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 또는 리눅스 서버 보안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결국,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 또는 리눅스 서버 보안

땅끝
2025-04-24 13:25 3 0

본문




결국,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
9791157523849.jpg


도서명 : 결국,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
저자/출판사 : 민병철, 넥서스BOOKS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5-06-10
ISBN : 9791157523849
정가 : 13000

들어가며_ 인성이 성공을 부른다

1장│왜 인성인가
1. 왜 인성이 화두인가
2. 인성은 곧 사회이자 문화이다
3. 인성은 가정에서 시작한다

2장│인성은 어떻게 사람들을 성공으로 이끌었나
1. 왜 세계적 대학에서 인성을 중요시할까
2. 좋은 인성은 실력을 이긴다
3. 인성이 경제이다
4. 인성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5. 인성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3장│착한 일은 착한 일을 물고 온다
1. 충격의 그 밤
2. 대학 강의실에서 시작된 인터넷 문화운동
3. 젊음의 진실과 힘
4. 좋은 일은 좋은 일을 물고 온다
5. 당신도 CNN에 출연할 수 있다
6. 대한민국 한복판, 선플의 메아리가 울려 퍼지다
7. 착한 고구마 착한 양파 착한 사람
8. 중국을 움직인 인터넷 문화운동
9. 한 사람의 마음이 움직이면 세상이 달라진다

4장│움직이면 따라온다
1. 손 들기 운동
2. 나이에 얽매이지 말아라
3. 연습은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어학 실력 대신 소통 능력
5. 쓰면 업적, 안 쓰면 아이디어
6. 누가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가
7. 하면 50 하지 않으면 ?50

5장│당신을 성공하게 하는 착한 구루를 찾아라
1. 디딤돌과 걸림돌
2. 커넥터, 커넥터, 커넥터
3. 차이를 인정하면 사이가 좁아진다
4. 습관이 곧 당신이다
5. 글로벌 인재가 되는 법
6. 세계를 만나 영어를 도구로 써라
7. 세 사람이 다니면 그중 한 사람은 선생이다
8. 아무도 만져 보지 못한 내일

6장│결국, 좋은 사람이 성공한다
1. 길게, 멀리 봐야 할 인생 레이스
2. 옳은 방법이 빠른 방법을 이긴다
3. 나는 좋은 사람, 나는 꽤 괜찮은 사람
4. 건강이 바로 능력이다
5. 착하면 성공한다




리눅스 서버 보안
9791158390068.jpg


도서명 : 리눅스 서버 보안
저자/출판사 : 나카지마 요시카, 위키북스
쪽수 : 348쪽
출판일 : 2015-08-27
ISBN : 9791158390068
정가 : 27000

▣ 1장: 정보보안 개요

1.1 정보 보호란
___1.1.1 정보 보호의 3대 요소
___1.1.2 보안과 위험
___1.1.3 정보 보호 정책
___1.1.4 정보 보호/매니지먼트
___1.1.5 정보 보호 관련 법률
1.2 리눅스 서버 보안의 기본 개념
___1.2.1 시스템 설정
___1.2.2 운영체제 레벨 보안
___1.2.3 침입 대비

▣ 2장: 정보보호 기술

2.1 암호
___2.1.1 암호화 기초
___2.1.2 공통 키 암호화 방식
___2.1.3 공개 키 암호화 방식
___2.1.4 디지털 서명
___2.1.5 PKI
___2.1.6 해시 함수
2.2 리눅스 보안 기술
___2.2.1 패스워드 인증
___2.2.2 PAM
___2.2.3 Secure OS
___2.2.4 방화벽
2.3 SSL/TLS
___2.3.1 SSL/TLS 기초
___2.3.2 SSL/TLS 사용 준비
___2.3.3 서버 인증서(자체 서명 인증서) 생성
___2.3.4 인증서 발급 의뢰서 작성

▣ 3장: 보안 공격 종류

3.1 공격 준비
___3.1.1 어드레스 스캔
___3.1.2 포트 스캔
3.2 서버에 대한 공격
___3.2.1 DoS/DDoS 공격
___3.2.2 패스워드 크랙(Password Crack)
___3.2.3 보안 홀을 이용한 공격
___3.2.4 각종 서비스 공격
___3.2.5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3.3. 악성코드(Malware)
___3.3.1 바이러스/웜
___3.3.2 rootkit
___3.3.3 키 로거(Key Logger)

▣ 4장: Secure 서버의 빠른 설정

4.1 CentOS 설치
___4.1.1 설치 시 확인 사항
___4.1.2 설치 후 설정
4.2 빠른 보안 대응
___4.2.1 호스트의 보안
___4.2.2 사용자 보안
___4.2.3 네트워크 보안

▣ 5장: 운영체제 보안

5.1 부트 로더 암호 설정
___5.1.1 부팅 매개변수
___5.1.2 GRUB 패스워드 설정
5.2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___5.2.1 YUM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___5.2.2 YUM 설정
___5.2.3 YUM 기본 조작
___5.2.4 시스템 자동 업데이트
5.3 사용자 계정 관리
___5.3.1 일반 사용자의 로그인 관리
___5.3.2 root 계정 로그인 금지
___5.3.3 su 명령어 사용
___5.3.4 root 권한 사용
___5.3.5 패스워드 관리
5.4 서비스 관리
___5.4.1 불필요한 서비스 중지
___5.4.2 xinetd
5.5 TCP Wrapper
___5.5.1 TCP Wrapper 개요
___5.5.2 TCP Wrapper 기본 설정
5.6 프로세스 모니터링
___5.6.1 ps 명령어를 통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___5.6.2 top 명령어를 통한 프로세스와 시스템 모니터링
5.7 바이러스 대책
___5.7.1 Clam AntiVirus 설치
___5.7.2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___5.7.3 바이러스 스캔

