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 지은 경복궁 또는 재밌어서 밤새읽는 소립자 이야기
땅끝
2025-04-24 13:2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예로 지은 경복궁

도서명 : 예로 지은 경복궁
저자/출판사 : 임석재, 인물과사상사
쪽수 : 888쪽
출판일 : 2015-05-29
ISBN : 9788959063451
정가 : 50000
서문 경복궁에 존재하는 ‘플러스알파’를 찾아서 5
제1부 경복궁의 역사
제1장 한양, 경복궁, 풍수지리
태조와 한양 천도 28 | 고려 때 도읍 후보지, 남경 31 | 한양은 명당 중의 명당 34 | 정도전이 경복궁을 짓다 37
제2장 북악산 대 인왕산-풍수지리논쟁
북악산 대 인왕산-풍수지리의 의미 41 | 풍수지리로 보는 북악산과 인왕산 43 | 한국 문학과 한국화에 등장하는 북악산과 인왕산 46 | 경복궁과 함께 본 북악산과 인왕산 52 | 진산으로 인왕산보다 북악산이 적합한 이유 61 | 진산 논쟁에 대한 해석 63 | 좌묘우사-종묘와 사직의 건설 68 | 문묘와 성곽의 건설과 한성부 5부의 제정 72
제3장 의외로 외로웠던 경복궁
왕들이 꺼렸던 경복궁 77 | 경복궁 약사 (1)-창건에서 세종까지 79 | 경복궁 약사 (2)-힘들었던 비운의 역사 83 | 왕자의 난과 태종의 경복궁 기피 88 | 엄격한 구성과 심리적 부담감 92 | “산이 가두고 물이 말라”-산과 물의 문제 96
제2부 『주례』와 오문삼조 : 경복궁의 배치 원리 (1)
제1장 오문삼조의 다양한 의미
『주례』의 궁궐 지침 107 |『주례』의 참뜻-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의 조화 110 | 삼문삼조와 ‘3’의 미학 112 | 오문의 기본 구성 115 | 오문의 건축적 의미 (1)-축 구성 119 | 오문의 건축적 의미 (2)-동심원 구성과 어울림의 미학 123 | 오문의 미학적 의미-‘5의 미학’ 126 | ‘오문’의 두 가지 범위-궁성과 황성 128 | 오문 구성의 두 가지 종류 131 | 오문삼조의 모호함과 중국 궁궐 135
제2장 『주례』와 경복궁의 오문삼조
『주례』와 경복궁의 탄생-경복궁의 다섯 가지 정의 140 | 경복궁의 세 단계 143 | 경복궁의 네 가지 도판 145 | 경복궁의 오문삼조 (1)-창건 당시 안 152 | 경복궁의 오문삼조 (2)-임진왜란 이전 안 157
제3장 삼문과 오문 사이-경복궁의 교묘한 문 체제
경복궁과 오문삼조의 해석 문제 165 | 경복궁의 교묘한 문 구성-자존심과 사대 사이 169 | ‘왕궁 오문, 제후삼문’-삼문과 오문 사이 172 | 국가의 자존심, 제후의 도리, ‘예 정신’ 176
제4장 『주례』와 중국 궁궐
『주례』와 동아시아 궁궐 180 |『주례』와 중국 궁궐의 역사 182 |『주례』와 자금성 188 |『주례』의 오문삼조가 잘 안 지켜진 이유 195
제3부 축과 동심원 : 경복궁의 배치 원리 (2)
제1장 경복궁의 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
『주례』와 궁궐 건축의 두 유형-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 202 | 축과 동심원의 조화는 법치와 예치의 조화 205 | 경복궁과 축과 동심원의 조화-‘창건 당시 안’ 207 | 세 개의 초점-‘임진왜란 이전 안’과 강화된 동심원 구성 214
제2장 경복궁의 풍부한 동심원 구도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1)-공간을 뛰어넘은 다차원적 ‘관계 맺기’ 222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2)-세 초점과 네 겹 동심의 의미 226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3)-다중 동심원 231 | 경복궁의 동심원 구도 (4)-원심력을 지향하다 233 | 자금성과의 비교-경복궁의 동심원 구도를 확인하다 237 | 경복궁의 주체성과 예치 이상 240 | 고려 궁궐과의 비교 (1)-고려 궁궐의 배치 구성 243 | 고려 궁궐과의 비교 (2)-경복궁의 조화의 미학을 한 번 더 확인하다 248
