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에 산다 또는 SDN 시장의 산업동향과 기술현황 및 활용사례
땅끝
2025-04-24 13:25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후쿠시마에 산다

도서명 : 후쿠시마에 산다
저자/출판사 : 신문 아카하타 사회부, 나름북스
쪽수 : 399쪽
출판일 : 2015-12-22
ISBN : 9791186036082
정가 : 15000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1장 _ 치유되지 않은 마음의 상처 (2012년 10월 8일 자 ~ 2013년 8월 15일 자)
ㆍ어구를 손질하며_나미에마치의 어부 사쿠라이 오사무 씨
ㆍ후쿠시마의 오늘, 다음 세대에 전하고파_고교생 요시노 사야카 씨
ㆍ함께 걸어가자 나미에마치에서 후쿠시마 시에 피난 중인 스도 카노 씨
ㆍ원전 사고의 참극 전하겠다_전직 개호시설 물리치료사 사토 츠토무 씨
ㆍ벼농사 ‘포기하지 않겠다’_미나미소마 시 구 경계지역 네모토 코이치 씨
ㆍ덤으로 얻은 목숨, 다음 세대를 위해_미나미소마 시 아이하라 마나부 씨
ㆍ고향으로 돌아가는 날까지 피난민에게 제철 채소를_낙농인 사사키 토모코 씨
ㆍ전쟁과 원전, 고난을 넘어_후타바마치에서 후쿠시마 시로 피난한 다카다 구니오 씨
ㆍ료젠에 방사능이 웬 말인가_향토사가 칸노 이에히로 씨
ㆍ‘무농약’을 시작한 참이었는데_한평생 벼농사로 살아온 이도가와 칸 씨
ㆍ가설주택에서 이어진 ‘천잠의 꿈’_나미에마치에서 피난해 온 스즈키 시즈코 씨
ㆍ동료들을 만나 길이 열렸다_후쿠시마 금요행동에 참가한 오하시 사오리 씨
ㆍ완전한 폐로가 이뤄지기 전까지는_전직 원전 노동자 후쿠다 카즈마사 씨
ㆍ‘부자선’을 꿈꾸었건만_후쿠시마·미나미소마 시 어부 마키타 토요미 씨
ㆍ피난생활이 아내의 명 재촉했다_후쿠시마 시내 가설주택에 거주하는 구마가와 카오루 씨
ㆍ도원향에 원전이 웬 말인가?_하나미야마공원 원예농가 칸노 타다시 씨
ㆍ그리운 목초지_가와마타마치의 3세 낙농인 사이토 히사시 씨
ㆍ마음의 꽃_미하루 타키사쿠라 자손목을 보급하는 콘나이 고이치 씨
ㆍ시민의 입장에서 기록하고 전한다_원전 피해를 고발하는 오부치 마리 씨
ㆍ도쿄전력과 싸워 승리할 때까지_피해의 원상회복을 요구하는 가네이 나오코 씨
ㆍ음악으로 힘을 주다_알토색소폰 연주자 카와세 미카 씨
ㆍ승소로 에너지정책 전환을_‘생업을 돌려줘, 지역을 돌려줘!’ 후쿠시마 원전 소송 원고단장 나카지마 타카시 씨
ㆍ공산당의 승리로 원전 제로_나미에마치를 떠나 가설주택에 살고 있는 마쓰모토 스미이 씨
2장 _ 포기하지 않겠다 (2013년 8월 19일 자 ~ 2013년 12월 30일 자)
ㆍ가 소송은 ‘피해자 단결’의 상징 생업 소송 원고 변호단 스즈키 마사키 씨
ㆍ사랑의 열매, 열정을 담아_안심·안전에 대한 노력으로 JGAP 인증 취득, 과수원 경영자 사토 유키에 씨
ㆍ벼농사를 포기할 수 없어_나미에마치 출신 사토 교이치 씨
ㆍ내일이라도 바다에 나가고 싶지만_소마 시의 어부 아다치 토시로 씨
ㆍ모든 것을 원상태로 되돌려야_무화과 생산자 다카하시 이사오 씨
ㆍ완전한 수습이 이루어질 때까지_후쿠시마 금요행동에 매번 참가 중인 후쿠치 카즈아키 씨
ㆍ태양열 발전으로 원전 제로를_복숭아·사과 생산농가 하시모토 미츠코 씨
ㆍ미나미소마에서 ‘농업 지키기’_최초로 쌀을 시험 재배한 스기 카즈마사 씨·농사 2년째 요코야마 신지 씨
ㆍ피난민의 고독사를 막고 싶다_후타바마치 가설주택 자치회장 코가와 타카히사 씨
ㆍ부흥이 요원해진 600년 고찰_원전 피난민 소송 원고단장 하야카와 토쿠오 씨
ㆍ구니미마치 산 곶감에도 타격_원전 사고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하타 후미오 씨
ㆍ총리의 폭언을 막는다_후쿠시마 금요행동에 매번 참가 중인 아베 유지 씨
ㆍ원전 건설에 반대로 일관_소마·후타바 어업협동조합 우케도호시키회 회장 시가 카츠아키 씨
ㆍ원전도 전쟁도 생활을 파괴한다_후쿠시마 원전 소송 원고 가네마루 미치코 씨·남동생 지카마사 씨
