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11 또는 유식과 의식의 전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박정희. 11 또는 유식과 의식의 전환

땅끝
2025-04-24 13:25 5 0

본문




박정희. 11
9791185701240.jpg


도서명 : 박정희. 11
저자/출판사 : 조갑제, 조갑제닷컴
쪽수 : 316쪽
출판일 : 2015-07-01
ISBN : 9791185701240
정가 : 12000

머리글│부끄럼 타는 한 소박한 초인超人의 생애

제37장 석유石油위기와 중동中東 진출
제38장 마탄魔彈의 사수射手
제39장 아내 잃고 시인詩人이 된 대통령
제40장 3면面의 적敵
제41장 월남越南 패망과 긴급조치 9호 시대 개막
제42장 핵核개발 좌절




유식과 의식의 전환
9788998742478.jpg


도서명 : 유식과 의식의 전환
저자/출판사 : 정륜, 민족사
쪽수 : 368쪽
출판일 : 2015-04-30
ISBN : 9788998742478
정가 : 22000

서문
약호표와 텍스트

서 론
1. 왜 유가행 유식 사상의 의식(manovij??na, 意識) 분석인가
2. 문제의식과 연구 방법

1부. 유식(唯識, vij?aptim?tra)과 유식성(唯識性, vij?aptim?trat?)
[개요]
Ⅰ. 존재(prat?tyasamutpannadharma, 緣生法)와 존재 방식(prat?tyasamutpada, 緣起)
Ⅱ. 유식(vij?aptim?tra, 唯識)
1. 연생법(prat?tyasamutpannadharma, 緣生法)
1) 의타기성(依他起性)으로서의 유식(唯識)
2) 식(vij?apti, 識)의 정의
2. 비존재인 실체(artha)
1) 실체(artha)의 정의
2)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
Ⅲ. 유식성(vij?aptim?trat?, 唯識性)
1. 원성실성(圓成實性)인 유식성(唯識性)의 정의
2. 연생법(緣生法)의 공상(共相)인 유식성
1) 유식과 유식성의 관계
2) 유식과 삼성(三性)
3. 1부 정리

2부. 의식의 자기 변환과 다양한 정신 상태
[개요]
Ⅰ. 실체적 사유[遍計所執性]
1. 세간의 의식(意識)
1) 의식의 다양한 상태들과 존재론적 위치
2) 의식의 기능들
2. 의식의 실체적 사유과정
1) 지각 작용(sa?j??, 想)과 尋伺
2) 일체법과 언어의 관계

Ⅱ. 비실체적 사유로의 전환과정(止觀修行의 정신 상태)
1. 문훈습종자(?rutav?san?b?ja, 聞熏習種子)
2. 지관 수행에서의 의언(意言)과 관찰 심사(尋伺)

Ⅲ. 전의(轉依)와 보살의 정신 상태[淸淨世間後得智]
1. 유식성과 전의(??rayapar?v?tti, 轉依)의 구조
1) 소의(??raya, 所依)와 근경식의 구조
2) 번뇌로서의 몸(五根)
(1)번뇌로서의 色
(2) 아타나식(?d?navij??na, 阿陀那識)의 기능: 몸과 아뢰야식의 관계
(3) 근(根)의 변이(變異) 상태
(4) 신근(身根)과 의식(意識)
(5) 감각을 가지고 生起하는 종자(saveditotp?dab?ja): 內處의 종자
(6) 추중(dau??hulya, ?重)종자로서의 근(根)
(7) 추중번뇌와 융해
2. 탈인격인 보살의 후득지
1) 후득지와 심사(尋伺)
2) 지혜의 외화(外化)인 동감(悲)
3. 2부 정리

맺는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