제3장 축의 미학 (1)-맹자의 ‘충실함’, 호연지기, 대미
반듯하고 번듯한 경복궁-축의 미학 255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1)-충실함과 호연지기 257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2)-대미 260 | 축 질서와 맹자의 미학 (3)-제왕론 262 | 맹자의 미학, 경복궁, 조선 건국 264
제4장 축의 미학 (2)-사순언문
사순언문-반듯한 사리와 전거 있는 표현 272 | 사순언문과 경복궁의 축 구성 275 | 사순과 언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세 가지 경우 284 | 사순과 언문의 상호작용과 경복궁 286 | 사순언문의 확장-기, 예, 덕, 예술 형식
292 | ‘기-예-덕’이 하나 된 예술 작품으로서의 경복궁 295
제5장 축의 미학 (3)-‘하늘은 쉽고 땅은 간단하다’
하늘은 쉽고 땅은 간단하다-인의와 천지의 공통 원리 302 | 음양의 상호 교합-경복궁 축 구성의 궁극적 목적 306
제6장 동심원의 미학 (1)-동심원과 동아시아 문화
『삼재도회』와 『한국삼재도회』의 동심원 예들 313 |『삼례도』- <율려상생지도> 와 <정전도> 318 | 기타 여러 예들과 동심원 구도의 의미 324
제7장 동심원의 미학 (2)-‘중’과 궁궐
‘中’=가운데 막대기+둥그런 원형 332 | 천하의 중심으로서의 궁궐 333 | 중국 궁궐의 예 (1)-‘중’ 개념의 형성과 발전 337 | 중국 궁궐의 예 (2)- ‘중’ 개념의 완성 340
제8장 동심원의 미학 (3)-한양과 경복궁의 ‘중’ 개념
한양과 경복궁의 예 (1)-풍수지리의 중심 346 | 한양과 경복궁의 예 (2)-자연의 권위를 빌린 중심 349 | 한양 내에서 경복궁의 동심원, 안팎으로 아홉 겹을 이루다 354 | 한양을 밖으로 둘러싸는 다섯 겹의 동심원 358 | 경기제-정치·경제의 중심이 만들어내는 동심원 361
제9장 동심원의 미학 (4)-경복궁의 14겹 동심원
중앙 집중 구도-왕권과 방위 문제 369 | 수도 집중의 문제 372 | 자연 동심원과 인공 동심원의 조화 374 | 자연이 점지한 궁궐, 경복궁 376
제4부 조화의 미학 : 경복궁의 배치 원리 (3)
제1장 화, 인, 예
‘화’의 세 가지 의미-이상과 현실의 양면성 386 | ‘화’와 공자의 ‘인’-이상을 공유하다 389 | ‘화’와 ‘예’ (1)-공자의 등급 법과 현실 전략 392 | ‘화’와 ‘예’ (2)-묵자의 겸애사상과 평등 이상 395 | ‘화’의 진정한 완성=이상과 현실의 통합 399 | 경복궁과 조화의 미학 (1)-‘화’의 이상과 현실을 표현하다 401 | 경복궁과 조화의 미학 (2)-이상과 현실을 합해서 완전한 ‘화’에 이르다 404
제2장 중화, 중용, 예
중화 미 (1)-딱 들어맞아서 어울리는 상태 408 | 중화 미 (2)-중용과 ‘예’ 411 | 경복궁과 중화 미의 구현 414
제3장 강유상제와 청탁상제
강유상제 (1)-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구제하다 420 | 강유상제 (2)-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이기다 423 | 강유상제 (3)-경복궁에 구현된 내용 426 | 청탁상제 (1)-궁음에 담긴 화합과 벼리의 뜻 437 | 청탁상제 (2)-궁음의 뜻과 경복궁의 모범 439 | 청탁상제 (3)-한계를 지키며 상호 교합한다 443 | 청탁상제 (4)-상탁과 청음근애 446 | 청탁상제 (5)-경복궁에 구현된 내용 449
제4장 축 구성과 동심원 구성을 공유하는 다양한 문헌들
『예기』의 <왕궁오문> 과 『서경』의 <요제오복도> 455 | 『삼례도』와 『예경궁실답문』-오문삼조, 축 구성, 동심원 구성 459 | 『삼재도회』와 『한국삼재도회』-『주례』의 충실한 계승자 464 | 『주례』와 예 정신-경복궁에 담긴 참뜻 469
