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순풍에 돛을 달자 또는 영어공부와 함께 한 삶의 지혜를 찾는 글쓰기
땅끝
2025-04-24 13:2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우리도 순풍에 돛을 달자

도서명 : 우리도 순풍에 돛을 달자
저자/출판사 : 이수동, 책과나무
쪽수 : 462쪽
출판일 : 2016-03-25
ISBN : 9791157761708
정가 : 15000
책을 내며
PART 1
정치사회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 세상
아수라장 국회
민주주의를 위한 희생의 역사
미국 민주주의 위기의 교훈
한국교육 - 오바마의 교육발전모델?
칼 야스퍼스의 실천적 정신혁명론
무상복지와 도덕적 해이
국제적 수치의 한국
민주당의 민주관과 진보관
고위공직자 인사청문회의 궤변
재외국민 참정권, 득보다 실이 크다
부패의 간을 키우는 사회프랑스시민혁명의 기요틴이 필요
4.27 재·보선과 공직자의 진정한 의식개혁
역사의식의 위기를 극복해야
주민투표와 투표거부운동의 모순
세금 좀먹는 선거의 끝은 없을까
안철수 혜성의 정치적 의미
한반도 통일의 과제
커져가는 아방궁
종북(從北)이 아니라 변북(變北)이어야
정당정치의 위기와 구원의 메시아
아름다운 이야기의 세상 좀 만들어 주소
거짓말의 나라에서 참말의 나라로
최루탄국회는 국회가 아니다
‘사보나롤라신드롬’이 안 되기 위하여
민주(民主)가 신음한다
희한한 국회의원
포스트 김정일의 북한 전망
파렴치한을 넘어
정치원론을 다시 배우자
공산군주주의로부터 탈북
꼼수정치의 달인은 안 된다
진정으로 신뢰받는 정치의 개막을
정당 정체성의 재확립이 급선무
한국의 매카시즘은 실체이다
무노동무임금 - 수치의 대한민국 국회
상상생하살(上相生下殺)
역사는 역사이다
북한의 개혁과 개방의 의미
한국대통령의 단 한 가지 의지
정치의식부터 쇄신하자
대한민국 앞으로(Korea Forward)
탈구태정치와 복지공약의 현실적 재점검
신년에 바라는 국민의 여망
새 정부조직, 형식보다는 내실을
북한 3차 핵실험과 우리의 대응
'반쪽 정부'로 어떻게 국민행복을?
우기고 떼쓰는 정치 이제 좀 그만
오만과 독선으로부터 해방되는 날
보수와 진보의 정치사회학적 이해
한국 진보의 태생적 한계와 오늘
청와대 출범 5월의 징크스
원전비리: 위험사회의 안전불감증 경고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의 현실
열린사회의 리더의 조건
전두환추징법과 국제적 수치
민주주의 역행하는 정·재계
전 전 대통령 일가의 사수전(死守戰)을 관전하며
이석기 사건과 종북주의 청산
선거공약의 한계와 책임정치
우리는 거짓말열차를 타고 있는가?
북한호의 권력과 공포통치
다난(多難)을 털고 신명나는 한해가 되기를
87헌법의 태생적 한계와 개헌
선거로 날 새는 나라
재벌기업의 수난(受難)
변화와 창조
아버지와 딸 대통령의 독일방문 의미
안철수 새정치의 4전4패(四戰四敗)
전과자들의 공직진출을 막아야 한다
우리도 ‘순풍에 돛을 달자’
PART 2
사회
금연하여 당당해지자
실천하는 울트라환경의식
‘포브스 400’ 아름다운 부자들의 25년 역사
인간답게 죽을 권리
경제위기,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미네르바의 위기
용서와 건강
바보야의 선종
삼심(三心)으로 소통과 통합을
서구자멸의 위기극복
어느 구두닦이 달인의 겸손을 배우자
독일에서 온 친구가 본 한국
인생의 반쯤에 왔을 때 깨닫게 되는 것들 I
인생의 반쯤에 왔을 때 깨닫게 되는 것들 II
갈릴레이의 거짓말의 도덕성
금융수장의 2천만 원 예금통장 쇼
철가방 기부천사 김우수 정신
12월의 단상(斷想)
5060세대의 자화상
잘 죽기 위해 산다
개띠의 말복 우정
문화의 이해 I
문화의 이해 II
문화와 복지사회
세월호 선장과 심정윤리덕목
위험사회와 안전의식
PART 3
대학 · 교육
선택과 집중의 장학제도
기성세대들이 받아야 할 인성교육
청소년 흡연, 어른들이 앞장서야 한다
대학 교양학문의 절실성 I
대학 교양학문의 절실성 II
‘대학생들이 본받고 싶은 인물’의 재정립을 위하여
박 군의 등교를 바라며
대학축제와 술
정장패션 졸업식 일고(一考)
왜곡된 교육경쟁의식으로부터 해방
대학의 거대규모와 경쟁력
한국사회의 대학열병 신드롬
대학 졸업유보의 시대
우리 사회와 대학문화의 현 주소와 대학인의 시대정신
대학의 낭만
대학의 시장화는 안 된다
이 시대 청년의 책임과 역할
PART 4
세계
미국의 세계민주화 프로젝트
이집트의 민주화혁명과 한반도