ㆍ원전 사고 증언록의 완성_전 NHK 디렉터 네모토 히토시 씨
ㆍ다시 가게 문을 열 때까지_라멘집 주인 다카기 미츠오 씨
ㆍ비밀보호법은 원전도 은폐할 것_미나미소마 시 금요행동에 참가한 가와구치 료이치 씨
ㆍ청년기의 경험을 되살려_낙농인 사사키 겐조 씨
ㆍ자연과 생활을 되돌린다_이와키 시민 소송 원고 하세베 이쿠코 씨
ㆍ폐로는 당연한 일_소프트볼 클럽 감독 우지이에 마사요시 씨
3장 _ 쉼 없이 목소리를 높이며 (2014년 1월 6일 자 ~ 2014년 6월 14일 자)
ㆍ정부와 도쿄전력은 산에도 제염을 실시하라_채소 농가 와타나베 사카에 씨
ㆍ원상회복은 필요불가결_복숭아 재배농가 아이하라 토요지 씨·쿄코 씨
ㆍ손자 생각에 피난을 고민_미나미소마 시 칸노 츠네오 씨
ㆍ할애비로서의 할 일_다테 시 오츠키 젠조 씨
ㆍ인기척이 사라진 거리를 보며_가이드북 편집자 오우치 히데오 씨
ㆍ흙조차 오염됐다_배 농가 아베 테츠야 씨
ㆍ문제를 아는 사람이 먼저 목소리를 높여야_원고단 사무국장에 취임한 핫토리 히로유키 씨
ㆍ이다테규의 부활과 재건을 위해_이다테무라 나가도로 구역장 시기하라 요시토모 씨
ㆍ‘맛있다’는 격려에 마음을 다잡으며_딸기 농가 가모 세이이치 씨
ㆍ과일의 고장, 잊을 수 없는 자부심_과수 농가 시부야 세츠오 씨
ㆍSPEEDI의 공표는 없었다_생활보호수급자 야마키 사치코 씨
ㆍ의사로서의 첫발을 이곳에서_의료생활협동조합 와타리병원 쿠니이 료 씨
ㆍ그래도 농사를 포기할 수 없다_산직조합 고리야마 대표이사 하시모토 세이이치 씨
ㆍ제자들로부터 전해진 서명_생업 소송 원고 와타나베 야스코 씨
ㆍ머나먼 봄날_치바 현 원전 소송 엔도 유키오 씨
ㆍ행동의 원점은 국민주권_‘원전 즉시 제로’ 서명을 받고 있는 와고 슈이치 씨
ㆍ‘원전 제로’를 향한 마음을 노래에 담아_포크밴드 ‘이와키 피라미 학원’ 구보키 츠토무 씨
ㆍ피난민의 건강 악화가 걱정_간호사 야시로 아키코 씨
ㆍ원전의 상흔을 기록하다_고리마치 향토사 연구회 회장 스즈키 후미오 씨
ㆍ손자 세대에 불안을 남기고 싶지 않아_후쿠시마 금요행동 참가자 다카하시 히사코 씨
ㆍ농토를 잃은 분노_나미에마치에서 피난을 나온 사토 토미코 씨
ㆍ원전이란 존재해서는 안 되는 것_생업 소송 원고단 아이즈 지부 대표 다카이 마사오 씨
ㆍ생업 소송, 인생의 마지막에_두 번의 지진재해를 경험한 엔도 마사요시 씨
4장 _ 내일을 향해, 앞만 보고 간다 (2014년 6월 17일 자 ~ 2014년 11월 5일 자)
ㆍ끊임없이 찍어 ‘후세에 남긴다’_아마추어 사진가 와타나베 코이치 씨
ㆍ총리는 아무 말도 듣지 않아_다테·니이야공원을 지키는 모임 오노 카즈코 씨
ㆍ환자와 지역에 보은_이시카와마치에 정체원을 개업한 콘나이 유키오 씨
ㆍ전시나 다름없는 ‘소개자’_후쿠시마 시 이이노마치 거주 아베 료이치 씨
ㆍ멈춰버린 봉제공장, 도쿄전력은 ‘생활보호 받으라’ 폭언_생업 소송 원고 기쿠치 야스히로 씨·어머니 하츠에 씨
ㆍ용기를 전해주는 노래 한 곡_노래하는 케어매니저 아베 준 씨
ㆍ정부와 도쿄전력의 책임을 묻는다_현 근로자 산악연맹 이사장 무라마쓰 코이치 씨
ㆍ후회 없는 삶을 위해 건강운동지도사_이케우치 야요이 씨
ㆍ직접 듣고, 보아주기를_완전배상을 요구하는 후쿠시마 현 북부 지역 모임 사무국장 칸노 히데오 씨
ㆍ미래는 바뀔 수 있다_오키나와로 피난한 구보타 미나호 씨
ㆍ원전이냐 생명이냐_가타히라 저지 자연목장 목장주 가타히라 요시오 씨
ㆍ원전과의 싸움 생업 소송 원고단 부대표 콘노 시게아키 씨
ㆍ바다를 돌려 달라_소마시·전직 저인망 어선 어부 난부 코이치 씨
ㆍ풍요롭던 자연은 어디로 갔나_엽우회 히가시시라카와지부 회원 스즈키 다쓰오 씨
ㆍ시로 남긴 사고의 기록_니혼마쓰 시· 《아다타라의 푸른 하늘》을 출판한 아라오 ?스케 씨
ㆍ피해자의 시선으로_이와키 시민 소송 원고단 사무국장 칸케 아라타 씨
ㆍ자식들과의 약속_생업 소송을 통해 도쿄전력과 재판을 진행 중인 임업인 치쿠이 마코토 씨·유리코 씨 부부
ㆍ불철주야 주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_전 나미에마치 진료소 간호사 곤노 치요 씨
