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 2 또는 도의 논쟁자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금단. 2 또는 도의 논쟁자들

땅끝
2025-04-24 13:25 4 0

본문




금단. 2
9791131304631.jpg


도서명 : 금단. 2
저자/출판사 : 훈자, 삼양출판사
쪽수 : 416쪽
출판일 : 2015-10-08
ISBN : 9791131304631
정가 : 10000

6장 악몽
7장 계략
8장 온기
9장 사고
10장 작별




도의 논쟁자들
9788955593884.jpg


도서명 : 도의 논쟁자들
저자/출판사 : 앤거스 그레이엄, 새물결
쪽수 : 776쪽
출판일 : 2015-12-12
ISBN : 9788955593884
정가 : 65000

머리말·5
서론·13

1장 천명적 세계질서의 붕괴·29

1. 보수적 반응: 공자·29
의례와 음악(禮樂)·31 | 의례로서의 정치·36 | 천과 귀(鬼)·40
도덕 통일의 실마리·46 | 공자와 20세기 서양 철학·53
중국 문명에서 유학의 중심성·68

2. 극단적 반응: 묵자·72
삼표(三表): 논변의 세 가지 검증 방법·77
공리주의적 검증에 의한 전통적 실천의 비판·82
도덕 통일의 원리·86 | 국가의 중앙집권화와 관료제도화·92
하늘, 귀신 그리고 운명(天·鬼·命)·96 | 묵가 학파의 분열·102

3. 사생활 속으로의 은둔: 양가·106
양가의 가르침·111 | 상상된 양주의 위아주의·118

4. 소국의 이상화: 신농의 이상향·127
신농의 황금시대·130 | 허행(許行)·136 | 신농 이상의 영향·140

5. 합리적 논변의 첨예화: 궤변론자들·144
혜시·147 | 공손룡·158 | 백마론·163 | 지물론(指物論)·173
좌우: 통변론(通辯論)·179

6. 주체성의 발견: 송견·181
『관자』의 「내업」·190

2장 사회적 위기에서 형이상학적 위기로
― 하늘과 인간의 결별· 203


1. 공자에서 맹자까지: 하늘의 품수로서의 인간의 본성에 근거한 도덕성·211
정치·214 | 인성에 관한 고자와의 논쟁·221 | 성선(性善)·232
유가의 두 소론: 『대학』과 『중용』·249

2. 묵자에서 후기 묵가까지: 합리적 공리성에 재근거한 도덕성 257
지식과 명명(命名)·261 | 변화와 필연성·265 | 선험적인 것·269
첫째 교과목: 담론(이름과 대상의 연결 방법에 관한 지식)·276
명실론에 나타난 개정된 담론 기술·282
둘째 교과목: 윤리학(행동 방식에 관한 지식)·293
셋째 교과목: 과학(대상들에 관한 지식)·301
넷째 교과목: 논증(이름에 관한 지식)·313

3. 양가에서 장자의 도가까지: 자연성으로의 복귀를 통한 하늘과의 화해·319
‘도가’라는 명칭·319 | 『장자』·323 | 장자에 얽힌 일화들·326
이성에 대한 공격·330 | 후기 묵가의 이성 옹호·342 | 자연성·350
자연성의 해명·359 | 각성과 꿈·364 | 하늘과 인간·367 | 언어·374
죽음과의 화해·379 | 장자학파의 발전: 대인(大人) 형이상학·383

3장 하늘 따로 인간 따로·399

1. 노자의 도가: 자연성에 의한 통치술·404
노담(老聃)과 『노자』·404 | 도·410 | 반전(反轉)·417 | 무위(無爲)·433
신비한 것과 실용적인 것·437

2. 순자의 유가: 자신의 본성을 통제하기 위한 인간의 창안물로서의 도덕·440
하늘(天)·444 | 인성·455 | 마음(心)·468 | 의례와 음악(禮樂)·475
작명(作名) 이론·486

3. 법가: 치국책에 관한 무도덕적 과학·497
변화에 대한 적응·501 | 기준과 법·507 | 권력, 도덕, 법에 대한 논쟁·515
관료제도의 통제·522 | 법가와 노자·528

4. 두 종류의 정치적 이단·541
세습 군주제에 대한 비판·541
중국적 무정부주의의 문제·552
장자의 ‘원시주의자’·564

4장 제국 및 천인의 재통일·577

1. 우주론자들·581
원형과학과 근대 과학·581 | 상관적 사고와 상응적 우주 건립·588
한대 이전의 우주론·597 | 짝개념들: 음과 양·606
넷과 다섯: 오행(다섯 가지 과정)·622 | 물에 기초한 관자의 우주론·647
『역易』·650

2. 혼합주의와 유가의 승리·670

부록 1 유사 삼단논법에 의한 중국 도덕철학의 분류·693
부록 2 중국 사상과 중국 언어의 관계·701
존재·729 | 존재에 비견할 만한 중국 개념들·732
서양 존재론의 중국 존재론으로의 현대적 번역·738
범주와 질문 형식·742 | 범주와 명사 문장·745 | 범주와 동사 문장·747

개역판 후기·761
옮긴이 후기·763
찾아보기·76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