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선고 외 또는 카툰 인문학. 2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변신 선고 외 또는 카툰 인문학. 2

땅끝
2025-04-24 13:25 3 0

본문




변신 선고 외
9788932404349.jpg


도서명 : 변신 선고 외
저자/출판사 : 프란츠 카프카, 을유문화사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5-01-15
ISBN : 9788932404349
정가 : 12000

선고
변신
유형지에서
신임 변호사
시골 의사
관람석에서
낡은 책장
법 앞에서
자칼과 아랍인
광산의 방문
이웃 마을
황제의 전갈
가장의 근심
열한 명의 아들
형제 살해
어떤 꿈
학술원 보고
최초의 고뇌
단식술사


해설 ― 합리성 너머의 세계에 대한 탐색
판본 소개
카프카 연보




카툰 인문학. 2
9791159870835.jpg


도서명 : 카툰 인문학. 2
저자/출판사 : 전왕, 북랩
쪽수 : 278쪽
출판일 : 2016-06-27
ISBN : 9791159870835
정가 : 19800

Intro / 4

제1장 문화
제1절 문화와 문화현상을 바라보는 방식 / 16
1. 관념론적 관점
2. 유물론적 관점

제2절 인간의 생존조건과 문화의 차이 / 18
1. 식인풍습의 소멸
2. 중동지역의 금기
3. 인도에서 소를 신성시하는 이유
4. 한국의 보신탕 문화
5. 필리핀의 낙태금지 문화

제3절 문명불평등의 기원 / 23
1. 농업과 목축에 유리한 조건
2. 확산과 이동속도의 차이
3. 문명격차의 발생원인

제4절 서양의 유목문화와 동양의 농경문화 / 26

제5절 고맥락 사회와 저맥락 사회 / 27
1. 고맥락 사회와 저맥락 사회
2. 리처드 니스벳의 실험결과 ①
3. 리처드 니스벳의 실험결과 ②
4.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①
5.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②
6.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③
7.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④
8.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⑤
9.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⑥
10.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⑦
11. 생각의 지도가 다르다 ⑧
12. 문화가 사고방식을 지배한다

제6절 문화상대주의 / 39
1. 문화상대주의 의의
2. 여러 나라의 특수한 문화 ①
3. 여러 나라의 특수한 문화 ②
4. 문화와 윤리
5. 인도의 카스트 제도

제7절 문명과 야만 / 44
1. 자기중심적 사고
2. 과학과 미신, 주술
3. 문명, 기술발전과 문화적 우열

제8절 깨끗함과 더러움 / 47
1. 깨끗함과 더러움은 상대적이다
2. 성스러움과 속됨, 순수와 불순
3. 더러운 것, 불순한 것은 배제되어야 하는가?

제9절 오리엔탈리즘 / 50
1. 오리엔탈리즘의 의의
2. 정치적 도그마로서의 오리엔탈리즘
3. 오리엔탈리즘과 남성우월주의
4. 복제 오리엔탈리즘
5.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
6. 옥시덴탈리즘

제10절 노마디즘 / 56
1. 노마디즘의 의의
2. 디지털 노마드
3. 보보스

제11절 문명의 충돌과 공존 / 63
1. 문명의 충돌
2. 문명 충돌론에 대한 비판
3. 서구의 보편문명론
4. 문명의 공존

제12절 대중문화 / 67
1.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2.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①
3.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②
4. 대중문화 비판론에 대한 반론 ①
5. 대중문화 비판론에 대한 반론 ②
6. 대중문화 비판론에 대한 반론 ③
7. 대중은 더 이상 수동적 존재가 아니다
8. 대중문화의 현주소

제13절 자본주의와 대중문화 / 75
1. 자본주의의 시장확대전략과 대중문화
2. 미디어기술의 발전과 대중문화
3. 첨단기술과 대중문화

제14절 아비투스 / 78
1. 아비투스
2. 취향과 문화적 위계
3. 문화와 계층구분
4. 문화자본

제15절 문화산업 / 82
1. 문화산업
2. 문화산업의 특징
3.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
4. 스타 마케팅
5. 문화의 시대 ①
6. 문화의 시대 ②
7. 문화의 힘
8. 한류
4. 몽골제국이 대제국을 수립할 수 있었던 이유
5. 유목민과 정착민
6. 노마디즘의 현대적 가치
7. 노마디즘을 강조함으로써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

제16절 하이브리드 / 90
1. 문화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2. 융합적 사고능력의 필요성
3. 새로운 문화의 창조

제17절 스포츠 / 93
1. 스포츠의 의의
2. 현대판 신화 ①
3. 현대판 신화 ②
4. 자본주의와 스포츠

제18절 여행 / 97
1. 일상으로부터의 탈출
2. 여행의 중요성
3. 인생을 변화시킨 여행 ①
4. 인생을 변화시킨 여행 ②

제19절 축제 / 101
1. 축제의 의의
2. 축제와 사회통합
3. 축제와 일상
4. 축제와 시
5. 지역 축제

제20절 웃음 / 106
1. 웃음은 대상과의 거리감을 통하여 발생한다
2. 웃음의 사회성
3. 웃음의 기능 ①
4. 웃음의 기능 ②
5. 웃음을 죄악시한 중세 기독교 문화

제21절 이미지 / 111
1. 이미지
2. 이미지와 현실
3. 이미지 관리
4. 모조품 소비
5. 디자인 경쟁

제22절 유행 / 116
1. 유행의 생성·발전
2. 광고가 유행에 미치는 영향
3. 유행의 역기능

제23절 광고 / 119
1. 욕망, 소비와 광고
2. 광고는 시대의 상징·기호
3. 광고의 역기능
4. 광고의 가장 중요한 임무
5. 광고가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6. 입소문(구전) 마케팅
7. TV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8. 과장광고를 믿는 이유
9. 광고와 예술