제5부 『주례』, 성리학, 경복궁
제1장 『주례』와 조선 건국
『주례』, 조선 건국, 성리학 477 | 『주례』는 어떤 책일까? 479 | 『주례』와 이상국가-‘주’와 ‘예’의 이상성 483 | 『주례』와 성리학 488 | 신진사대부와 『주례』-『주관육익』의 편찬 491 | 『주례』와 『조선경국전』-왕도정치의 이상 494
제2장 신진사대부와 성리학
한국 유교의 흐름 502 | 고려 말의 한계 상황과 성리학의 수용 505 | 성리학으로 무장한 신진사대부 509 | 고려 성리학-고려 개혁 대 조선 건국 512 | 송나라 성리학의 성립 514 | 성리학이란 어떤 유교인가? 517
제3장 성리학과 이상국가-왕, 신하, 백성의 성스러움
성리학과 경복궁 (1)-배치 규범과 ‘경’의 가치 522 | 성리학과 경복궁 (2)-도덕 교과서로서의 경복궁 524 | 정도전과 성스러운 이상국가 (1)-왕과 신하의 성스러움 527 | 정도전과 성스러운 이상국가 (2)-경복궁과 백성의 성스러움 531
제4장 경복궁과 세 가지 성스러움
왕의 성스러움과 ‘경복’ 536 | 신하의 성스러움과 ‘평’의 미학 538 | 백성의 성스러움 (1)-애민사상과 검소함의 미학 541 | 백성의 성스러움 (2)-규모의 미학 545 | 백성의 성스러움 (3)-조율의 미학 551 | 성리학적 이상의 좌절 (1)-왕자의 난과 왕도정치의 종말 553 | 성리학적 이상의 좌절 (2)-경복궁 기피 현상 556
제5장 『조선경국전』과 경복궁
왕과 신하의 성스러움 560 | 백성의 성스러움 563 | 성스러움을 매개로 한 ‘왕-신하-백성’의 육적 통합 570 | 애끓는 애민사상과 민본국가 574
제6부 법치, 예치, 경복궁
제1장 법치와 예치 (1)-『주례』의 예
‘예’의 세 가지 이상성 585 | ‘예’를 매개로 한 『주례』와 성리학의 연관 587 | ‘예’의 양면성-법치와 예치 592 | 『주례』와 법치-순자와 관중을 종합하다 595 | 『주례』와 예치 (1)-등급 법과 법 집행에 끼치는 영향 597 | 『주례』와 예치 (2)-교화 작용과 오례의 실천 수칙 600
제2장 법치와 예치 (2)-순자의 예
순자의 법치 사상-‘법’의 세 가지 의미 604 | 순자의 예치 사상 (1)-인위성과 화성기위론 606 | 순자의 예치 사상 (2)-분업으로서 계급 608 | 순자의 예치 사상 (3)-‘선’의 이상과 성왕정치 610
제3장 경복궁에 나타난 등급 법과 법치 정신
전각에 나타난 등급 법 615 | 은유적인 전각의 이름-겸손함의 미학을 견지하다 618 | 문에 나타난 등급 법 620 | 품계석과 어도에 나타난 등급 법 623 | 경복궁에 담긴 등급 법의 여섯 가지 의미 627
제4장 『조선경국전』에 나타난 법치와 예치
‘예’로 세운 나라, 조선-정도전과 예치 633 | 『조선경국전』에 나타난 예치의 내용 637
제7부 세종과 경복궁
제1장 순자의 예치 정신과 경복궁
순자의 ‘예 이상’ (1)-법은 예법이다 647 | 순자의 ‘예 이상’ (2)-법치는 예치를 돕는 수단이다 650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1)-인위성과 검소함의 미학 653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2)-등급 법, 예별이, 형식미 655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3)-분업론과 나누기의 미학 658 | 순자의 예 이상과 ‘평’의 미학 659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4)-‘평’의 미학 662 | 경복궁과 순자의 예치 사상 (5)-이상성과 어울림의 미학 664
제2장 순자의 후왕론과 세종-‘지금 이 시점에서 열심히 노력하는 자’
순자의 후왕론 671 | 후왕론과 조선의 왕계 674 | 후왕론과 세종 678 | 천인론+후왕론=하늘을 대신해서 ‘인’과 ‘덕’으로 다스리다 681 | 민본주의=애민사상+예치 685
제3장 ‘평’의 미학-융평, 풍평, 예치
융평, 풍평, 예치 692 | ‘평’ 정신과 평등사상-법은 만인 앞에 평등하다 697 | 형평주의와 신형주의-‘평’의 미학의 구체적 실천 정책 701
