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의 기초가 되는 초등 인문학 수업 또는 항공법정책 이론 및 실무
땅끝
2025-04-24 13:25
4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4회 연결
본문
인성의 기초가 되는 초등 인문학 수업

도서명 : 인성의 기초가 되는 초등 인문학 수업
저자/출판사 : 정철희, 맘에드림
쪽수 : 364쪽
출판일 : 2016-04-05
ISBN : 9788997206414
정가 : 15500
저자의 말 · 4
추천사 · 8
1장. 왜 인문학 수업인가?
01. 도덕 교육의 문제점 · 13
02. 감정: 실천을 위한 다리 · 22
03. 인문학 수업은 삶이 된다! · 30
2장. 인문학 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
01. 인문학 수업의 원리 · 37
02. 신화: 감정과 인간에 다다가는 다리 · 46
03. 문학: 삶을 보는 거울 · 52
04. 철학 고전: 삶의 방향을 그리는 나침반 · 57
05. 그림과 영화: 고민이 녹아 있는 곳 · 66
06. 역사적 인물의 삶 · 69
07. 현재의 삶과 행복: 우리의 선물 · 76
3장. 인문학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과 준비
01. 인문학 수업 교육과정 만들기 · 81
02. 공책 기록 활용하기 · 87
4장. 역경과 용기
01. 《오디세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시련을 극복할 것인가? · 101
02. 프로메테우스: 진정한 용기는 바른 판단에서 나온다 · 106
03. 〈메두사호의 뗏목〉: 무책임한 선장이 낳은 처절한 참극 · 111
04. 《쉰들러 리스트》: 평화를 지키는 용기 · 116
05. ‘공포’라는 감정과 ‘용기’ · 123
5장. 전쟁과 평화
01. 트로이전쟁: 아킬레우스의 분노와 동정 · 129
02. 《레미제라블》: 관용과 박애 · 136
03. 〈소크라테스의 죽음〉: 민주주의와 준법 · 147
04. ‘증오’라는 감정과 ‘관용’ · 152
6장. 자긍심과 부끄러움
01. 《노인과 바다》: 시련에서 성장하는 자존감 · 157
02. 윤동주 〈서시〉: 부끄러움을 통해 성장하는 도덕적 반성 · 166
03. 《니코마코스 윤리학》: 자신의 판단과 행동을 위한 ‘숙고’ · 171
04. 개인의 자의식과 자주성 · 178
7장. 삶의 다양성과 존중
01.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도운 조력자들 · 189
02. 《도덕경》: 최고의 덕은 자연스러움에 있다 · 202
03. 《장자》: 인권과 ‘차이를 존중하는 삶’ · 206
04. 경청의 힘으로 신뢰를 쌓는다 · 212
05. ‘다르다’는 감정과 ‘소통’ · 219
8장. 욕망과 절제
01. 《무소유》: 갖는 것과 얽매이는 것 · 227
02. 이황: 화기환과 절제 · 233
03. 《피로사회》: 심심함을 견대지 못하는 현대인 · 244
04. ‘욕망’을 다스리는 지혜 · 249
9장. 공동체 의식과 어울림
01. 조식과 제자들: 을묘사직상소와 책임 · 257
02. 안중근과 어머니: 공익과 희생정신 · 270
03. 박지원: 《열하일기》와 어울림 · 280
04. 김구 《백범일지》: 공동체를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의 바탕을 이루는 자주성 · 292
05. ‘무관심’이 가져오는 공동체의 위기와 개인의 책임 · 310
10장. 성취와 행복
01. 꿈 너머 꿈을 찾는 질문: “나는 누구인가?” · 323
02.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어린아이와 같은 삶에서 행복이 온다 · 329
03. 러셀 《행복의 정복》: 타인과 사회로 시선을 넓히는 삶 · 337
04.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346
참고문헌 · 351
항공법정책 이론 및 실무

도서명 : 항공법정책 이론 및 실무
저자/출판사 : 이구희, 한국학술정보
쪽수 : 592쪽