ㆍ피해보상법 제정을 향해_이와키 시민 소송 원고단 부단장 사토 미츠오 씨
ㆍ젊은이들의 꿈이 이루어지도록_이와키 시민 소송 원고 아베 세츠코 씨
ㆍ원전 사고의 참혹함을 묘사_후쿠시마전 입선 화가 니시 케이타로 씨
ㆍ장애인은 어디로 도망쳐야 하나_생업 소송 원고 기쿠치 유미코 씨
ㆍ유기농업에 인생을 걸고_이와키 시민 소송 원고 히가시야마 히로유키 씨
맺음말
옮긴이의 말
SDN 시장의 산업동향과 기술현황 및 활용사례

도서명 : SDN 시장의 산업동향과 기술현황 및 활용사례
저자/출판사 : 좋은정보사, 좋은정보사
쪽수 : 377쪽
출판일 : 2016-06-28
ISBN : 9788998586188
정가 : 300000
Ⅰ. SDN 시장동향 및 비즈니스 분석 27
1. SDN의 개요와 구조 27
1) SDN의 개요 27
(1) 정의 27
(2) 등장배경 30
2.1)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필요성 대두 30
2.1.1) 네트워크 사용 환경의 변화 30
2.1.2) 트래픽 패턴의 변화 30
2.1.3) IT의 소비자화 32
2.1.4)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 32
2.1.5) Big data보다 넓은 대역폭을 요구 34
2.2) 현재 네트워킹 기술의 한계점 34
2.2.1) 기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복잡성 34
2.2.2) 일관성 없는 네트워크 정책의 시행 35
2.2.3) 네트워크의 규모 확대 불가능 35
2.2.4) 통신장비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 36
(3) SDN의 특징과 원칙 38
3.1) SDN의 특징 38
3.1.1) 네트워크 제어 기능, 데이터 전달 기능과 분리 38
3.1.2) 네트워크 제어 기능의 개발·실행 환경 분리 및 CPU 하드웨어 스위치 38
3.1.3) 비즈니스 최적화 38
3.1.4) OPEN(공개형) 38
3.2) SDN의 원칙 39
3.2.1) 소프트웨어 정의 전달(Software Defined Forwarding) 39
3.2.2) 글로벌 관리 추상화(Global Management Abstraction) 40
(4) SDN의 종류 41
4.1) 개방형 SDN 41
4.2) API SDN 42
4.3) 오버레이 SDN 43
2) SDN의 구조 및 구성요소 45
(1) SDN의 구조 45
1.1) 인프라 계층(Infrastructure Layer) 45
1.2) 제어 계층(Control Layer) 45
1.3)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47
(2) SDN의 구성요소 48
2.1) Application Server 48
2.2) SDN Switch 48
2.3) SDN Controller 48
2.3.1) Centralized Controller 50
2.3.2) Distributed Controller 50
2.3.3) Multilayer Controller 50
(3) SDN의 동작 원리 51
3) SDN 기술의 역사 52
(1) 네트워크의 역사 52
1.1) 1970년대 52
1.2) 1980년대 52
1.3) 1990년대 53
1.4) 2010년대 53
(2) SDN 기술의 역사 54
2.1) SDN 용어의 등장 54
2.2) SDN의 시작 54
2.2.1) Ethan 프로젝트와 SDN 54
2.2.2) 구글의 SDN 적용 57
2.3) SDN의 발전 배경 58
2.3.1) CPU 성능 향상 58
2.3.2) 가상화 환경의 조성 58
2.3.3) 인터페이스의 통일 59
2.3.4) 고급언어의 등장 59
2. SDN 시장동향 및 생태계 변화 60
1) SDN 시장동향 60
(1) 국내 SDN 기업 동향 61
1.1) 나임네트웍스 62
1.2) 아토리서치 64
1.3) 쿨클라우드 66
1.4) 삼성전자 70
1.5) 유비쿼스 70
1.6) PIOLINK 70