제24절 문화에 관한 명언 / 128

제2장 예술
제1절 예술에 대한 이해 / 148
1. 예술은 새로움을 추구한다
2. 아이디어도 예술이다
3. 낯설게 하기 ①
4. 낯설게 하기 ②
5. 예술은 현실을 새롭게 창조한다
6. 예술은 필수적 환영이다
7. 예술은 고등사기다
8.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제2절 예술의 형식과 내용 / 156

제3절 예술의 효용성 / 157

제4절 예술과 미의 추구 / 158
1.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변적이다 ①
2.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변적이다 ②
3.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변적이다 ③
4.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변적이다 ④
5. 아름다움의 기준은 가변적이다 ⑤
6. 예술은 아름다움의 주관적 표현이다 ①
7. 예술은 아름다움의 주관적 표현이다 ②
8. 예술은 아름다움의 주관적 표현이다 ③
9. 예술은 아름다움을 통하여 소통하는 것이어야 한다

제5절 예술작품의 감상 / 167

제6절 사실과 해석 / 168
1. 사실이 있기 전에 미리 해석이 존재한다
2. 프레임은 우리의 인지구조를 조작한다
3. 프레임에 갇히는 이유
4. 프레임을 짜는 이유
5. 저자의 죽음 ①
6. 저자의 죽음 ②

제7절 대중예술의 통속성 / 174
1. 대중예술과 B급문화
2. 무거움과 가벼움

제8절 포스트 모더니즘 / 176
1. 포스트 모더니즘의 의의
2.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 ① 뒤샹 「샘」
3.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 ② 앤디 워홀, 존 케이지
4.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 ③ 샤르트르 「구토」
5.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에 대한 비판

제9절 아우라 / 181
1. 아우라의 상실·해체
2. 아우라는 소멸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 태어난다
3. 아우라를 상실한 시대 예술의 역할
4. 대량복제 시대의 삶

제10절 패러디 / 185
1. 패러디는 원본 훼손을 통해서 생명과 에너지를 얻는다
2. 새로운 문화현상으로서의 패러디

제11절 해프닝 / 187
1. 삶이 곧 예술이다
2. 해프닝은 기존 예술의 관습에 저항하는 정신적 모험의 실천이다
3. 삶의 의례성 깨기
4. 순간에서 영원으로

제12절 예술에 관한 명언 / 191

제3장 나이듦에 대하여
제1절 청춘은 아름답지만 빨리 지나간다 / 204
제2절 중년 / 205
제3절 노년 - 성숙의 계절 / 206
제4절 노년의 일반적 성향과 자기관리 / 207
제5절 노년에 대한 편견 / 208
제6절 청춘은 마음가짐에 달려있다 / 209
제7절 노년은 인생의 황금기 / 210
제8절 노년은 인생의 선물 / 211
제9절 인생의 짧음에 대하여 / 212
제10절 인생의 모든 순간은 다 소중하다 / 213
제11절 아름다운 퇴장 / 214
제12절 프리드리히 「인간의 나이」 / 215
제13절 나이듦에 관한 명언 / 216

제4장 죽음
제1절 전통적 죽음 / 228
1. 삶의 일부로서의 가족적이고 친숙한 죽음
2. 무덤은 죽은 자와 산 자의 공존의 공간이었다

제2절 현대적 죽음 / 230
1. 야성적 죽음, 거친 혁명으로서의 죽음
2. 죽음의 격리

제3절 죽음은 생명의 가장 귀중한 선물이다 / 232

제4절 죽음은 삶을 완전하게 한다 / 233
1. 죽음은 삶을 보완해 주고 가치있게 만든다
2. 메멘토 모리, 카르페 디엠

제5절 죽음의 축제적 성격 / 235
1. 죽음을 축제로 여기는 한국적 정서
2. 장례는 단합과 축제·화해의 마당
3. 축제적 성격의 탈피
4. 축제 분위기의 백남준 장례식

제6절 삶과 죽음은 하나 / 239

제7절 죽음은 끝인가? / 240
1. 죽음은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것이다
2. 죽음은 옷을 갈아입는 것과 같다는 견해

제8절 죽은 뒤에 남는 것 / 242
1. 영혼
2. 카르마

제9절 죽음을 대하는 자세 / 244
1. 소크라테스
2. 노자
3. 공자
4. 장자
5. 몽테뉴
6. 톨스토이
7. 영화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미치 앨봄)

제10절 윤회론 / 251
1. 생명의 흐름 - 죽음과 환생의 반복
2. 의식의 진화
3. 죽음과 환생 사이 - 바르도
4. 불경에서 보는 윤회의 비유
5. 사람이 동물로 태어날 수 있는가?
6. 환생의 끝 - 니르바나
7. 플라톤의 영혼불멸사상
8. 니체의 영겁회귀사상

제11절 죽은 후에 무엇으로 태어나는가? / 259
1. 카르마의 법칙
2. 플라톤의 환생사상
3. 기독교의 부활론

제12절 죽기 전에 해야할 일 / 262

제13절 자살 / 263
1. 죽음을 향한 충동 - 타나토스
2. 자살은 때로는 실존적 결단이다
3. 뒤르켐의 「자살론」
4. 자살의 전염성 ①
5. 자살의 전염성 ②
6. 자살을 강요하는 사회
7. 박완서 「옥상의 만들레꽃」 - 자살 방지의 묘안

제14절 절명시 / 270
1. 매천 황현의 절명시
2. 천상병 「귀천」

제15절 죽음에 관한 명언 / 27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