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이야기 또는 고사성어. 1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상처 이야기 또는 고사성어. 1

로즈
2025-04-15 09:12 3 0

본문




상처 이야기
9788925861111.jpg


도서명 : 상처 이야기
저자/출판사 : 니시오 이신, 학산문화사
쪽수 : 485쪽
출판일 : 2017-08-10
ISBN : 9788925861111
정가 : 12000

제0화 코요미 뱀프




고사성어. 1
9791160451634.jpg


도서명 : 고사성어. 1
저자/출판사 : 안병준, 연필의힘
쪽수 : 454쪽
출판일 : 2017-05-24
ISBN : 9791160451634
정가 : 15000

『고 사 성 어 Ⅰ』
가 (7)
나 (101)
다 (125)
마 (159)
바 (205)
사 (249)
아 (321)

『고 사 성 어 Ⅱ』
자 (425)
차 (477)
카~타 (515)
파 (529)
하 (545)

『사 자 성 어』
가 (580)
나 (605)
다 (611)
마 (621)
바 (632)
사 (644)
아 (661)
자 (689)
차 (702)
타 (713)
파 (716)
하 (720)

『인물로 보는 고사성어』
[상고(上古) 시대]
달기(?己)와 주왕(紂王)의 주지육림(酒池肉林)
주문왕(周文王)을 낚은 강태공(姜太公)
마음을 비워 성인(聖人)이 된 주공(周公)
주유왕(周幽王)과 포사(褒?)

[춘추시대]
관중과 포숙아의 관포지교(管鮑之交)
송양공(宋襄公)의 헛된 망상
진문공(晋文公)과 개자추(介子推)
천하호걸 초장왕(楚莊王)
정(鄭)나라의 명재상 자산(子産)
작은 고추 안영(晏?)
부차(夫差)와 구천(勾踐)의 와신상담(臥薪嘗膽)
손무(孫武)의 손자병법
복수의 화신 오자서(伍子胥)
범려(范?)의 지혜로운 처신
찡그리는 모습도 매력적인 서시(西施)

[전국시대]
오기(吳起)의 연저지인(?疽之仁)
손빈(孫?)과 방연(龐涓)의 지혜 대결
제가 만든 덫에 걸려 죽은 상앙(商?)
6국의 재상을 맡은 소진(蘇秦)
혓바닥만 무사하면 되는 장의(張儀)
전국시대(戰國時代) 최고의 명장 백기(白起)
맹상군(孟嘗君)과 풍환(馮驩)
평원군(平原君)의 이령지혼(利令智昏)
의기 높은 신릉군(信陵君)
물러날 때를 알아 성공을 지킨 범수(范?)
전단(田單)의 기상천외(奇想天外)한 화우지계
대장부 염파(廉頗)의 부형청죄(負荊請罪)
인상여(藺相如)의 높은 기개
모수(毛遂)의 낭중지추(囊中之錐)
어부지리로 연(燕)나라를 구한 소대
조(趙)나라 명장 마복군(馬服君) 조사(趙奢)
장사꾼에서 승상이 된 여불위(呂不韋)
의인(義人) 형가(荊軻)
이사(李斯)의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조고(趙高)의 지록위마(指鹿爲馬)

[초한시대]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항우(項羽)
건달에서 황제가 된 유방(劉邦)
장량(張良)의 운주유악(運籌?幄)
주인을 잘못 만난 책사(策士) 범증(范增)
국사무쌍(國士無雙) 한신(韓信)
타고난 살림꾼 소하(蕭何)
전세를 역전시킨 진평(陳平)의 반간계(反間計)
두주불사(斗酒不辭)의 번쾌(樊?)
괴통(?通)의 달변(達辯)
계포(季布)의 한 번 약속은 천금
진(秦)제국 멸망의 도화선 진승(陳勝)
광야군 역이기(?食其)

[한(漢)의 통일 이후]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
맞수 공명(孔明)과 중달(仲達)의 지모 대결
충의의 화신 관운장(關雲長)
짚신 장수에서 황제가 된 유비(劉備)
간웅(奸雄) 조조(曹操)의 임기응변
적벽대전(赤壁大戰)의 주역 주유(周瑜)
재주가 너무 뛰어나서 죽임을 당한 양수(楊修)
중국 역사상 최고의 황제 이세민(李世民)
적인걸(狄仁傑)의 망운지정(望雲之情)
당현종(唐玄宗)과 양귀비(楊貴妃)
시선(詩仙) 이태백(李太白)
시성(詩聖) 두보(杜甫)
치졸한 간신 이임보(李林甫)
한족(漢族)의 자존심 악비(岳飛)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