1.7) ETRI 70
1.8) NAIM Networks 71
(2) 국외 SDN 기업 동향 72
2.1) Google 72
2.2) Big Switch 73
2.3) Cisco 73
2.4) HP 75
2.5) NEC 75
2.6) NTT Communications 75
2.7) Nuage Networks(Alcatel-Lucent) 76
2.8) Arista 76
2.9) Avaya 76
2.10) Brocade 76
2.11) Ericsson 76
2.12) Extreme Networks 76
2.13) EZchip Technologies 77
2.14) Huawei 77
2.15) Juniper 77
2.16) Mellanox 77
2.17) Citrix 78
2.18) Dell 78
2.19) IBM 78
2.20) Intel 78
2.21) Oracle 79
2.22) VMware 79
2.23) 6WIND 79
2.24) CatBird 79
2.25) Cloud Converter 80
2.26) CloudNFV 80
2.27) ConteXtream 80
2.28) Embrane 80
2.29) Insieme Networks(CISCO) 81
2.30) IP infusion 81
2.31) Magna Switch Networks 81
2.32) Midokura 81
2.33) Nicira(VMware) 82
2.34) Plexxi 82
2.35) PLUMgrid 82
2.36) Qosmos 83
2.37) vArmour 83
2.38) Vello Systems 83
2.39) Vyatta(Brocade) 83
(3) 조사기관별 SDN 시장 현황 및 전망 85
3.1) 국내 SDN시장 전망 87
3.1.1) 오픈플로우 코리아 87
3.1.2) kani 90
3.2) 국외 SDN시장 전망 90
3.2.1) MarketsandMarkets 90
3.2.2)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91
3.2.3) Gartner 93
3.2.4) SDN Central 94
3.2.5) CM(Cyrus Mewawalla) Research 95
(4) SDN 시장 발전방향 97
4.1) SDN과 WIFI와의 결합 97
4.2) SDN과 CLOUD COMPUTING과의 결합 98
(5) SDN의 사업 적용 비젼 100
5.1) 클라우드 SDN 102
5.2) 전송 SDN 102
5.3) 서비스 플로우 기반 SDN 103
(6) SDN 제품의 카테고리별 동향 105
6.1) 애플리케이션 가속화 105
6.1.1) Aricent Group 105
6.1.2) NTT Communications 105
6.1.3) Radware 105
6.2) 클라우드 인프라 106
6.2.1) ITRI 106
6.2.2) Juniper Networks 106
6.2.3) NTT Communications 106
6.2.4) VeloCloud Networks 107
6.3)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107
6.3.1) Cisco Systems 107
6.3.2) Cisco Systems 108
6.3.3) Huawei 108
6.4) 하이퍼바이저 109
6.4.1) Citrix Systems 109
6.4.2) Spirent 109
6.5)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109
6.5.1) Brain4Net 109
6.5.2) Cisco Systems 109
6.5.3) Ecode Networks 109
6.5.4) Freescale Semiconductor 110
6.5.5) HP 110
6.5.6) NEC 110
6.5.7) Northbound Networks 110
6.5.8) Oracle 110
6.5.9) Spirent 110
6.5.10) VMware 110
6.6) 네트워크 가상화 112
6.6.1) Aricent Group 112
6.6.2) Brain4Net 112
6.6.3) BTI Systems 112