중동의 시민혁명바이러스
중동의 민주화 혁명을 성공으로
중동의 민주화 혁명과 중국의 역할
일본대지진과 세계인의 기원
일본의 수치스런 역사의식
‘국화와 칼’과 일본 원폭투하의 관계
일본은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다
일본의 오만과 억지
영어공부와 함께 한 삶의 지혜를 찾는 글쓰기

도서명 : 영어공부와 함께 한 삶의 지혜를 찾는 글쓰기
저자/출판사 : 정홍섭, 좁쌀한알
쪽수 : 443쪽
출판일 : 2015-02-17
ISBN : 9791195419500
정가 : 16000
서문 : 이 책을 한국어와 영어로 동시에 쓴 이유
Ⅰ. 글쓰기의 가치와 방법
1. 글쓰기의 가치
1) 글쓰기와 생각하기
2) 글쓰기와 말하기
3) 글쓰기와 읽기
4) 글쓰기를 잘하기 위한 아홉 가지 습관
5) 한글 글쓰기의 특별한 의미
2. 좋은 글쓰기의 세 가지 요건
3. 글쓰기의 네 가지 방법
4. 수필 쓰기의 매력
Ⅱ. 수필 쓰기의 실제 : 읽고 쓰며 배우는 삶의 지혜와 언어
1. ‘나-인간’에 관해 성찰해 보기 : 몽테뉴의 『수상록』
2.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 풀 한 포기, 좁쌀 한 알 : 무위당 선생님 말씀
3. 꽃이 피니 봄이 오는 것 : 법정 스님 말씀
4. 현대인의 지식과 삶의 방식에 관하여 : E.F. 슈마허의 저작
5. 온전한 한 사람이 된다는 것 : 찰스 코박스의 『파르치팔과 성배 찾기』
6. 한 농부-작가가 들려주는 온전한 삶의 모습 : 웬델 베리의 저작
7. 현대의 민중과 지식인 : 안톤 체호프의 「바냐 삼촌」
8. ‘위하여’와 ‘더불어’ : 배병삼의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9. 외국어 공부는 모어 공부다 : 이희재의 『번역의 탄생』
후기
주석
Contents
Preface
: The reason why I wrote this book in Korean and English at the same time
Ⅰ. The Worth and the Methods of Writing
1. The Worth of Writing
1) Writing and To do ‘Saeng-gak’
2) Writing and Speaking
3) Writing and Reading
4) Nine Habits for Writing Well
5) The Special Meaning of Writing in Hangeul
2. Three Requirements for Good Writing
3. Four Methods of Writing
4. The Attraction of Writing Essays
Ⅱ. The Practice of Writing Essays
: Learning the Wisdom of Life and Languages with Reading and Writing
1. Introspection of ‘Me-Man’: Montaigne’s Les Essais
2. Water Flowing Downward, A Clump of Grass, A Grain of Millet
: Sir Muwidang’s Sayings
3. Spring Can Come to Us Due to Flowers Blooming
: Venerable Beopjeong’s Sayings
4. About the Knowledge and the Way of Life of Modern People
: E. F. Schumacher’s Works
5. To Be a Sound Man: Charles Kovacs’s Parsifal and the Search for the Grail
6. The Image of A Sound Life told by A Farmer-Writer
: Wendell Berry’s Works
7. People and Intellectuals in the Modern Time
: Anton Chekhov’s Uncle Vanya
8. ‘For’ and ‘With’: Bae Byeong-sam’s Uri-ege Yugyo-ran Mueosinga
(What is Confucianism to Us)
9. To Study a Foreign Language is to Study the Mother Tongue
: Yi Hi-jae’s Beon-yeok-ui Tan-saeng (The Birth of Translation)
Epilogue
Notes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