출판일 : 2015-12-25
ISBN : 9788926871461
정가 : 45000
머리말 4
추천의 글 6
용어 14
제1편 항공법
제1장 항공법 개념 및 분류 21
1. 항공법 개념 ㆍ21
2. 항공법 분류 ㆍ22
2.1 국제항공법과 국내항공법 ㆍ22
2.2 항공공법과 항공사법 ㆍ25
제2장 항공법 발달?27
1. 국제항공법 발달 ㆍ27
1.1 국제항공공법: 항공안전 ㆍ27
1.2 국제항공공법: 항공범죄 ㆍ28
1.3 국제항공사법: 국제항공운송인의 책임 ㆍ36
1.4 국제항공사법: 제3자 손해에 대한 책임 ㆍ44
1.5 국제항공사법: 항공기 권리 ㆍ48
2. 국내항공법 발달 ㆍ52
2.1 법령 입안 원칙 및 법령체계 ㆍ52
2.2 국내항공법 발달 ㆍ52
제3장 시카고협약과 국제민간항공기구?55
1. 시카고협약 및 부속서 ㆍ55
1.1 시카고협약 ㆍ55
1.2 시카고협약 개정 ㆍ58
1.3 시카고협약 부속서 ㆍ60
1.4 표준 및 권고방식 ㆍ62
2. 국제민간항공기구 ㆍ64
3. 시카고협약과 국내항공법과의 관계 ㆍ67
제4장 국가별 항공법 개관?69
1. 국내항공법 ㆍ69
1.1 항공법 ㆍ70
1.2 항공보안법 ㆍ73
1.3 항공?철도 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ㆍ79
1.4 항공운송사업진흥법 ㆍ87
1.5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ㆍ87
1.6 항공안전기술원법 ㆍ88
1.7 상법(제6편 항공운송) ㆍ88
1.8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ㆍ89
1.9 군용항공기 운용 등에 관한 법률 ㆍ89
1.10 군용항공기 비행안전성 인증에 관한 법률 ㆍ89
1.11 고시 훈령 예규: 운항기술기준 ㆍ89
2. 미국항공법 ㆍ91
3. 유럽항공법 ㆍ94
제5장 항공종사자 자격?100
1. ICAO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제도 ㆍ100
1.1 일반사항 ㆍ100
1.2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 종류 ㆍ101
1.3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유효성 및 유효기간 등 ㆍ102
2. 한국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제도 ㆍ104
2.1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종류 및 업무 범위 ㆍ104
2.2 항공종사자 한정자격제도 ㆍ106
2.3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유효성 및 유효기간 등 ㆍ106
3. 기타 자격증명제도 ㆍ109
3.1 신체검사증명 ㆍ109
3.2 조종사 통신면장 ㆍ110
3.3 항공영어구술능력증명 ㆍ111
3.4 조종사 나이 제한 ㆍ112
제6장 항공기?114
1. 항공기 정의 및 분류 ㆍ114
2. 민간항공기와 국가항공기 ㆍ115
3. 항공기 국적 및 등록 ㆍ117
4. 항공기 등록국의 역할 및 의무 ㆍ119
5. 등록국의 역할과 의무를 운영국으로 이관 ㆍ120
6. 형식증명 및 제작증명 ㆍ121
7. 감항증명 ㆍ122
8. 소음기준적합증명 ㆍ123
9. 시카고협약 부속서 8 항공기 감항성 ㆍ123
제7장 항공운송사업 등 126
1. 사업별 면허, 등록, 신고요건 ㆍ127
2. 운항증명제도 ㆍ128
2.1 운항증명 및 운영기준 ㆍ129
2.2 시카고협약체계에서의 항공사 운항증명제도 ㆍ132
2.3 자국 항공사에 대한 운항증명 및 운영기준 ㆍ133
2.4 외국 항공사에 대한 운항증명 및 운영기준 ㆍ134
2.5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 ㆍ145
3. 응급항공이송 ㆍ150
3.1 ICAO 미국 유럽의 EMS 기준 ㆍ150
3.2 한국의 EMS 적용기준 ㆍ152
4. 운수권 및 영공통과이용권 배분 ㆍ154
5. 항공교통이용자 보호 ㆍ154
제8장 항공안전 156
1. 항공안전 및 항공보안 개념 ㆍ156
2. 시카고협약 부속서 19 항공안전관리 ㆍ160
3. 국내 항공안전관리체계 ㆍ162
4. 항공안전평가 ㆍ163