6.6.4) Cisco Systems 112
6.6.5) Dell/Force10 Networks 112
6.6.6) Spirent 112
6.6.7) VMware 112
6.7) SDN과 NFV 113
6.7.1) Cisco Systems 113
6.7.2) Coriant 113
6.7.3) Fujitsu 114
6.7.4) HP 114
6.7.5) Intel 114
6.7.6) Itential 114
6.7.7) Juniper Networks 114
6.7.8) Openwave Mobility 114
6.7.9) Oracle 114
6.7.10) Virtela Technology Services 114
(7) SDN의 한계 116
7.1) SDN의 확장성 문제 116
7.2) 구조적 문제 117
7.3)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이슈 118
2) SDN 도입에 따른 생태계 변화 120
(1) 네트워크 산업 생태계 현황 120
(2) SDN 확산에 따른 시장 참여자별 변화 121
(3) SDN 확산에 따른 전체 생태계 변화 123
3) 주요 단체 동향 125
(1) 표준화 단체 동향 125
1.1) ONF 125
1.2) IETF 127
1.3) ITU-T 127
(2) 대형 솔루션 기업 128
2.1) Cisco 128
2.2) HP 128
2.3) IBM 128
(3) 중소 솔루션 기업 129
3.1) Big Switch Networks 129
3.2) VMware 129
3.3) Nicira 129
3.4) Brocade 129
3.5) 그 외 기업 130
(4) 네트워크 사용자 131
4) SDN의 혁신성과 정책적 시사점 132
(1) SDN의 혁신성 132
(2) SDN의 정책적 시사점 135
3. 비즈니스 분석 136
1) 국내 SDN 비즈니스 분석 136
(1) 국내 네트워크 시장 구조의 특성 136
1.1) 높은 외산 장비 의존도로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 136
1.2) 통신 사업자의 넓은 사업 범위 136
1.3) OTT와 소수의 포탈 사업자에 집중된 서비스 및 콘텐츠 제공 사업 136
(2) 국내 시장 참여자의 SDN 니즈 및 역량 분석 138
2.1) 네트워크 장비 벤더 138
2.2) IT업체 138
2.3) 통신 사업자 138
2.4) 서비스 제공 사업자 138
(3) 국내 SDN 시장의 전략적 시사점 140
3.1) 트랜드의 변화 140
3.2) 기회를 위한 변화 141
3.2.1) 정책적·전략적 대응 요구하고 있는 SDN 중심의 네트워크 생태계 141
3.2.2) SDN기술 기반 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키움 141
3.3) 분야별 기회 142
3.3.1)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142
3.3.2) 네트워크 가상화 142
2) 국외 SDN 비즈니스 분석 144
(1) SDN 관련 단체 144
1.1) ONF 144
1.2) NFV ISG 145
1.3) OpendayLight 145
(2) 국외 SDN 시장참여자 147
2.1) SDN 관련 주요 솔루션 147
2.2) SDN 관련 주요 솔루션 공급자 147
2.3) SDN 관련 주요 솔루션 수요자 148
(3) SDN 확산에 따른 시장참여자의 비즈니스 전략 변화 149
3.1) 공급자의 비즈니스 전략 변화 149
3.1.1) 네트워크 장비 벤더 149
3.1.2) IT 업체 150
3.1.3) SDN 컨트롤러 개발 업체 & SDN 애플리케이션 개발 업체 150
3.2) 수요자의 비즈니스 전략 151
3.2.1)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 & 클라우드 사업자 151
3.2.2) 통신 사업자 151
4. SDN의 보안 153
1) SDN의 보안성 향상 155
(1) 보안성이 강화된 콘트롤러 : FortNOX 155
