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한국사. 1: 우리 역사를 바꾼 세계인들 또는 죽음과 고통, 그리고 생명
땅끝
2025-04-24 13:25
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5회 연결
본문
다문화 한국사. 1: 우리 역사를 바꾼 세계인들

도서명 : 다문화 한국사. 1: 우리 역사를 바꾼 세계인들
저자/출판사 : 김용만, 살림FRIENDS
쪽수 : 180쪽
출판일 : 2015-01-30
ISBN : 9788952230393
정가 : 11000
머리말 세계와 함께한 우리 역사 ㆍ 4
제1부 이웃 나라에서 온 사람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인, 기자ㆍ12
- 고대 중국 문화가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
일본에서 건너온 석탈해ㆍ18
- 풍요의 땅, 신라를 탐낸 왜인
고구려에 귀화한 동수ㆍ27
- 고구려의 다문화 정책
과거제도를 건의한 쌍기ㆍ36
- 고려에 귀화한 사람들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견문록ㆍ44
- 동월의 『조선부』
조선을 도운 일본 장수, 김충선ㆍ50
- 임진왜란에 참전한 포르투갈 인
제2부 바다를 건너온 사람들
가야의 왕후가 된 허황옥ㆍ60
- 김해 대성동 고분의 외래 유물
백제에 불교를 전한 마라난타 스님ㆍ68
- 백제를 찾아온 중국인들
역신을 쫓아낸 처용의 정체ㆍ74
- 신라를 찾아온 아라비아 인
고려로 탈출한 베트남 왕자ㆍ82
- 고려와 조선을 방문한 태국인
유구 산남 왕, 온사도ㆍ89
- 유구국과 조선의 왕래
제3부 대륙을 지나온 사람들
서역인 온달과 평강 공주ㆍ98
-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서역인
공민왕이 사랑한 노국 공주ㆍ108
- 고려에 시집온 몽골 공주들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설장수ㆍ116
- 고려의 관리가 된 위구르 출신 장순룡
이성계의 의형제, 이지란ㆍ122
- 귀화인의 후손들
제4부 서양에서 온 사람들
조선 최초의 서양인, 벨테브레ㆍ132
- 하멜 일행의 조선 탈출기
- 최초의 서양인 사무라이
병인양요를 일으킨 리델 신부ㆍ142
- 천주교와 개신교 포교의 차이
조선의 개화를 주도한 묄렌도르프ㆍ152
- 묄렌도르프의 후임자 미국인 데니
연세대학교를 세운 언더우드ㆍ161
- 외국인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
「대한매일신보」의 아버지, 베델ㆍ168
- 조선인을 변호한 일본인 후세 다츠지
연표ㆍ178
죽음과 고통, 그리고 생명

도서명 : 죽음과 고통, 그리고 생명
저자/출판사 : 박형국, 모시는사람들
쪽수 : 295쪽
출판일 : 2015-05-15
ISBN : 9791186502020
정가 : 15000
서론
제1부 죽음의 담론과 실천에 대한 성찰
1장│오늘날의 축소지향의 죽음 이해와 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
무엇이 문제일까?
죽음 이해와 실천의 갈등: 물리주의와 근사체험
죽음에 대한 통전적인 이해와 실천
2장│죽음의 부정과 불안에 대한 성찰
죽음을 부정하는 실존과 역사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 대하여
아리에스의「 금지된 죽음」에 대하여
하이데거의「 죽음의 불안」에 대하여
죽음 부정을 지양해야 한다!
3장│죽음의 공포와 격리에 대한 성찰
죽음을 배제하는 심리와 사회의 문제
베커의「 죽음의 공포」에 대하여
엘리아스의「 죽어 가는 자의 고독」에 대하여
죽음 이해와 실천의 패러다임 전환
제2부 예수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성찰
4장│삶과 죽음의 변증법에 대한 성찰
죽음 부정의 시대에 예수의 죽음을 생각한다!
예수는 왜 죽었는가?와 예수는 어떻게 죽었는가?
죽음에 대한 예찬?
죽음에 대한 반복적 회상의 실천
삶과 죽음의 변증법을 지향하며
5장│죽음 부정과 수용의 변증법에 대한 성찰
죽음의 부정과 수용, 그리고 죽음의 존엄성
죽음의 두려움에 대하여
죽음의 폭력성에 대하여
준비된 죽음에 대하여
대속의 죽음에 대한 재성찰
죽음의 부정과 수용의 변증법을 지향하며
제3부 죽음의 정의(正義)에 대한 신정론/반신정론의 성찰
6장│부조리하고 고통스러운 죽음의 정의에 대한 물음
세월호의 고통스러운 죽음의 기억
세월호의 죽음과 한국사회의 자화상에 대한 물음
‘돌진적 근대화’와 ‘위험사회’에 대한 성찰
7장│부조리하고 고통스러운 죽음에 대한 변신론/신정론의 성찰
부조리하고 고통스러운 죽음과 형이상학적 변신론
부조리하고 고통스러운 죽음과 성서의 신정론
8장│부조리한 고통스러운 죽음에 대한 반(反)변신론의 성찰
신의 정의에 대한 회의와 저항
근대 저항의 무신론
레비나스의 무한 책임의 윤리형이상학
제4부 생명을 위한 하나님의 긍휼
9장│고통과 죽음에 대한 섭리 이해
고통과 죽음의 섭리론
아우구스티누스의 변증적 섭리론
칼뱅의 주권적 섭리론
10장│생명의 고통에 참여하는 긍휼의 하나님
‘하나님은 사랑’이라는 성서의 증언을 다시 생각한다!
생명의 고통에 참여하기 위해 스스로 낮추시는 하나님의 긍휼
생명의 고통에 참여하는 하나님의 자유로운 사랑
11장│생명의 고통에 연대하는 하나님의 긍휼과 정의
하나님의 창조적 사랑의 고통
생명의 고통 속의 씨앗인 희망
죽음에 대한 위험한 기억
죽음의 심층 문법과 생명의 미래
생명을 위한 신학의 과제
닫는 말 : 죽음에 대한 성찰과 생명을 위한 긍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