제4장 세종의 경복궁 중건-‘평’의 미학을 구현하다
후왕론과 경복궁 707 | 세종과 경복궁 중건-“삼대를 지나서는 안 된다” 708 | 경복궁 중건에 나타난 ‘평’의 미학 711 | 다중 동심원-인정을 구현하고 ‘예’의 미학을 강화하다 715 | 인정을 통해 검소함의 미학과 ‘화’의 미학을 구현하다 717 | 문의 미학-군덕을 행하다 720 | 왕계, 백성, 합리주의-애민사상을 구현하다 724 | 덕과 화락을 실어 예치를 완성하다 727
제8부 중심 삼조의 건축 미학
제1장 광화문과 흥례문-‘예’로 시작하다
광화문 (1)-왕을 보호하는 품격 있는 갑옷 735 | 광화문 (2)-‘소리 길’의 한가운데에서 바깥세상을 향하다 740 | 광화문과 흥례문-서로에게 읍양의 예를 갖추다 745 | 흥례문-‘예’로 궁궐을 감싸다 751 | 흥례문 외행각과 유화문-문양 구성과 비대칭으로 ‘화락’을 표현하다 754 | 영제교-궁궐과 바깥세상을 이어주던 물길 760
제2장 근정전-위엄 있는 누대
누대의 미학 (1)-높은 산을 대신해 하늘로 오르다 768 | 누대의 미학 (2)-천하의 중심지 771 | 누대의 미학 (3)-상고시대 이상 누대 774 | 근정전, 상고시대 이상 누대를 부활시키다 776 | 상고시대 이상 누대를 부활시켜 성리학의 가르침을 구현하다 781 | 북악산을 닮은 인공 산을 토템기둥이 떠받치다 785
제3장 사정전-검소하지만 역동적인 ‘생각’하는 공간
한국사에서 중요한 역사를 창출하던 현장 793 | 생각하는 공간-검소하지만 역동적이다 796 | 지자요수-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인다 801 | 나누기의 미학과 휘언휘서 806 | 완곡하고 너그럽게 보여 군신 간의 예를 지키다 810
제4장 강녕전-‘변’과 음양오행
왕의 침전, 강녕전 818 | 가장 역동적인 남성 공간 821 | 음양-‘양’을 양답게 해주는 것은 ‘음’이다 827 | ‘변’의 미학-변덕과 변통 829 | ‘변’과 음양이 구현된 건축 처리 831 | 오행-역동적 균형에 의한 순환 작용 838 | 오행 원리를 구현한 건축 처리 843
제5장 교태전-사랑으로 사람을 품는 산
강녕전의 짝, 왕비의 침소 850 | 좌유좌기 참유참양-용마루 없는 지붕 854 | 인자요산-사람을 품는 따뜻한 품 859
도판 목록 865
표 목록 871
참고문헌 873
찾아보기 876 요제오복도> 왕궁오문> 정전도> 율려상생지도>
재밌어서 밤새읽는 소립자 이야기

도서명 : 재밌어서 밤새읽는 소립자 이야기
저자/출판사 : 다케우치 가오루, 더숲
쪽수 : 224쪽
출판일 : 2015-12-21
ISBN : 9788994418964
정가 : 12000
머리말 5
감수의 글 8
재밌어서 밤새 읽는 소립자 이야기
힉스 입자는 ‘입자’가 아니다?! 14
‘소립자 연구’란? 25
전 세계가 함께 만든 초거대 실험 장치 39
물질을 만드는 소립자 - 쿼크와 렙톤 48
힘을 전달하는 소립자 - 글루온, 광자, 위크보손 55
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59
무게를 만들다! 힉스 입자 65
두 천재 물리학자 겔만과 파인만 70
힉스 입자와 초끈이론 이야기
소립자는 블랙홀과 같다? 80
‘양자장’은 용수철로 가득하다? 85
소립자의 세계는 상상불가?! 91
아인슈타인과 피카소의 공통항 97
힉스 입자는 어떻게 포착할까? 114
소립자는 언제나 불확정 118
소립자론의 구세주, 파인만 124
초끈이론이란? 133
초끈이론의 주역은 D-브레인 145
구체적 물질에서 추상적 개념으로 154
시공과 우주 창조 이야기
소립자와 우주 탄생 이야기 164
우리 주변에 ‘반물질’이 없는 이유 170
소립자보다도 작은 소립자?! 175
우주가 한두 개가 아니다? 181
우주론의 현재 188
시간과 공간은 사실 모호하다? 194
시공간은 뽀글뽀글 거품을 낸다 201
소립자의 스핀으로 시공간의 일그러짐을 측정하다 214
맺음말 221
참고자료 22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