(2) SDN 네트워크 DoS 공격 157
2) SDN을 이용한 보안 기법 159
(1) SDN을 이용한 방화벽 구현 159
1.1) 방화벽의 정의 159
1.2) 기존 방화벽의 보안 취약성 160
1.3) SDN을 이용한 방화벽 161
(2) SDN을 이용한 침입탐지시스템 구현 163
2.1) NIDS 163
2.2) NIPS 164
2.3) SDN 164
Ⅱ. SDN/NFV/Cloud 기술동향과 활용사례 및 전망 169
1. SDN 기술동향 169
1) 국내?외 기술 동향 169
(1) 국내 기술 동향 169
(2) 국외 기술 동향 170
2.1) ODL 171
2.2) ON.Lab 171
2) SDN 표준화 동향 172
(1) 사업자별 SDN 요구사항과 표준화 동향 173
1.1) ONF와 인터넷 응용 서비스 사업자 173
1.2) IETF와 네트워크 장비 사업자 175
1.2.1) SDN RG(IRTF) 175
1.2.2) I2RS WG 176
1.2.3) SPRING WG 176
1.3) ITU-T 176
1.4) NFV와 통신 사업자 178
(2) SDN 활용 시나리오 180
2.1) 기업?캠퍼스 네트워크 180
2.2)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180
2.3) 모바일 네트워크?광 전송 네트워크 182
(3) SDN 연구/표준화 이슈 184
3) SDN 핵심 요소 기술 186
(1) 컨트롤러 186
1.1) 기술의 개요 186
1.2)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187
1.3) 기술 개발 현황 187
1.4) 기술 특징 및 장점 189
1.5) 관련 기술현황 189
1.6) 기술의 사업성 189
1.7) 상용화의 애로점 및 극복 방안 190
1.8) 서비스 동향 및 시장 규모 190
1.8.1) 서비스 동향 190
1.8.2) 시장 규모 191
(2) SDN 디바이스 192
(3) SDN 가상 스위치 193
3.1) 가상 스위치의 개요 193
3.2) 가상 스위치의 요구 사항 194
3.2.1) Mobility 194
3.2.2) Scalability 194
3.2.3) Isolation 194
3.2.4) Visibility 194
3.2.5) Fine-grained Control 194
3.3) 가상 스위치의 개선 방향 194
(4)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술 196
4.1) 사우스바운드 인터페이스 196
4.2) 노스바운드 인터페이스 196
4.3) 이스트-웨스트바운드 인터페이스 197
4.4) I2RS(Interface to the Routing System) 197
(5) SDN 기반 네트워크 가상화 199
(6) SDN 언어와 검증 기법 및 기상화 200
6.1) SDN 언어 201
6.1.1) FML(Flow-based Management Language) 201
6.1.2) Frenetic 201
6.1.3) Nettle 202
6.2) 검증기법 203
6.2.1) NICE 203
6.2.2) Kinetic 203
6.2.3) FortNOX 205
6.3) 가상화 205
6.3.1) 슬라이스 추상화 205
6.3.2) Open vSwitch 205
6.3.3) OpenStack 206
4) SDN 전개기술 207
(1) 하이브리드 스위치 207
(2) LegacyFlow 210
(3) RouteFlow 212
5) SDN 활용사례 214
(1) Big Switch 214
(2) 주니퍼 네트웍스 215
(3) HP 216
(4) 알카텔-루슨트 217
(5) 아리스타 네트웍스 218
(6) Facebook 219
6) SDN 개발사례 220
(1) OpenFlow 220
1.1) OpenFlow의 개요 221
1.1.1) 제어 평면과 데이터 평면을 분리 221
1.1.2) 컨트롤러와 스위치로 구성 222
1.1.3) 플로우 테이블 223
1.1.4) 파이프라인 처리(Pipelining) 224
1.1.5) 그룹 테이블 225
