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 또는 미래 중국 인사이트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 또는 미래 중국 인사이트

땅끝
2025-04-24 13:25 2 0

본문




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
9788959063901.jpg


도서명 : 무엇이 우리 정치를 위협하는가
저자/출판사 : 채진원, 인물과사상사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6-02-15
ISBN : 9788959063901
정가 : 15000

저자의 말

들어가는 말: 왜, 어떤 중도정치인가?


제1부 중도주의 없는 양극화의 비극

제1장 한국에서 중도수렴의 확대 경향

유승민, 문재인의 중도수렴, 왜? 어째서?
중도수렴 경향의 등장 배경에 대한 논의
중도수렴의 효과에 대한 논의와 사례
중도수렴 확대를 위한 방향과 과제

제2장 진영논리와 중도정치란 무엇인가

왜 진영논리의 극복이고, 중도정치인가?
진영논리의 개념과 교조주의적 방법론
진영논리의 한계 사례와 시사점
‘중도’의 의미와 개념
소결

제3장 중도수렴 부재의 정당체제론

갈등을 조장하는 국회의원과 정당정치
정치적 양극화의 실체에 대한 논의
국민과 정당 간의 이념적 부조화에 대한 경험관찰
경험관찰에 대한 시사점과 이론적 함의
소결

제2부 중도 확대와 중도 거부 간의 투쟁과 교훈


제1장 무당파·SNS 유권자의 등장 배경과 특성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의 배경과 무당파
이론적 논의: 무당파·SNS 유권자의 등장 배경과 특성
경험적 관찰: 무당파·SNS 유권자의 현황과 의미
경험적 관찰의 함의와 시사점
소결

제2장 중도수렴에 중도·무당파는 어떻게 반응했나

18대 대선의 변수: 중도 무당파
왜 중도와 무당파에 대한 흡수와 분석이 중요한가?
18대 대선의 승패 요인과 중도와 무당파의 반응
이정희 후보 변수에 대한 중도와 무당파의 반응
소결

제3장 중도수렴과 중도수렴 거부 간의 투쟁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가 이긴 배경
이론적 논의: 다운스의 중위투표자정리
박근혜-문재인 후보의 중도수렴과 유권자의 반응 결과
이정희 후보의 중도수렴 거부와 유권자 반응 결과
소결


제3부 중도주의노선의 비전과 과제

제1장 공화주의적 정당모델과 공천방식

계파정치의 실상과 의문들
이론적 논의: 과두제 정당모델과 그 등장 원인
이론적 논의: 계파정치의 원인, 네트워크정당모델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추진에 대한 논의와 쟁점
소결
보론: 오픈프라이머리 정당약화론에 대한 반론

제2장 민주공화국 헤게모니전략으로서 중도주의

왜 또다시 중도주의인가?
중도주의의 기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
근대적 중도주의: 마키아벨리, 매디슨의 입장
중도의 현대적 의미: 다운스, 기든스의 중도주의 입장


나가는 말: 공화주의 정당의 사명과 시민정치운동






미래 중국 인사이트
9788993354669.jpg


도서명 : 미래 중국 인사이트
저자/출판사 : 송승엽, KMAC
쪽수 : 319쪽
출판일 : 2015-09-25
ISBN : 9788993354669
정가 : 16000

프롤로그 | 중국을 다시 생각한다

제1장 아편전쟁과 청조의 자강개혁

PART 01 아편전쟁은 어떤 상처를 남겼나
1 봉건사회, 부패와 민란 속에 몰락하다
2 서구 열강, 중국을 집어삼키다
3 태평천국, 공산사회 실험으로 이어지다

PART 02 청 조정은 어떤 개혁을 추진했나
1 양무운동 통해 근대화를 시도하다
2 지식인들, 혁신적 구국운동을 펼치다
3 개혁운동 모두 실패로 끝나다

제2장 공화제의 표류와 공산혁명

PART 03 청 멸망 후 어떤 움직임이 일어났나
1 신해혁명과 함께 공화제 국가가 설립되다
2 군벌의 난립으로 대혼란에 빠져들다
3 봉건사회와 제국주의에 맞서다

PART 04 노동자ㆍ농민 중심의 공산혁명은 어떻게 성공했나
1 중국 공산당, 새로운 시작을 알리다
2 국공합작 결렬 후 장제스가 정권을 잡다
3 무력투쟁 끝에 공산당이 전국을 통일하다

제3장 사회주의 개혁 실패와 개혁개방 정책

PART 05 마오쩌둥의 독재 권력은 어떻게 유지되었나
1 공산당 중심의 사회주의 체제를 굳히다
2 중국과 소련, 이념갈등으로 대립하다
3 소련의 도움 없이 자력갱생을 모색하다
4 마오쩌둥의 절대적 위상을 구축하다
5 문화대혁명으로 사회 전체가 피폐해지다

PART 06 사회주의 중국은 어떻게 시장경제를 받아들였나
1 인재를 양성하고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다
2 실용주의적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다
3 사회주의 틀 안에서 경제발전을 모색하다
4 도시개혁의 여러 후유증이 발생하다
5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확립하다

제4장 개혁개방 정책의 성과와 한계

PART 07 중국은 어떻게 경제대국으로 비상했나
1 국제무대에서 새로운 강대국으로 떠오르다


2 공업화, 도시화로 사회 구조가 변하다
3 억만장자 공산당 당직자가 등장하다
4 개인의 행복과 물질적 만족에 치중하다
5 강력한 행정력과 정책 유연성을 발휘하다

PART 08 급속한 경제발전은 어떤 문제점을 가져왔나
1 지역ㆍ계층 간 발전 불균형이 심화되다
2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위험수위에 이르다
3 소수민족의 독립 분규가 격화되다
4 인구 억제로 노령화 사회를 초래하다
5 급속한 공업화로 환경이 파괴되다
6 정치개혁 요구 목소리가 높아지다

제5장 꿈을 향한 새 도전과 미래 전망

PART 09 신창타이 시대, 중국은 어떤 꿈을 꾸고 있나
1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길에 들어서다
2 질적 성장의 신창타이 시대로 진입하다
3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 삶의 질을 개선하다

PART 10 중화민족의 꿈, 어디까지 실현 가능한가
1 2049년 현대화된 세계 강국을 설계하다
2 중국의 청사진에 비관과 낙관이 교차하다

에필로그 | 한반도를 생각한다

부록 | 중국 근현대 주요 지도자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