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또는 역사자료로 본 삼국과 한강
땅끝
2025-04-24 13:2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도서명 : 청진기가 사라진 이후
저자/출판사 : 에릭 토폴, 청년의사
쪽수 : 528쪽
출판일 : 2015-09-14
ISBN : 9788991232631
정가 : 30000
추천의 글들 /7
제1부 무르익은 혁명
제1장 뒤집어진 의료 /17
제2장 명성중심의학 /37
제3장 중대한 변화의 선례 /71
제4장 안젤리나 졸리, 나의 선택 /101
제2부 새로운 데이터와 정보
제5장 나의 GIS/ 139
제6장 나의 임상검사와 스캔검사 /179
제7장 나의 의무기록과 의약품 /209
제8장 나의 비용 /233
제9장 나의 (스마트폰) 의사 /263
제3부 충격
제10장 대형 건물 콤플렉스 /299
제11장 열려라 참깨 /317
제12장 보안이냐 치유냐 /355
제13장 질병의 예측과 예방 /387
제14장 세상의 장벽 낮추기 /417
제15장 해방된 소비자 /443
감사의 말 /468
참고 문헌 /471
역사자료로 본 삼국과 한강

도서명 : 역사자료로 본 삼국과 한강
저자/출판사 : 황보경, 주류성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6-06-29
ISBN : 9788962462807
정가 : 20000
들어가며 / 6
1부 | 한강을 둘러싼 삼국의 주요 전투
1장 603년 북한산성 전투의 전개와 의의 / 17
Ⅰ. 머리말 / 17
Ⅱ. 603년 이전의 정세 / 20
Ⅲ. 북한산성 전투 양상과 의의 / 32
Ⅳ. 맺음말 / 51
2장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 의의 / 57
Ⅰ. 머리말 / 57
Ⅱ. 당항성 전투 이전 삼국의 정세 / 61
Ⅲ. 당항성의 지정학적 중요성 / 73
Ⅳ. 당항성 전투의 양상과 의의 / 87
Ⅴ. 맺음말 / 97
2부 | 한강 유역에 남겨진 삼국의 유적과 유물
1장 삼국시대 한강 유역 보루유적의 현황과 성격 / 107
Ⅰ. 머리말 / 107
Ⅱ. 유적 현황 / 109
Ⅲ. 유적의 성격 / 127
Ⅳ. 맺음말 / 138
2장 한강 유역 고대 우물의 유형과 축조시기 / 151
Ⅰ. 머리말 / 151
Ⅱ. 우물의 유형과 구조 / 158
Ⅲ. 출토유물 분석 / 178
Ⅳ. 축조시기 및 성격 / 197
Ⅴ. 맺음말 / 208
3장 한강 유역 출토 신라 수막새의 문양별 분류와 특징 / 215
Ⅰ. 머리말 / 215
Ⅱ. 수막새 출토 현황 / 218
Ⅲ. 수막새의 문양과 속성 / 225
Ⅳ. 수막새의 문양별 특징 및 성격 / 246
Ⅴ. 맺음말 / 260
3부 | 고분 출토 석침과 출토유물로 본 매장문화의 단면
1장 신라 고분 출토 석침의 형식별 특징과 사용양상 / 273
Ⅰ. 머리말 / 273
Ⅱ. 석침 출토 현황 / 275
Ⅲ. 형식분류와 특징 / 282
Ⅳ. 석침의 사용 양상과 시기 / 291
Ⅴ. 맺음말 / 302
2장 광주 대쌍령리 고분 출토 ‘南漢山助舍’ 명문 방울의 성격 / 311
Ⅰ. 머리말 / 311
Ⅱ. 대쌍령리 유적의 현황과 방울 / 312
Ⅲ. ‘南漢山助舍’명 방울 명문의 의미 / 326
Ⅳ. 맺음말 / 345
나오며 / 351
수록 논문 출처 / 362
책을 마치며 / 363
찾아보기 / 366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