1.2) OpenFlow의 장단점 226
1.2.1) 장점 226
1.2.2) 단점 227
1.3) 동작 과정 228
1.3.1) 스위치와 컨트롤러간 연결설정 228
1.3.2) 프레임의 전송 229
1.4) 라우팅 방식 230
1.4.1) Hop-by-hop 방식 230
1.4.2) Overlay 방식 231
(2) 고성능 SDN 제어기 MuL 232
2.1) MuL 제어기의 내부영역 233
2.1.1) MuL 코어 영역 233
2.1.2) MLAPI Application 영역 233
2.1.3) NBAPI Application 영역 233
2.1.4) South-Bound 영역 234
2.2) SDN 제어기 성능 비교 분석 234
2.2.1) 성능 측도 및 측정방법 234
2.2.2) 성능 측정 결과 236
2.3) MuL 제어기 적용 사례 238
2. NFV 기술동향 240
1) NFV 기술 개요 240
2) 국내외 기술 동향 244
(1) 국내 기술동향 244
1.1) ETSI NFV ISG 244
1.2) OPNFV 245
1.3) DPDK와 ODP 245
(2) 국외 기술동향 247
3) NFV 표준화 동향 249
(1) NFV Terminology 252
(2) NFV Requirements 252
(3) NFV Architectural Framework 253
3.1) NFVI 254
3.2) VNF 254
3.3) NFV M&O 254
(4) NFV Proof of Concept Framework 255
(5) NFV Use Case 255
5.1) NFVIaaS 257
5.2) VNFaaS 258
5.3) VNPaaS 260
5.4) VNF FGs 261
5.5) Virtualization of Mobile Core Network and IMS 263
5.6) Virtualisation of Mobile Base Station 264
5.7) Virtualization of Home Environment 265
5.8) Virtualisation of CDNs(vCDN) 266
(6) NFV의 구조 267
6.1) NFV End-to-End 구조 267
6.2) NFV 참조 구조 267
6.2.1) VNF 267
6.2.2)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267
6.2.3) NFV Infrastructure 268
6.2.4) 가상 인프라 관리자(Virtualised Infrastructure Manager) 268
6.2.5) Orchestrator 268
6.2.6) VNF 관리자 268
6.2.7) Service,VNF and Infrastructure Description 268
6.2.8) OSS/BSS 269
6.3) NFV 인프라구조 269
4) NFV over SDN 기술 발전 전망 271
3. Cloud 기술동향 274
1) Cloud 기술 274
(1) 퍼플릭(Public) 클라우드 274
(2)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275
(3)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275
2) 국내?외 기술동향 276
(1) 국내 기술동향 276
1.1) KT 276
1.2) LG유플러스 276
1.3) SK텔레콤 277
(2) 국외 기술동향 278
2.1) OpenStack 278
2.2) OCP 278
3) Cloud 표준화 동향 280
4. SDN/NFV 장비산업 282
1) SDN/NFV 장비산업 시장동향 282
(1) 개방형 네트워크 장비 산업 282
1.1) 개방형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현황 282
1.2) 개방형 네트워크 장비 산업의 전망 282
(2) SDN/NFV 장비산업 시장동향 284
2) SDN/NFV 장비산업 정책동향 286
(1) 국내 네트워크 산업의 현안 및 문제점 분석 286
(2) SDN/NFV 기반의 표준형 네트워크 장비의 등장 288
