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국기. 5: 히쇼의 새 또는 함석헌과 간디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십이국기. 5: 히쇼의 새 또는 함석헌과 간디

땅끝
2025-04-24 13:25 6 0

본문




십이국기. 5: 히쇼의 새
9788954637268.jpg


도서명 : 십이국기. 5: 히쇼의 새
저자/출판사 : 오노 후유미, 엘릭시르
쪽수 : 380쪽
출판일 : 2015-08-31
ISBN : 9788954637268
정가 : 14800

십이국 전도

히쇼의 새
낙조의 옥
청조란
풍신




함석헌과 간디
9788975276989.jpg


도서명 : 함석헌과 간디
저자/출판사 : 박홍규, 들녘
쪽수 : 312쪽
출판일 : 2015-05-22
ISBN : 9788975276989
정가 : 14000

저자의 말
프롤로그
왜 함석헌과 간디인가? | 나의 함석헌과 간디 | 비판의 의미 |편집의 묘미인가, 진실의 곡해인가? | 정신분열증, 혹은 또라이?

1장 겨울이 오면 어찌 봄이 멀겠는가?
함석헌과 「서풍」
「서풍」 | 시인 함석헌이 사랑한 시 | 함석헌은 왜 「서풍」을 좋아했을까? | 서풍은 정치 해방의 상징이다 | 함석헌은 어떻게 「서풍」을 알게 되었나? | 「1819년 영국」 | 함석헌이 좋아한 셸리
「서풍」 속으로
「서풍」은 에콜로지 시인가? | 나도 서풍이 그립다

2장 함석헌의 삶, 간디의 삶
간디의 삶
런던의 간디에게 영향을 준 사람들
간디의 사상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 영국의 소로 헨리 솔트 | 동양문화에 심취한 시인 에드윈 아널드 |
여성 지도자 애니 베전트 | 종교 단체 ‘윤리적 종교’ | 시 짓는 사회사상가 카펜터
간디의 스승 톨스토이
톨스토이의 단순한 삶 | 『천국이 네 안에 있다』 | 톨스토이의 종교관ㆍ국가관ㆍ사회관ㆍ과학관 |
톨스토이, 삶의 전환점에 서다 |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인생론』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확립하다 | 톨스토이, 간디를 통해 인도에서 부활하다
남아프리카의 간디에게 영향을 준 사람들
동료애를 강조한 사회사상가 존 러스킨 | 폴락과 칼렌바흐 | 1906년과 1909년 런던과 남아프리카의 간디
함석헌의 삶
함석헌의 학생기 | 함석헌의 교사기 | 함석헌의 사도기 | 함석헌의 투사기
함석헌에게 영향을 준 사상들
함석헌과 디오게네스 | 함석헌과 신채호 | 함석헌, 간디, 톨스토이, 우치무라 | 웰스, 함석헌, 웨브 |함석헌과 무교회 | 함석헌과 퀘이커 | 함석헌의 미국 여행 | 테야르 드 샤르댕

3장 함석헌의 간디 수용
‘한국의 간디’ 함석헌
함석헌은 간디를 언제 어떻게 받아들였나?
일제하 조선의 간디 수용 | 1959년 이전 함석헌의 간디 수용 | 1959년 이후 함석헌의 간디 인식 |
함석헌이 본 한국의 ‘간디의 길’ | 「새 인도와 간디」 | 함석헌이 이해한 인간 간디

4장 함석헌과 간디의 역사 인식
역사를 어떻게 볼까?
함석헌과 간디의 역사관 비교
함석헌과 간디의 역사관 | 간디와 함석헌의 자국사관 | 간디와 함석헌의 동서양관 |간디와 함석헌의 동양관
함석헌과 우치무라
우치무라는 누구인가? | 우치무라의 역사관 | 우치무라와 함석헌
함석헌과 후지이
후지이의 역사관 | 함석헌과 후지이 | 함석헌과 일본 | 함석헌의 미국 사랑
함석헌의 섭리사관
고난의 역사 | 만주를 되찾아야 고난이 끝난다? | ‘삐뚤어진 역사’ | 함석헌의 섭리사관 |섭리사관이 아니라는 주장의 검토
함석헌은 한국사를 어떻게 해석했나?
만주를 중심으로 한 만주사관 | 종교에 대한 함석헌의 섭리적 해석 |일제강점기 이후에 대한 견해의 변화 | 3ㆍ1운동에 대한 견해

5장 『바가바드기타』로 본 함석헌과 간디의 종교관
왜 『바가바드기타』인가?
간디와 함석헌은 『바가바드기타』를 어떻게 해석했나?
해석 방법의 비교 | 기본적 이해의 비교 | 간디가 본 『바가바드기타』의 본질 |함석헌이 본 『바가바드기타』의 본질
『바가바드기타』 1~3장 해석
『바가바드기타』 1장에 대한 해석 | 『바가바드기타』 2장에 대한 해석 | 『바가바드기타』 3장에 대한 해석
『바가바드기타』 4~16장 해석
『바가바드기타』 4장에 대한 해석 | 『바가바드기타』 5~11장에 대한 해석 |『바가바드기타』 12~16장에 대한 해석
함석헌과 간디의 종교다원론 비교

6장 함석헌과 간디 사상의 비교
민중에 대한 생각
민중이 무엇인가? | 함석헌의 씨알사상
문명 비판
국가주의 비판
자본주의 비판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하여
자치사상
사회주의를 바라보는 시각
비폭력주의적 정치행동
교육사상

에필로그
함석헌과 간디 | 지금 우리에게 함석헌과 간디는 왜 문제인가?
간디 연보 | 함석헌 연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