4.1 미국의 항공안전평가(IASA) ㆍ165
4.2 ICAO의 항공안전평가(USOAP) ㆍ167
4.3 유럽의 항공안전평가(SAFA) ㆍ169
4.4 IATA의 항공안전평가(IOSA) ㆍ173
4.5 항공안전평가 관련 착안사항 ㆍ175
제9장 항공보안 177
1. 항공보안 및 항공범죄 일반 ㆍ177
1.1 테러 및 테러리즘 ㆍ177
1.2 항공범죄 ㆍ177
1.3 불법방해행위 ㆍ178
2. 항공보안 관련 조약과 국내 항공보안법과의 관계 ㆍ179
3. 기장의 권한 및 책임 ㆍ180
3.1 기장의 권한 및 책임에 대한 국내외 기준 ㆍ180
3.2 착안사항 ㆍ182
4. ICAO와 항공보안 ㆍ183
4.1 ICAO의 항공보안 발전 연혁 ㆍ183
4.2 ICAO의 항공보안 최근 동향 ㆍ185
5. 시카고협약 부속서 17 항공보안 ㆍ186
6. 항공보안평가(USAP) ㆍ187
제10장 사고조사 189
1. 사고 준사고 항공안전장애 ㆍ190
2. 시카고협약 부속서 13 사고조사 ㆍ196
3. 항공안전보고제도 ㆍ198
3.1 ICAO의 항공안전 의무보고 및 자율보고 ㆍ198
3.2 한국의 항공안전 의무보고 및 자율보고 ㆍ202
3.3 착안사항 ㆍ204
제2편 항공정책 및 제도
제1장 항공정책 일반?209
1. 항공정책기본계획 ㆍ209
1.1 제1차 항공정책기본계획 ㆍ210
1.2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 ㆍ214
2. 항공안전기준 연혁 ㆍ215
2.1 ICAO의 항공안전기준 연혁 ㆍ215
2.2 한국의 항공안전기준 연혁 ㆍ217
3.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 및 항공안전관리시스템 ㆍ218
4. 항공표준용어 ㆍ222
4.1 국제민간항공조약과 국제민간항공협약 ㆍ224
4.2 표준 및 권고방식 ㆍ225
4.3 항공업무 ㆍ225
4.4 In flight와 비행중 운항중 항행중 ㆍ227
4.5 Accident, Serious incident, Incident ㆍ231
4.6 Flight time과 비행시간 승무시간 ㆍ232
제2장 항공안전 관련 정책 및 제도 233
1. 항공기 탑재서류 ㆍ233
1.1 항공일지 ㆍ235
1.2 조종사 비행기록부 ㆍ237
1.3 착안사항 ㆍ238
2. 항공기 내 휴대용 전자기기 ㆍ239
2.1 ICAO 미국 유럽의 항공기 내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제한 ㆍ240
2.2 한국의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제한 ㆍ244
2.3 착안사항 ㆍ244
3. 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 ㆍ245
3.1 ICAO 미국 유럽의 비행자료분석 프로그램 ㆍ246
3.2 한국의 비행자료분석 프로그램 ㆍ249
3.3 착안사항 ㆍ250
4. 구조 및 소방 등급 ㆍ250
4.1 ICAO 미국 유럽의 구조 및 소방등급 ㆍ251
4.2 한국의 구조 및 소방등급 ㆍ255
4.3 착안사항 ㆍ255
5. 항공교통업무 등 ㆍ257
5.1 항공교통업무 ㆍ257
5.2 항공정보 ㆍ258
6. 공역 및 공역관리 ㆍ260
7. 주류 마약류 환각물질 금지 ㆍ261
8. 비행장과 항행안전시설 ㆍ262
9. 공항 및 공항운영증명 ㆍ263
10. 정비조직인증 ㆍ264
11.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ㆍ264
12. 무인항공기 ㆍ268
제3장 조종사 운항자격제도 및 2개 형식 이상 항공기 운항?270
1. 조종사 운항자격제도 ㆍ270
1.1 ICAO의 조종사 운항자격 ㆍ271
1.2 한국의 조종사 운항자격 ㆍ277
1.3 미국의 조종사 운항자격 ㆍ280
1.4 EASA의 조종사 운항자격 ㆍ281
1.5 호주, 중국, 캐나다 등의 조종사 운항자격 ㆍ284
1.6 국가별 운항자격제도 비교 ㆍ284
1.7 논점 및 개선방안 ㆍ288
1.8 착안사항 ㆍ292
2. 조종사의 2개 형식 이상 항공기 운항 ㆍ293
2.1 ICAO의 2개 형식 이상 운항 ㆍ294
2.2 한국의 2개 형식 이상 운항 ㆍ295
2.3 미국의 2개 형식 이상 운항 ㆍ295
2.4 유럽의 2개 형식 이상 운항 ㆍ295