(3) SDN/NFV 표준기반 네트워크 장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전략 290
5. SDN/NFV/Cloud 기술 전망 293
Ⅲ. SDN 기술 접목사례 및 관련기술 299
1. CCN과 SDN 기술의 접목 299
1) 배경 299
2) 기술 개요 302
(1) CCN(콘텐츠 중심 네트워킹) 기술 개요 302
1.1) CCN의 주요 컨셉(concept)과 동작 원리 302
1.1.1) 주소 기반 포워딩 302
1.1.2) 콘텐츠 이름 기반 포워딩 303
1.2) CCN 기술 동향 304
(2)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 개요 305
3) CCN-SDN 기술 접목 307
4) 연구 현황 309
2.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SDN 기술 310
1) 기술동향 310
2) 액세스/코어 망 통신 장비 가상화 311
3) 액세스/코어 망 통신 장비 SDN 도입 313
(1) Ericsson의 SDN 기반 망 구조 313
(2) Bell Lab의 SDN 기반 망 구조 316
(3) C-RAN 318
4) 액세스 망 통신 프로토콜 가상화 319
(1) OpenRoads 319
(2) OpenRadio 320
5) SDN 기반 무선 데이터 오프로드 321
(1) LIPA(Local IP Access) 321
(2) SIPTO(Selective IP Traffic Offload) 323
(3) IFOM(IP Flow Mobility and Seamless WLAN Offload) 324
3.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SDN과 NFV 기술 325
1) 5G 기술 개발 프로젝트 (METIS 2020) 325
2)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동향 331
(1) Ericsson 331
(2) Huawei 334
(3) NSN 336
4. 기타 SDN 관련 기술 338
1) 텔레포니카 비보 339
2) 오픈스택(Openstack) 341
3)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 343
4) 서비스 체이닝(Service Chaining) 344
5) 오픈버추얼스위치(OVS, Open Virtual Switch) 345
6) 오픈컴퓨팅프로젝트(OCP, Open Computing Project) 346
7) ONIE(Open Network Install Environment) 347
Ⅳ. 소프트웨어 정의(SDx) 시장동향 및 주요 분야별 현황 351
1. SDx의 개요와 현황 351
1) SDx의 개요 351
(1) SDN에서의 소프트웨어 정의 개념 351
1.1) 서버 가상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 351
1.2) 네트워크 가상화 실현을 위한 노력 353
1.3) SDN,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 정의 355
(2) 등장배경 357
(3) SDx로 소프트웨어 정의 확산 357
2) 주요 분야별 SDx 현황 360
(1) 데이터 센터로 확산 360
(2) 인프라 관리ㆍ정책으로 확대 363
(3) 보안 등 다른 분야로 확대 365
(4) 응용프로그램 및 서비스 레벨로 확산 366
4.1) 소프트웨어 정의 비디오 네트워크(SDVN) 366
4.2) 소프트웨어 정의 헬스케어(SDH) 366
2. SDx 시장동향 및 전망 368
1) SDx 시장동향 368
(1) 표준화 현황 368
(2) SDx 이니셔티브 369
2.1) 국내 기업 370
2.2) 국외 기업 370
2.2.1) Cisco 370
2.2.2) VMware 370
2.2.3) 기타 벤처 사업자 371
2) SDx 시장전망 372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