▣ 6장: 파일 시스템 보안

6.1 퍼미션
___6.1.1 소유자와 소유 그룹
___6.1.2 접근 권한
___6.1.3 접근 권한 변경
___6.1.4 SUID, SGID
___6.1.5 Sticky Bit
___6.1.6 기본 접근 권한
6.2 ACL
___6.2.1 ACL 개요
___6.2.2 ACL 설정
6.3 파일과 파일 시스템 암호화
___6.3.1 GnuPG를 이용한 파일 암호화
___6.3.2 파일 시스템의 암호화

▣ 7장: 네트워크 보안

7.1 네트워크 기본 설정
___7.1.1 네트워크 설정 파일
___7.1.2 /etc/hosts
___7.1.4 네트워크 탐지 대책
7.2 방화벽
___7.2.1 패킷 필터링 방법
___7.2.2 체인과 테이블
___7.2.3 iptables 명령
___7.2.4 기본적인 패킷 필터링 설정
___7.2.5 iptables 응용
___7.2.6 ip6tables 명령
___7.2.7 CUI 툴을 이용한 패킷 필터링 설정

▣ 8장: SELinux

8.1 SELinux 개요
___8.1.1 SELinux 기본 개념
___8.1.2 보안 컨텍스트(Security Context)
___8.1.3 동작 모드
___8.1.4 정책
8.2 SELinux 설정
___8.2.1 논리 매개변수 설정
___8.2.2 파일 보안 컨텍스트 변경
___8.2.3 파일 복사와 백업

▣ 9장: 시스템 로그 관리

9.1 시스템 로그 개요
___9.1.1 로그 저장 구조
___9.1.2 syslog 설정
___9.1.3 rsyslog 설정
___9.1.4 로그 서버 설정
___9.1.5 로그 로테이션
9.2 로그 모니터링
___9.2.1 로그 파일 모니터링
___9.2.2 logwatch
___9.2.3 swatch

▣ 10장: 보안 체크와 침입 탐지

10.1 포트 스캔과 패킷 캡처
___10.1.1 nmap
___10.1.2 tcpdump
10.2 Tripwire
___10.2.1 Tripwire 설치
___10.2.2 Tripwire 설정
___10.2.3 Tripwire 운영
10.3 Rootkit Hunter와 fail2ban 사용
___10.3.1 Rootkit Hunter
___10.3.2 fail2ban

▣ 11장: DNS 서버 보안

11.1 DNS 기본
___11.1.1 이름 확인
___11.1.2 DNS 구조
___11.1.3 DNS 서버 용어
___11.1.4 DNS 클라이언트 명령
11.2 BIND 기본 설정
___11.2.1 BIND 설치
___11.2.2 rndc 명령
___11.2.3 BIND 설정 파일
___11.2.4 BIND 로그
11.3 캐시 서버 설정
___11.3.1 named.conf 설정
11.4 존 서버 기본 설정
___11.4.1 named.conf 설정
___11.4.2 존 파일 형식
___11.4.3 영역 전송 제한
11.5 보다 안전한 BIND 설정과 운영
___11.5.1 버전 표시
___11.5.2 TSIG
___11.5.3 DNSSEC

▣ 12장: 웹 서버 보안

12.1 아파치 기본
___12.1.1 웹 서버 구조
___12.1.2 아파치 설치 및 기본
___12.1.3 웹 보안 요점
12.2 아파치의 안전한 설정과 운영
___12.2.1 httpd.conf 기본 설정
___12.2.2 httpd.conf 파일 주요 설정
___12.2.3 외부 설정 파일
___12.2.4 아파치 로그
___12.2.5 httpd.conf 기타 설정
12.3 사용자 인증과 호스트 기반 접근 제어
___12.3.1 기본 인증
___12.3.2 다이제스트 인증
___12.3.3 호스트 기반 접근 제어
12.4 SSL/TLS 설정
___12.4.1 SSL/TLS 설치 및 설정

▣ 13장: 메일 서버 보안

13.1 메일 서버 기초
___13.1.1 메일 서버 구조
___13.1.2 Postfix 설치 및 기본
___13.1.3 Dovecot 설치 및 기본
___13.1.4 메일 서버 보안 요점
13.2 안전한 Postfix 설정
___13.2.1 Postfix 기본 설정
___13.2.2 main.cf 주요 설정
___13.2.3 설정 반영 및 확인
___13.2.4 SMTP 인증
___13.2.5 SSL/TLS 사용
___13.2.6 OP25B 지원
___13.2.7 Postfix 로그
13.3 POP/IMAP
___13.3.1 Dovecot 기본 설정
___13.3.2 POP/IMAP over SSL

▣ 14장: FTP 서버 보안

14.1 FTP 기본
___14.1.1 FTP 프로토콜
___14.1.2 FTP 클라이언트 lftp
14.2 vsftpd 설정
___14.2.1 vsftpd 기본 설정
___14.2.2 사용자 설정
___14.2.3 익명 FTP
___14.2.4 FTPS
___14.2.5 vsftpd 로그

▣ 15장: SSH

15.1 SSH 기본
___15.1.1 SSH의 이점
___15.1.2 호스트 인증
___15.1.3 사용자 인증
___15.1.4 공개 키 생성
15.2 OpenSSH 서버
___15.2.1 SSH 서버 기본 설정
___15.2.2 안전한 SSH 서버 설정
15.3 SSH 클라이언트
___15.3.1 SSH 원격 로그인
___15.3.2 SSH 원격 복사
___15.3.3 sftp
___15.3.4 포트 포워딩
___15.3.5 SSH Agent
___15.3.6 SSH 클라이언트 설정

▣ 부록: 서버 보안 체크리스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