2.5 2개 형식 운항 관련 항공안전평가 점검 항목 ㆍ299
2.6 논점 및 개선방안 ㆍ299
제4장 피로관리?302
1. 피로 및 피로관리 개관 ㆍ302
2. ICAO의 승무원 피로관리 기준 ㆍ304
2.1 시카고협약 부속서 6 Part 1 33A 개정 ㆍ305
2.2 시카고협약 부속서 6 Part 1 35차 개정 ㆍ306
3. 한국의 승무원 피로관리 기준 ㆍ307
3.1 시카고협약 부속서와 국내항공법 비교 ㆍ307
3.2 한국의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휴식시간 기준 ㆍ308
4. FAA의 승무원 피로관리 기준 ㆍ309
4.1 FAA의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기준 ㆍ310
4.2 FAA의 휴식시간 및 휴무일 기준 ㆍ313
4.3 FAA의 기타 피로관리 기준 ㆍ313
5. EU의 피로관리 기준 ㆍ313
5.1 EASA의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기준 ㆍ314
5.2 EASA의 휴식시간 및 휴무일 기준 ㆍ316
5.3 EASA의 기타 피로관리 기준 ㆍ316
6. 국내외 피로관리기준 비교 ㆍ317
6.1 피로관리 항목 비교 ㆍ317
6.2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ㆍ317
6.3 휴식시간 ㆍ319
6.4 예측하지 못한 운항 상황 ㆍ320
6.5 기타 피로관리기준 비교: 휴식시설 등 ㆍ321
7. 논점 및 개선방안 ㆍ327
7.1 ICAO SARPs와 피로관리 실시주체 일치 ㆍ327
7.2 ICAO SARPs와 용어정의 일치 ㆍ327
7.3 국내 적용기준 명시 ㆍ328
7.4 피로위험관리시스템 ㆍ328
7.5 비행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휴식시간 적용 개선 ㆍ329
7.6 근무시간 제한 완화 ㆍ330
7.7 예측하지 못한 운항 상황 ㆍ330
7.8 기내 휴식시설 ㆍ331
7.9 분리임무 ㆍ332
7.10 비임무 이동 ㆍ332
7.11 대기 ㆍ333
7.12 이해 관계자의 상호 협조 및 교육훈련 강화 ㆍ333
제5장 특수운항 335
1. 저 시정 운항 ㆍ335
1.1 제2종 및 제3종 정밀접근 ㆍ335
2. 회항시간 연장운항 ㆍ338
2.1 ICAO 미국 유럽의 회항시간 연장운항 ㆍ339
2.2 한국의 회항시간 연장운항 ㆍ345
2.3 착안사항 ㆍ346
3. 수직분리축소공역운항 ㆍ347
3.1 수직분리축소공역운항 인가 ㆍ348
4. 성능기반항행 ㆍ349
4.1 성능기반항행공역운항 인가 ㆍ350
4.2 착안사항 ㆍ351
5. 북극항공로 운항 ㆍ352
5.1 북극항공로 운항 연혁 ㆍ352
5.2 북극항공로 운항 인가 ㆍ353
5.3 우주방사선 피폭방사선량의 선량한도 ㆍ353
5.4 착안사항 ㆍ354
제6장 항공법정책 현안 및 개선방안 356
1. 국내 항공안전기준 개선 ㆍ356
2. ICAO 항공안전기준 개선 ㆍ366
3. 국내 항공안전체계 전략적 개선방안 ㆍ368
부록
항공법 문제 375
국제항공 관련 조약
국제항공공법 관련 조약
ㆍ 국제민간항공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1944) ㆍ395
ㆍ 항공기 내에서 행한 범죄 및 기타 행위에 관한 협약(Tokyo Convention, 1963) ㆍ456
ㆍ 항공기의 불법납치 억제를 위한 협약(Hague Convention, 1970) ㆍ474
ㆍ 민간항공의 안전에 대한 불법적 행위의 억제를 위한 협약(Montreal Convention, 1971) ㆍ486
ㆍ 1963년의 동경협약을 개정한 의정서(Montreal Protocol, 2014) ㆍ500
국제항공사법 관련 조약
ㆍ 국제항공운송에 있어서의 일부 규칙 통일에 관한 협약(Montreal Convention, 1999) ㆍ509
ㆍ 항공기의 제3자 피해배상에 관한 협약 _ 일반위험협약(Montreal General Risk Convention, 2009) ㆍ549
ㆍ 항공기 사용 불법방해로 인한 제3자 피해배상에 관한 협약 _ 불법방해배상협약(Montreal Terror Convention, 2009) ㆍ561
참고문헌 585
색인 587
댓글목록0