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임브리지 중국철학 입문 또는 우리가 우리를 기억하는 방식
시니
2025-04-13 21:35
1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1회 연결
본문
케임브리지 중국철학 입문

도서명 : 케임브리지 중국철학 입문
저자/출판사 : 카린 라이, 유유
쪽수 : 514쪽
출판일 : 2018-11-14
ISBN : 9791185152004
정가 : 38000
머리말
1. 중국 철학
1) 사상가, 문헌, 전통
2) 중국 철학의 특징
자기 수양修身
관계와 맥락
조화
변화
3) 철학적으로 사고하기
2. 공자와 『논어』
1) 『논어』 읽기
2) 인仁: 인간다움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관심으로서의 인
인: 유가의 황금률
인과 특수한 관계의 형성
인과 실천적인 지혜
3) 예禮: 행동의 적절성
4) 인과 예
인이 근본이다
예가 근본이다
인과 예는 상호 의존적인 개념이다
5) 현대 철학 논쟁에서 자기 수양과 모범적 인격
3. 유가 철학에서 인간 본성과 수양: 맹자와 순자
1) 맹자: 선함의 배양
도덕성은 인간 본성에 자연적으로 주어진 부분이 아니다
인간 본성은 자연적으로 선함을 지향하지 않는다
모든 인간이 자연적으로 선함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2) 순자: 인성人性의 형성
3) 하늘天의 길과 인간人의 길
4. 고대 묵가 철학
1) 10개의 학설
2) 공동 행복의 극대화
3) 표준을 가지고 일하기
5. 도가와 『도덕경』
1) 도가의 철학과 실천
황노 도가 사상
노장 혹은 철학적 도가
2) 『도덕경』에서 도와 덕
도道: 실재 혹은 우주적 전망
덕德: 영향력 혹은 효능
도道: 길
3) 『도덕경』에서 무위와 자연
무위無爲
자연自然: 자연계
자연: 스스로 그러함
6. 명가와 후기 묵가
1) 명가
혜시
공손룡
2) 후기 묵가 사상
구별하기와 유사성 인식하기
명칭, 명제, 지식
과학적 논의
겸애의 실천: 공리주의 도덕
3) 중국 전국시대의 논쟁
7. 법가 철학
1) 세 가지 근본 주제: 형법, 기술, 권력
법法: 표준과 형법
술術: 관료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
세勢: 권력
'위대한 집대성자' 한비자
2) 법가 철학의 논쟁
인간 본성
백성
가장 좋은 사람인가 아니면 가장 좋은 시스템인가?
관료제
기밀, 권력, 지식 통제
통치와 인간의 행복
8. 장자
1) 장자의 회의주의
2) 인식론적 질문
3) 수양과 숙련
영성
정치적 삶에의 참여
숙련
4) 장자 철학의 함의
9. 『역경』과 중국철학에서 『역경』의 위치
1) 통합과 제국의 사상적 토대
2) 상관적 사고
음양, 오행, 기
자연적 종교적 인간적 세계
3) 『역경』의 정신
관찰의 우월성
모든 것을 아우르는 전체론적 관점
이원론에 대한 변증법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접근
상관적 사고와 공명
괘의 의미와 상응성에 대한 해석적 접근
시의적절함과 실천적 지혜
4) 『역경』의 영향
10. 중국 불교
1) 인도 불교의 근본 교리
2) 중국 초기 불교
3) 중국 불교 교리
삼론종三論宗
유식종唯識宗
천태종天台宗
화엄종華嚴宗
선종禪宗
4) 중국 불교 철학
더 읽을 자료
옮긴이 주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우리가 우리를 기억하는 방식

도서명 : 우리가 우리를 기억하는 방식
저자/출판사 : 김동하, 답
쪽수 : 264쪽
출판일 : 2019-05-20
ISBN : 9791187229230
정가 : 13500
1_ 산티아고 순례길, 만남
로그로뇨 성당
가깝고도 먼 사이
나란히 걷다
상처 받지 않을 정도의 거리
그녀가 태어난 날
심장이 검은색으로 변하다
12월의 마지막 날
혼자가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었어
손을 내밀어야 할 때
내가 남겨둔 과거의 조각
그녀가 온다
그곳에 가야 하는 이유
장작이 다 타들어가도록 우리는
함께 살아갈 첫 번째 날
여행이 끝나면 삶은 시작된다
우리만의 작은 우주
2_ 서울, 동거
서로에게 기대어
사랑해서 함께 산다는 것
우린 서로 달라서
불완전한 우리가
작지만 끈질기게 지키고 싶은 것들
기다리는 시간이 익숙해질 때
숨소리를 듣는다는 것
스며들다
세상이 좀 더 아름다워졌다
작은 방의 손님들
우연이 맺어준 인연
체코에서 온 여행자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하는 것
다음에 우리가 다시 만날 때
그냥 같이 살아가자
좋은 일은 천천히 다가온다
3_ 베를린, 새로운 시작
루저들의 살롱
우리는 그 속도만큼 행복했을까
새로운 언어와 새로운 나
우리라서, 우리뿐이라서
그리워지는 것
틀려도 괜찮아
별을 보면 생각나는 사람
나도 당신과 같은 사람이에요
어떤 모습을 믿었을까
함께 사는 즐거움
이방인의 삶이란
두 발을 땅에 딛고 있어야 할 이유
작가의 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