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 도장 또는 열사, 분노와 슬픔의 정치학
로즈
2025-04-15 09:12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꽃잎 도장

도서명 : 꽃잎 도장
저자/출판사 : 김정화, 국보
쪽수 : 145쪽
출판일 : 2017-05-24
ISBN : 9791186487761
정가 : 10000
1부 파도의 전설
밀양 장날
서리꽃
저녁연기
은행나무
흔적
도라지 흰 꽃
칠월의 밀양강
고가의 봄
환상 속에 피어난 그리운 목화 꽃
낙엽은
애상
엄마의 등
나목
그리운 모국어
당신이 있어 참 좋습니다
박꽃 같은 그리움
파도의 전설
노을
제2부 구절초 이야기
여행길
저 파도처럼, 우리
구절초 이야기
겨울나무 곁에
다시 사랑의 길 걷고 싶다
꽃잎 도장
깃털처럼 가벼워지리라
히말라야
아침
달빛 바다
그대를 그리며
눈에도 두고 떠난 사랑이 있어
눈썹연필
봄비
박새
달밤에
자화상
메시지
제3부 바람꽃
달개비 꽃
가을밤 서정
나비
아침 강
가을에
공감
그믐달
어느 여름날의 풍경
안개
일출
겨울비
바람꽃
달밤
찔레꽃 질 무렵
산동백꽃
밤비
홍매화
제4부 까치바늘
까치바늘
물수제비
자비심을 내리소서
소나기
業 1
業 2
충혼의 불꽃
깊어가는 가을엔 메타세콰이어 숲길을 걷고 싶다
부활의 아침
법어, 풍경을 울리다
산사에 들다
영호루엔 바람 휘감겨 들고
아가페상의 독백
새해 새날 아침의 기도
월영정의 낮달
소리
슬픈 미소
작품해설_ 자연의 언어로 그린 풍경화 _ 채수영
열사, 분노와 슬픔의 정치학

도서명 : 열사, 분노와 슬픔의 정치학
저자/출판사 : 임미리, 오월의봄
쪽수 : 396쪽
출판일 : 2017-06-22
ISBN : 9791187373209
정가 : 22000
서문: 어느 신문팔이 소년의 죽음 · 9
1부 저항적 자살과 열사 · 15
1. 문제 제기 · 17
2. ‘저항적 자살’의 개념 · 22
3. 연구 대상으로서의 ‘열사’ · 26
2부 열사의 특성과 유형 분류 · 31
1. 열사의 특성과 추이 · 33
1) 직업별 분포와 추이 · 36
2) 연령별 분포와 추이 · 38
3) 학력별 분포와 추이 · 40
4) 출생 지역·자살 지역별 분포와 추이 · 41
5) 자살 장소·자살 방법별 분포와 추이 · 44
2. 열사의 유형 분류 · 48
1) 자살 유형의 범주화 · 50
2) 당위형 자살 · 57
단계별 분석 내용 · 57 | 당위형 자살의 특징 · 62
3) 실존형 자살 · 67
단계별 분석 내용 · 67 | 실존형 자살의 특징 · 73
3. 열사의 유형별 특성과 추이 · 77
1) 정권별 자살 유형·직업 간 관계 · 80
2) 자살 유형별 직업 분포와 추이 · 83
3) 자살 유형별 연령 분포와 추이 · 83
4) 자살 유형별 출생 지역·자살 지역 분포와 추이 · 85
5) 자살 유형별 자살 장소·자살 방법 분포와 추이 · 88
3부 5·18 광주항쟁과 열사의 기원 · 91
1. 당위형 열사 · 98
1) 반독재민주화운동과 열사의 ‘기원’: 1980~1985년 · 98
2) 반미운동과 열사 계승: 1986~1987년 · 107
2. 실존형 열사 · 116
1) 전태일 추모와 노동열사의 탄생: 1984년 · 116
2) 변혁운동의 영향과 부문운동별 열사 출현: 1986~1987년 · 119
4부 1987년 민주화와 열사의 의례화 · 129
1. 당위형 열사 · 135
1) 죽음을 통한 실천과 통일운동: 1988~1989년 · 135
2) 전교조 결성 이후 고등학생 분신: 1990년 · 143
3) 실패한 죽음과 열사 계승의 조직화: 1991년 5월투쟁 · 147
4) 학생운동의 약화와 마지막 학생열사: 1993~1997년 · 158
2. 실존형 열사 · 165
1) 민주노조 탄압과 노동열사의 급증: 1988~1992년 · 165
노동자 · 170 | 도시빈민 · 199
2) 제도·이데올로기적 노동 통제와 대기업노조 탄압: 1993~1997년 · 205
노동자 · 206 | 도시빈민 · 218
5부 여야 정권 교체 및 경제위기와 열사의 해체 · 223
1. 당위형 열사 · 228
1) 열사의 직업 변화와 ‘정권 타도’ 구호의 소멸: 1998~2007년 · 228
2) 권위주의로의 회귀와 ‘정권 타도’ 구호의 재등장: 2008~2012년 · 233
2. 실존형 열사 · 238
1) 경제위기 속 자살의 증가와 열사의 감소: 1998~2002년 · 238
노동자 · 239 | 도시빈민 · 245
2) 고용불안과 노동열사의 증가: 2003~2007년 · 248
노동자 · 249 | 농민 · 270 | 도시빈민 · 272
3) 노동시장의 분절과 고립된 죽음: 2008~2012년 · 273
6부 열사의 호명구조 · 283
1. ‘전선운동’과 열사 호명의 포섭·배제 · 286
1) 전선운동과 열사의례 · 286
2) 민중 부문의 동원과 열사 호명의 차별 · 292
2. 학생운동의 변화와 ‘노동자’열사 · 300
1) 건대항쟁 전후 자살메시지의 변화 · 300
2) 전선운동의 동력, 학생운동의 쇠퇴 · 305
3) ‘노동자’열사와 사회적 존재 실현 · 313
3. 노동운동과 ‘정치적인 것’ · 318
1) 노동열사의 증가와 대안전선의 형성 실패 · 318
2) 자살메시지의 변화와 정치투쟁·경제투쟁 · 322
4. 열사 해체의 내적 원인 · 329
1) 당위형 열사와 집합적 정체성 형성의 실패 · 329
2) 노동자 자살의 고립화와 호명 대상의 해체 · 333
7부 적대에서 공감으로, 전선에서 연대로 · 341
부록
〈표 1〉 열사의 역사적 추이(1980~2012년 자살자) · 354
〈표 2〉 열사의 역사적 추이(1980~2012년 타살자) · 362
참고문헌 · 365
미주 · 37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