일 : 2018-11-20
ISBN : 9788959594986
정가 : 23000
1. 서문/ 10
2. 반야심경이란 무엇인가-그 역사와 위치/ 18
가. 니까야의 기원 / 22
나. 아함경의 기원/ 23
3. 반야심경의 핵심 내용/ 25
가. 반야심경의 구조/ 26
나. 반야심경의 불교 사상사적 위치/ 27
다. 판본과 번역본들/ 30
라. 반야심경이라는 명칭/ 34
마. 역번역의 문제/ 35
4. 반야심경 개괄번역/ 38
5.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해설/ 46
가. 관자재보살이 오온의 공함을 보다/ 49
1)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51
2) 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 59
3) 조견오온개공/ 67
가) 조견(照見)/ 67
나) 오온(五蘊)의 분류 의미/ 68
다) 오온(五蘊)/ 72
라) 색온(色蘊)/ 73
마) 수온(受蘊)/ 75
바) 상온(想蘊)/ 78
사) 행온(行蘊)/ 79
아) 식온(識蘊)/ 82
4) 공(空)이란 무엇인가/ 87
가) 개설/ 87
나) 어원적 의미/ 89
다) 자성(自性)/ 92
라) 다르마(法)/ 93
마) 오온개공의 평가 94
5) 무아론/ 95
가) 나의 개념과 범위/ 96
㉠ 아트만/ 96
㉡ 생물학적 구성 원리로서의 나/ 98
나) 나의 범위/ 99
다) 역사적인 고찰/ 100
㉠ 문제의 소재와 이론적 다툼/ 100
㉡ 기본불교/ 102
㉢ 부파불교/ 102
㉣ 대승불교의 입장/ 103
라) 무아론과 비아론/103
마) 푸드갈라론/ 108
바) 인식과 결단의 주체로서의 ‘나’/ 114
사) 자유의지의 문제/ 119
아) 무아론의 효과/ 125
자) 관련문제/ 125
㉠ 도움이 되는 실험/ 126
㉡ 물리학자의 ‘나’에 대한 통찰/ 127
차) 경전에 나타나는 무아론들/129
카) 정리 및 자아의 상태/ 130
6) 도일체고액/135
나. 오온(五蘊)과 공(空)의 관계/ 136
1) 여기서(iha)/ 136
2) 대승불교의 시작/ 138
가) 제1회 결집/ 138
나) 제2회 결집/ 139
다) 설일체유부/ 141
라) 대승불교의 본격 등장/ 145
㉠ 기원/ 145
㉡ 용어/146
㉢ 시기/146
㉣ 등장 원인/ 148
마) 대승불교의 주장 요지/ 148
바) 대승불교의 발전/ 151
3) 사리자(舍利子)/ 152
4) 색불이공 공불이색/ 157
5) 색즉시공 공즉시색/ 168
6) 수상행식 역부여시/ 174
7) 경전의 구절/ 176
다. 모든 법은 항상 그대로다/ 191
1) 사리자 시제법공상/ 191
2)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197
3) 제법공상의 성질론/ 207
4) 시간에 대하여/ 215
라. 오온도 없다/ 227
1) 시고 공중 무색 무수상행식/ 227
마. 12처도 없다/ 232
1) 무안이비설신의/ 234
2) 경전의 구절/ 243
3) 무색성향미촉법? 247
4) 경전의 구절/ 248
바. 18계도 없다/ 250
1)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251
사. 12연기도 없다/ 254
1) 연기법/ 254
가) 어원/ 255
나) 학파별 주장 내용/ 255
㉠ 상좌부불교/ 255
㉡ 대승불교/ 256
㉢ 티베트불교/ 256
㉣ 화엄학파/ 257
다) 현대적 해석/ 257
라) 시간적 기준/ 258
마) 연기법의 내용/ 258
2) 무명에서 노사까지 없다/ 262
3) 무명에서 노사까지 다함이 없다/ 303
아. 사성제도 없다/ 306
1) 무고집멸도/ 306
가) 고성제(苦聖蹄)/ 314
나) 집성제(集聖蹄)/ 320
다) 멸성제(滅聖蹄)/ 321
라) 도성제(道聖蹄)/ 322
㉠ 정견(正見)/ 325
㉡ 정사유(正思惟)/ 333
㉢ 정어(正語)/ 333
㉣ 정업(正業)/ 334
㉤ 정명(正命)/ 335
㉥ 정정진(正精進) / 336
㉦ 정념(正念)/ 337
㉧ 정정(正定)/ 356
마) 무고집멸도의 선언/ 361
2) 무지역무득/ 362
자. 열반으로 가는 길/ 366
1) 이무소득고 보리살타의반야바라밀다고 심무가애/ 366
2) 심무가애/ 373
3) 무가애고 무유공포/ 375
4)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376
5) 구경열반/ 381
차. 깨달음으로 가는 길/ 386
1)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 386
2) 반야바라밀다로 가는 새로운 방법/ 396
3) 고득 아뇩다라삼먁삼보리/ 401
카. 주문의 위력/ 406
1) 고지 반야바라밀다/ 406
가) 주문이란 무엇인가/ 407
㉠ 주문과 만트라, 다라니/ 407
㉡ 어원과 유래 408
㉢ 주문에 대한 여러 정의/ 409
㉣ 만트라의 언어적 의미에 대하여/ 410
㉤ 주문의 실제 사례/ 412
나) 반야심경은 본문과 주문인가, 전체가 주문인가/ 415
2)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416
가) 시대신주/ 419
나) 시대명주/ 419
다) 시무상주/ 421
라) 시무등등주/ 421
3)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422
4) 주문에 대한 전체적 조망/ 423
타. 주문을 외우다/ 425
1) 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426
2) 주문의 발음에 대한 고찰· 427
3) 주문(呪文)/ 430
6. 정리 및 결론/ 436
7. 후기/ 446
8. 부록/ 448
가. 콘체의 산스크리트어본/ 448
나. 당범번대자음반야바라밀다심경+운거사석경본/ 449
9. 경전색인/ 45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